박정희 대통령 몇대? - bagjeonghui daetonglyeong myeochdae?

출처 : 네이버 지식in, http://www.president.go.kr/cheongwadae/pastPresident.php
http://blog.naver.com/sungkyu7906?Redirect=Log&logNo=140195376102
 

당연히 짚고 넘어가야할, 우리나라의 역사뿐만 아니라 대통령들의 각각의 업적 혹은 과오 등을 알고는 있는게 좋을 것 같아서 정리해봤습니다,

보통은 '정치와 업적'은 10년후 20년후에 평가를 한다고 합니다만, 정리를 했습니다, 중복되는 내용들도 있을겁니다~

요즘 학생들이 정치는 커녕, 현재 대통령이 몇대대통령인지, 어떤 역사속의 인물이었는지 알고있기는 커녕 관심도 없다는게 조금 슬픕니다,

뭐, 역사과목이 없어져버린 현실이 가장 큰 문제도 있겠지만, 어떤 '공부'를 해야하는지 또는 알고있어야 하는지, 못 알려주는 어른들에게도

그 문제의 책임이 있겠죠=ㅅ=ㅋ 또 사설이 기네요, 암튼 포스팅 시작!

# 1948년 7월 20일, 제헌국회에서 대한촉성국민회의 이승만은 후보 한국독립당 김구를 상대로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7월 24일 취임식을 가지고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의 수립과 함께 대통령직을 수행한다.

# 1952년 7월 7일, 발췌 개헌안(대통령 직선제 안건)이 기립 표결로 통과되고 새 헌법에 따라 1952년 8월 5일, 자유당 이승만은 조봉암/이시영을 상대로 제 2대 대통령으로 선출된다.

# 이승만은 장기집권을 위해 초대 대통령에 한해 3선제한을 철폐하는 내용의 헌법 개정안을 제출하였고 사사오입의 주장으로 개헌안이 통과하였다.(국회의원 203명중 3분의 2인 136명이 찬성을 해야 하는데, 당시 135표가 나오면서 개헌안이 부결되었지만, 다음 날 203명의 3분의 2는 소숫점인데 사람은 나눌수 없다하여 일의 자리도 아닌 소숫점 아래자리에서 사사오입하여 135명이 된다는 해괴한 공식으로 개헌안을 통과시켜버립니다.) 하여, 1956년 5월 15일 자유당 이승만은 후보 조봉암을 상대로 제 3대 대통령으로 선출된다.

# 1960년 3.15 부정선거를 도화선으로 4.19혁명이 일어났으며 1960년 4월 26일, 이승만은 대통령직에서 하야한다. 부정선거로 무효처리됨.

# 1960년 8월 12일, 내각제인 참의원과 민의원 양원합동회의에서 윤보선은 제 4대 대통령으로 당선된다.

#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박정희의 국가재건 최고회의는 대통령 중심제 및 직선제로 개헌, 1963년 10월 15일 민주공화당 박정희는 후보 윤보선을 상대로 제 5대 대통령으로 선출된다.

# 1967년 5월 3일, 민주공화당 박정희는 후보 윤보선을 상대로 제 6대 대통령으로 선출된다.

# 재집권에 성공한 박정희는 집권 연장을 위해 3선 개헌을 강행, 국민투표를 거쳐 이를 확정한다.(1969년)

# 1971년 4월 27일, 민주공화당 박정희는 후보 김대중을 상대로 제 7대 대통령으로 선출된다.

# 1972년 10월 유신 헌법 이후, 1972년 12월 23일 통일주체 국민회의에서 박정희가 단독으로 출마하여 대의원의 99.9%의 지지를 받아 임기 6년의 제 8대 대통령으로 선출된다.

# 1978년 7월 6일, 통일주체 국민회의에서 박정희는 또다시 단독으로 출마하여 대의원의 99.9%의 지지를 받아 제 9대 대통령으로 선출된다.

# 1979년 10월 26일(10.26사태)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에 의해 박정희는 암살당한다.

# 헌법 제 48조에 따라 당시 국무총리였던 최규하가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취임하며 1979년 12월 6일, 통일주체 국민회의에서 제 10대 대통령으로 선출된다.

# 1979년 12월 12일(12.12사태) 신군부가 등장하고 전두환이 정권을 잡는다, 신군부의 압력으로 최규하 대통령은 사퇴하고, 전두환은 통일주체 국민회의에서 대의원의 99.9% 지지를 얻어 제 11대 대통령으로 선출된다. (1980.08.27)

# 전두환은 유신 헌법을 일부 수정하여 대통령 선거인단이 임기 7년 단임의 대통령을 간접 선출하는 신헌법을 제정한다.

# 1981년 2월 25일, 민주정의당 전두환은 대통령 선거인단을 통한 간접 선거로 제 12대 대통령으로 선출된다.

# 1987년 6월 민주항쟁으로 동년 6월 29일 대통령 직선제를 골자로 하는 8개항의 시국 수습 방안을 발표한다. (6.29선언)

# 1987년 12월 16일, 민주정의당 노태우는 후보 김영삼/김대중/김종필을 상대로 제 13대 대통령으로 선출된다.

# 1992년 12월 18일, 민주자유당 김영삼은 후보 김대중/정주영을 상대로 제 14대 대통령으로 선출된다.

# 1997년 12월 18일,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은 후보 이회창/이인제를 상대로 제 15대 대통령으로 선출된다.

# 2002년 12월 19일, 새천년민주당 노무현은 후보 이회창을 상대로 제 16대 대통령으로 선출된다.

# 2007년 12월 19일, 한나라당 이명박은 후보 정동영/이회창을 상대로 제 17대 대통령으로 선출된다.

# 2012년 12월 19일, 새누리당 박근혜는 후보 문재인을 상대로 제 18대 대통령으로 선출된다.

▶ 1대, 2대,3대 대통령 : 이승만 (재임기간 1948.07 ~ 1960.04)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우남(雩南), 초명은 승룡(承龍)이다.
1875년 3월 26일(양력 4월 18일) 황해도 평산(平山)에서 가난한 선비의 외아들로 태어남.
1894년 배재학당(倍材學堂)에 입학, 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쳐주고 이듬해 졸업.

일본인의 명성황후(明成皇后) 시해에 대한 복수사건에 연루되었으나 미국인 여의사의 도움으로
관헌의 눈을 피하는 데 성공하여 위기를 모면, 이 무렵 개화사상에 심취, 그리스도교에 입교.
서재필(徐載弼)의 지도하에 설립된 협성회(協成會)·독립협회(獨立協會) 등의 간부로 활약하였는데,
특히 협성회 기관지 《협성회보(協成會報)》의 주필이 되어 날카로운 필봉으로 정부 공격에 앞장섰다.
1898년 정부전복을 획책하였다는 혐의로 독립협회 간부들과 함께 투옥되었는데,
동지 한 사람과 탈옥을 꾀하다 붙들려 사형선고를 받았으나, 종신형으로 감형되어 복역 중 1904년 민영환(閔泳煥)의 주선으로 7년 만에 석방.
그 해 겨울 미국에 건너가 미국정부에 일본의 한국침략저지를 호소하였으나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계속 머물면서 조지워싱턴대학교/하버드대학교 등에서 수학, 1910년 프린스턴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해 일본이 한국을 병합하자 귀국, 조선기독교청년회연합회(YMCA)를 중심으로 활동하다가 체포되었지만,
미국인 선교사의 주선으로 석방되어 1912년 미국에서 열린 세계감리교대회에 한국대표로 참가하였다.

한국의 정치가·독립운동가, 초대 대통령. 독립협회, 한성임시정부, 상하이 임시정부에서 활동했다.

광복 후 우익 민주진영 지도자로 1948년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4선 후, 4·19 혁명으로 사임했다. 

건국대통령 / 미주 독립운동 / 대일 대마도 반환요구(1948.8.18) / 반공포로 석방(이로인해 한미방위동맹이 성사됨) / 공산화 저지 / 농지개혁

▶ 4대 대통령 : 윤보선 (재임기간 1960.08 ~ 1962.03)
 

호는 해위(海葦). 충남 아산(牙山) 출생. 영국 에든버러대학을 졸업. 8·15광복과 더불어 정계에 투신, 미군정청 농상국 고문에 취임.
이어 한영(韓英)협회장·민중일보사 사장 등을 지내고, 1948년 정부가 수립되자 초대 서울시장에 발탁,
1949년 상공부장관이 되었다. 그 후 대한적십자사 총재·상이군인신생회 회장 등에 추대되었고,
1954년 제3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1957년 민주당 중앙위원회 의장에 선임되었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에 당선, 1959년 민주당 최고위원에 선출되었다.

1960년 4·19혁명으로 이승만정권이 붕괴된 후 대통령선거에 민주당후보로 입후보하여
제4대 대통령에 선출되었다. 그러나 1961년 5·16군사정변으로 인하여 1962년 사임하고,
1963년 민정당(民政黨)을 창당하여 그 해 대통령선거에 대통령후보로 출마, 박정희와 겨루었으나 실패,
제6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965년 민중당(民衆黨)을 창당하고,
1966년 신한당(新韓黨)을 창당하여 총재에 취임하였는데, 4자회담을 거쳐 신한당과 민중당을 통합, 신민당 대표최고위원에 추대되었다.

1967년 제6대 대통령에 출마, 박정희에게 또 패배하였다.
1970년 국민당(國民黨) 총재에 취임하고, 1979년 신민당 총재 상임고문에 추대되었다.
저서에 《구국(救國)의 가시밭길》이 있다.


▶ 5대, 6대, 7대, 8대, 9대 대통령 : 박정희 (재임기간 1963.12 ~ 1979.10)

1917년 경상북도 선산(善山)에서 출생하였다. 부친 박성빈(朴成彬)과 모친 백남의(白南義) 사이에서 5남 2녀 중 막내로 태어남.
1926년 구미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여 1932년 졸업하였고 그해 4월 대구사범학교에 입학하여 1937년 졸업
사범학교 졸업후 경상북도 문경에 소재한 문경공립보통학교에서 3년간 교사로 부임하여 1940년 2월까지 근무.
교사를 그만두고 만주 무단장시"牡丹江市"에 소재한 제6군관구 사령부 초급장교 양성학교인 신경(新京:지금의長春)군관학교를 지원해 합격.
이때 그는 나이 제한에 걸려 1차에서 낙방하였으나 장교가 되겠다는 자신의 간곡한 편지를 보내 합격.
2년간의 군사교육을 마치고 우등생으로 선발되어 1942년 일본육군사관학교 3학년에 편입하였다.
1944년 일본 육군사관학교 제57기로 졸업하였으며, 8·15광복 이전까지 주로 관동군에 배속되어 일본군 중위로 복무하였으며
팔로군을 공격하는 작전에 참가하였다. 일본이 패망하자 베이징을 거쳐 전친항에서 부산항으로 귀국하였다.
귀국후 1946년 9월 조선경비사관학교(육군사관학교 전신)에 입학하여 3개월간 교육을 마치고
조선국방경비대 육군 소위가 되었다. 그 당시 1946년 9월 대구에서 좌익에 의한 시위가 일어났는데
박정희의 형인 박상희가 시위를 주도하였다. 10월 1일 대구시민들과 경찰간의 충돌이 발생하였고

박상희가 경찰의 총격에 사망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형의 영향을 받았던 박정희는 군부에 비밀리에 조직된 남로당에 가입하여 활동하였으며,
1947년 육군소령이 되어 육군사관학교 중대장이 되었다. 1948년 10월 국방군 내 좌익계열의 군인들이 제주4.3사건 진압을 거부하고 일으킨
여수·순천사건이 일어나자 육군 정보사령부 작전참모로 배속되었다.

그 해 박정희는 당시 국군 내부 남로당원을 색출하자 발각되어 체포되었으며 군법회의에 회부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

하지만 만주군 선배들의 구명운동과 군부 내 남로당원 존재를 실토한 대가로 무기징역을 언도 받았다.

이후 15년으로 감형되어 군에서 파면되었다. 군에서 파면 되었지만 육군본부에서 비공식 무급 문관으로 계속 근무함

1950년 6·25전쟁이 발발하자 소령으로 군에 복귀하였다. 1953년 11월 준장이 되었고, 미국으로 건너가 육군포병학교에서 고등군사교육을 받았다.
1954년 제2군단 포병 사령관, 1955년 제5사단 사단장, 1957년 제6군단 부군단장과 제7사단 사단장을 거쳐 1958년 3월 소장으로 진급,
제1군 참모장으로 임명되으며, 1959년 6관구 사령관이 되었다.
1960년에 군수기지 사령관, 제1관구 사령관, 육군본부 작전참모부장을 거쳐 제2군 부사령관으로 전보됨.

1961년 5월 16일 제2군 부사령관으로 재임중에 5·16군사정변을 주도하여

7월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이 되었고, 1962년 대통령권한대행을 역임하였으며,

1963년 육군대장으로 예편하였다. 이어 민주공화당 총재에 추대되었고, 그 해 12월 제5대 대통령에 취임하여 1967년 재선된 후

장기집권을 위하여 1969년 3선개헌을 통과시켰다. 제3공화국 재임동안 '한·일국교정상화'와 '월남파병문제'를 강행하였다.
1972년 국회 및 정당해산을 발표하고 전국에 계엄령을 선포한 후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이로써 유신정권인 제4공화국이 출범하였다. 유신 초기에는 새마을운동의 전국민적 전개로 농어촌의 근대화에 박차를 가하였고,
제5차 경제개발계획의 성공적 완성으로 국민들의 절대적 빈곤을 해결하는데 기여했다.
그러나 상대적 빈곤의 심화와 장기집권에 따른 부작용, 국민들의 반유신 민주화운동으로 그에 대한 지지도가 약화되자

긴급조치를 발동하여 정권을 유지하려 하였다. 이런 가운데서 내치(內治)의 어려움을 통일문제로 돌파하고자

자주/평화/민족대단결을 민족통일의 3대원칙으로 규정한 1972년 7·4남북공동성명과
1973년 6·23선언이라 불리는 '평화통일외교정책'(할슈타인원칙의 폐기)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그 내용의 획기성에도 불구하고 실제 정책면에서는 북한의 비협조와 당시의 국제정세로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1974년 8월에는 영부인 육영수가 북한의 지령을 받은 조총련계 문세광(文世光)에게 저격당했다.
이러한 정권의 위기는 결국 '부마민주항쟁(釜馬民主抗爭)'을 야기시켰으며,
1979년 10월 26일 궁정동 안가(安家) 만찬석상에서 중앙정보부장 김재규(金載圭)의 저격으로 서거(逝去)하였다.
저서로 《우리 민족이 나아갈 길》, 《민족의 저력》, 《민족중흥의 길》, 《국가와 혁명과 나》, 《지도자의 길》, 《연설문집》 등이 있다. 

중화학공업 육성 / 포항제철 건설 / 경부고속도로 건설 / 치산녹화사업 / 그린벨트 실시 / 4대강 다목적 댐 건설 / 새마을운동 실시 /

의료보험 도입 / 제주도, 경주 관광지화 / 호국문화유산 발굴 및 보존 / 국산 무기화, 유도탄 개발 등 자주국방을 위한 준비 / 정치깡패 숙청


▶ 10대 대통령 : 최규하 (재임기간 1979.12 ~ 1980.08)


자는 서옥(瑞玉)이고 호는 현석(玄石)이다. 강원도 원주(原州)에서 태어났으며 어려서 집안에서 조부에게 한학(漢學)을 배우다가

1928년 원주보통학교에 입학했다. 1932년 상경하여 경성제일공립고등보통학교를 다녔고, 1935년 부모의 뜻에 따라 홍기(洪基)와 결혼했다.
그 뒤 일본으로 유학을 떠나 도쿄고등사범학교에서 영문학을 전공했으며,

1941년 졸업 뒤에는 만주로 건너가 국립대동학원(國立大同學院) 정치행정반에 입학하였다.
1943년 대동학원을 수료한 뒤에는 지린 성"吉林省"성에서 만주국의 수습관료로 근무했다.

해방 이후에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수로 있다가 1946년 미군정 중앙식량행정처 기획과장으로 발탁,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도 농림행정에 종사하여 농림부 양정과장, 농지관리국장 서리 등을 지냈다.
그 뒤 변영태에게 발탁되어 외무부 통상국장으로 자리를 옮겨 1951년 아시아 극동경제위원회(ECAFE)에 한국의 수석대표로 참석했다.
1952년에는 도쿄 주일대표부 총영사로 부임했으며, 1959년에는 주일대표부 공사로 승진.
그리고 그해 9월 귀국하여 외무부 차관이 되었고, 12월부터 외무부장관 직무대행을 겸하였다.

1960년 4ㆍ19혁명 이후에는 외무부 차관에서 사임하였고, 공민권 제한 대상자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5ㆍ16군사정변 이후에는 김종필이 주도한 민주공화당 창당준비에 참여하였고,
1963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인 박정희의 외교담당 고문이 되었다.

그 뒤 1964년부터 말레이시아 대사로 파견되었다가 1967년 귀국하여 외무부장관이 되었다.

1971년에는 대통령 외교담당 특별보좌관으로 임명되었고, 1972년에는 남북조절위원회 위원으로 평양을 방문하였다.

1975년 국무총리 서리를 거쳐 1976년 3월 국무총리로 임명되었다. 국무총리로 재직하던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이 살해되자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비상국무회의를 소집하여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비상계엄령을 선포했다.

그리고 10월 28일 중앙정보부장 김재규를 해임하고, 전두환을 계엄사령부 합동수사본부장으로 임명했다.

1979년 11월 6일에는 유신헌법에 따라 새 대통령을 선출한 뒤에 빠른 시일 안에 헌법을 개정하겠다는 ‘시국에 관한 담화’를 발표하였고,
12월 6일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하지만 12월 12일 전두환 등이 일으킨 군사정변으로 실권을 잃은 채

1980년 8월 16일 대통령직을 사임. 그 뒤 1981년 4월부터 1988년 2월까지 국정자문회의 의장을 지냈고,
1991년부터 1993년까지는 민족사바로찾기국민회의 의장을 지냈다. 2006년 10월 22일 노환으로 죽었다. 그의 장례는 국민장으로 치러졌으며,
국립대전현충원 국가원수묘역에 매장되었다. 박정희 정권에서 일등수교훈장(1970년),
수교훈장 광화대장(1971년), 무궁화대훈장(1979년) 등을 받았으며, 대통령직을 사임하면서 건국훈장 대한민국장(1980년)을 받았다 


▶ 11대, 12대 대통령 : 전두환 (1980.09 ~ 1988.02)
 

경상남도 합천에서 태어났다. 1951년 대구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55년 육군사관학교를 제11기로 졸업하였다.

1961년 5·16군사정변 직후 박정희에게 발탁,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실 민원비서관, 1963년 중앙정보부 인사과장,

1969년 육군본부 수석부관을 지냈다. 1970년 백마부대 제29연대장으로 베트남전쟁에 참전하였고, 1971년 제1공수특전단 단장을 지냈다.
1976년 대통령 경호실 차장보, 1978년 제1사단장을 지낸 후 1979년 초 국군보안사령관이 되었다.
그해 10월 26일 대통령 박정희가 사망하자 12월 12일 계엄사령부 합동수사본부장으로서
계엄사령관 정승화를 체포하고, 신군부가 12·12군사정변을 일으키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1980년 중장으로 진급하고, 이어 중앙정보부장 서리가 되었다.

5·17비상계엄 전국확대조치와 함께 5·18광주민주화운동을 강제로 진압하고 정권을 장악한 뒤,
그해 6월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를 설치하고 상임위원장이 되었다. 이어 8월 5일 대장으로 진급하고,
22일 예편하였으며, 27일 통일주체국민회의의 간선으로 제11대 대통령에 선출되었다.
1981년 1월 창당된 민주정의당의 총재가 되어 2월 개정된 새헌법에 따라 제12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재임기간 중 군부독재라는 비판을 받았다. 1987년 6월 대통령 직선제를 요구하는 국민들의
민주화 요구를 견디다 못해 결국 수용하였고, 대통령 단임제를 실천하였다.
물러난 뒤 광주민주화운동과 5공비리문제로 책임추궁을 당하다가 1988년 11월부터 1990년 말까지 백담사에서 은둔생활을 했다.

1996년 12·12 및 5·18사건, 비자금사건과 관련되어 사법처리되었다.

의료보험 전국민 확대 / 중화학공업 위주의 국가사업을 전자산업으로 돌림 / 88올림픽 유최 / 70년대말 스태그플레이션 + 오일쇼크 무난히 방어

역대 최고로 물가 안정(세계공황때) / 기업보다 개인의 수익상승률이 더 높음 / 사교육 철폐 및 단속 / 치안율 90% / 체감 등록금 최저 /

프로야구 출범 / TDX로 전화기 사업 발전

▶ 13대 대통령 : 노태우 (재임기간 1988.02 ~ 1993.02)

대구에서 태어났다. 1955년 육군사관학교, 1968년 육군대학을 졸업하고, 베트남전쟁에 참전,
1974년 준장으로 진급하여 공수특전여단장과 청와대 경호실 작전차장보 등을 역임하였다.
1979년 ‘12·12사태’에 가담하여 수도경비사령관에 임명되었고, 민주정치세력 진압 등 신군부세력의 정권획득을 위한 일련의 과정에 참여함.
1980년 중장으로 진급, 국군보안사령관에 취임. 1981년 대장으로 예편한 후 외교안보담당 정무제2장관,
1982년 체육부장관을 거쳐 내무부 장관, 1983년 서울올림픽대회 및 아시안게임 조직위원장을 역임.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선거에서 민주정의당(민정당) 전국구의원으로 선출되어 민정당 대표위원에 임명되었다.

1987년 6월 민정당의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어 ‘6·29선언’을 발표, 정국(政局)을 대화합의 국면으로 전환시켰다. 8월 민정당의 제2대 총재,
12월 제13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어 1988년 제6공화국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1990년 2월 통일민주당 총재 김영삼과 신민주공화당 총재 김종필과 함께 3당을 합당하여 민주자유당(민자당)을 출범시킴으로써

4당체제에서 양당체제로 정계를 개편하였다. 그 해 6월과 이듬해 4월에 러시아 대통령 M.고르바초프와의 정상회담으로
한·러 국교회복에 새 전기를 마련하고, 중국과 국교를 수립함으로써 북방외교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1995년에는 재임기간 중에 비자금을 모금한 것이 문제가 되어 검찰에 구속, 재판을 받는 등 대통령 재직시의 사건으로 불명예스러운 일을 겪음. 무궁화대훈장, 보국훈장 국선장(國仙章), 을지무공훈장 등을 받았으며, 저서에 《위대한 보통 사람들의 시대》가 있다.

6.29선언으로 대통령 직선제 시행(민주화의 시작) / 88올림픽 성공적 개최 / 인천 국제공항 건설 / KTX 건설 / 서해교전 승리 /

범죄와의 전쟁으로 사회질서 확립(영화 범죄와의 전쟁이 이 시절, 전국적으로 유행했던 조직폭력배들이 많이 사라짐) / UN가입 /

서해안 고속도로 건설 / 남북 기본합의서로 비핵화선언 / 분당, 일산에 위성도시를 세워 부동산안정화 / 동유럽 공산권 국가들과의 수교


▶ 14대 대통령 : 김영삼 (재임기간 1993.02 ~ 1998.02)

경남 거제(巨濟) 출생. 1952년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국무총리 장택상(張澤相)의 비서가 됨.
1954년 26세의 최연소자로 3대 민의원 의원에 당선된 후 5·6·7·8 ·9·10·13·14대 의원에 당선됨으로써 9선의원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그사이 민주당 대변인 2번, 민중당 등 야당 원내총무 5번을 역임하고 1974/1979년의 신민당과 1987년의 통일민주당등 야당총재를 3번 지냄.

1980년 이후 전두환(全斗煥) 정부에 의해 2년 동안 가택연금되어 정치활동을 못 하였고,
1983년 5월 18일~6월 9일 민주화를 요구하며 단식투쟁을 전개, 5공화국하에서의 민주화운동의 구심적 역할을 하였다.

1985년 김대중(金大中)과 함께 민주화추진협의회(민추협) 공동의장직을 맡았고, 신민당 창당을 주도하여 신한당을 와해시켰다.

1987년 통일민주당을 창당, 총재가 되고 그해 12월 13대 대통령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1989년 6월 북방정책의 일환으로 한국 정치지도자로는 처음으로 소련을 방문하였다.
1990년 민주정의당 총재 노태우(盧泰愚), 신민주공화당 총재 김종필(金鍾泌)과 통합, 민주자유당을 창당, 대표최고위원이 되었다.

1992년 12월 14대 대통령선거에서 당선, 1993년 2월 취임함으로써 32년간의 권위주의적 통치를 종식시키고 문민(文民)정부를 출범시켰다.
1994년 마틴루터킹센터가 수여하는 세계적인 인권운동 평화상인 비폭력평화상을 받았으며
1995년 뉴욕에서 열린 국제연합 50주년 기념총회에서 연설하였다. 

금융실명제 / 군사조직 하나회 해체 / 전두환, 노태우 비자금 폭로 / 혁명을 군사정변으로 정정 / 5.18 광주사태 복권

▶ 15대 대통령 : 김대중 (재임기간 1998.02 ~ 2003.02)

1924년 전라남도 신안에서 태어났다. 호적상 출생일은 1925년 12월 3일(음력)이다.
1950년 《목포일보》 사장이 되었고 1960년 민의원에 당선된 후 1971년까지 6·7·8대 국회의원을 지냄.
1963년 경희대학교 대학원을 수료하였다. 1963~1967년 민주당·민중당·신민당 대변인, 1968년 신민당 정무위원을 역임하였고,

1971년 신민당 대통령후보로 민주공화당의 박정희(朴正熙)와 겨루었으나 패배하였다. 그후 미국·일본 등지에서 박정희 정권에 맞서
민주화운동을 주도하다가 1973년 8월 8일 도쿄"東京"의 한 호텔에서 중앙정보부(지금의 국가정보원) 요원에 의하여 국내로 납치

(김대중납치사건)되어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1976~1978년 민주구국선언사건으로 투옥되었고 1980년 초 정치활동을 재개하였으나,
같은해 7월 내란음모죄로 사형을 선고받고 복역하던 중 1982년 12월 형집행정지로 석방되어 미국으로 건너갔다.

1985년 귀국하여 김영삼(金泳三)과 더불어 민주화추진협의회 공동의장직을 역임하였고 1987년 8월 통일민주당 상임고문에 취임하였다.

같은해 11월 평화민주당을 창당하여 12월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1988년 4월 제13대 국회의원(전국구)에 당선되었고 1991년 9월 통합야당인 민주당을 창당하여
공동대표최고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92년 12월 제14대 대통령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다시 낙선, 국회의원직을 사퇴하는 동시 정계은퇴를 선언.

이후 1993년 영국으로 건너가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1년 동안 연구활동을 하였고 1994년 귀국,
아시아·태평양평화재단(아태평화재단)을 조직하여 이사장으로 활동했다.
그러면서 당시 민주당의 최대 계파인 동교동계의 막후인물로서 영향력을 행사했고, 1995년 6월에 실시된 지방자치단체 선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민주당을 승리로 이끌었다. 같은해 7월 정계복귀를 선언함과 동시에 동교동계 국회의원 54명과 함께 새정치국민회의를 창당,
총재가 됨으로써 제1야당의 총수로 정치활동을 재개하였다. 1997년 10월 자유민주연합과의 야권 후보단일화를 이끌어낸 뒤
같은해 12월 15대 대통령선거에서 당선되어 한국 정치사상 최초의 평화적 여야 정권교체를 이룩, 1998년 2월 제15대 대통령에 취임.

1998년 12월,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과 중국 및 일본과의 정상회담을 갖는 등 활발한 외교활동을 벌였으며,

1997년 11월부터 시작된 IMF(국제통화기금) 관리체제의 외환위기를 재정/금융 긴축과 대외개방, 금융 및 기업의 구조조정 등을 통해 위기극복.

1999년 5월 '아시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지도자 50인' 중 공동 1위에 선정되었으며,
6월에는 미국 경제 주간 《비즈니스위크》가 선정하는 '아시아개혁을 주도하는 지도자 50인'에 선정됨.
2000년 1월 자유민주연합과의 내각제 개헌논의를 유보하고, 새천년민주당을 출범시켜 초대 총재에 취임.

2000년 6월 13~15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초대로 평양을 방문하여 6·15남북공동선언을 이끌어냈다.

또한 동아시아와 한국에서 민주주의와 인권향상 그리고 50여 년간 지속되어 온 북한과의 평화와 화해를 위하여 노력한 공로로

2000년 노벨평화상을 받았다. 

6.15 남북공동선언 / IMF 극복


▶ 16대 대통령 : 노무현 (재임기간 2003.02 ~ 2008.02)

본관은 광주(光州)이다. 1946년 8월 6일(양력 9월 1일) 경남 김해시 진영읍의 빈농 집안에서 태어남.
대창초등학교와 진영중학교를 다니는 동안 학업 성적이 우수하였으나 집안이 가난하여 진학을 포기하고
부산상업고등학교에 진학, 1966년 졸업하였다. 부산상고를 졸업한 뒤 어망 제조업체에 잠시 다니다가 그만두고 막노동판에서 일하면서

사법시험을 준비하다 1968년 육군에 입대하였다. 1971년 만기제대한 뒤 다시 사법시험을 준비하였으며,

1973년 1월 동향인 권양숙(權良淑)과 결혼하였다.1975년 네 번째 도전 끝에 제17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였으며,

1977년 대전지방법원 판사로 임용되었으나 이듬해 5월 사직하고 부산에서 변호사 사무실을 개업하였다.
이후 한동안 안정되고 자유로운 생활을 하다가 1981년 제5공화국 정권의 민주화 세력에 대한

용공조작 사건인 부림사건(釜林事件)의 변론을 맡은 것을 계기로 학생·노동자 등의 인권사건을 변호하는 인권변호사의 길을 걸었다.

1985년 부산민주시민협의회 상임위원장을 역임하고, 1987년에는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부산본부 상임집행위원장을 맡아

6월항쟁에 앞장섰다. 같은 해 대우조선에 다니던 이석규가 거리 시위 중 최루탄에 맞아 사망하자 사인 규명에 나섰다가 노동법의

'제3자 개입 금지'를 위반한 혐의로 구속되어 변호사 업무 정지 처분을 받기도 하였다. 1988년 통일민주당 김영삼 총재의 제의로 정치에 입문,
부산 동구에서 제13대 국회의원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제5공화국비리조사특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정연한 논리와 날카로운 질문으로 증인들을 추궁하여 '청문회 스타'로 떠올랐다.

1990년 통일민주당·민주정의당·신민주공화당의 '3당 합당'에 대하여 '부도덕한 야합'이라 비난하며
정치적 후원자였던 김영삼과 결별하고 민주당 창당에 동참하였다.
이듬해 통합민주당 대변인으로 활동하였으며,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총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한 뒤
제14대 대통령선거 민주당 청년특위 위원장, 물결유세단 단장을 거쳐

1993년 통합민주당 최연소 최고위원이 되었고, 지방자치실무연구소를 열었다.

1997년 새정치국민회의 부총재 및 수도권 특별유세단 단장을 역임하고, 이듬해 서울 종로구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00년 당선 가능성이 높은 종로 지역구를 포기한 채 '지역주의 타파'를 내세우며
부산 북·강서을 지역구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후보에게 패배하였다.

낙선 후 새천년민주당 부산 북강서(을) 지구당 위원장을 거쳐 2000년 8월부터 2001년 4월까지 김대중정부에서 해양수산부장관을 지냈다.
2002년 새천년민주당 상임고문과 최고위원을 거쳐 2002년 초 국민경선제를 통하여
새천년민주당의 제16대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고, 2002년 11월 18일에는 국민통합21의 대통령 후보인
정몽준과 후보 단일화에 합의한 뒤, 국민 여론조사를 거쳐 단일 후보가 되었다.

이후 '낡은 정치 청산, 새로운 대한민국 건설, 행정수도의 충청권 이전' 등을 기치로 내걸고 선거운동을 펼쳤으며, 같은 해 12월 19일 치러진

대통령선거에서 유효투표 총수 2476만 141표 가운데 1201만 4277표(48.91%)를 얻어 1144만 3297표(46.59%)를 얻은
한나라당의 이회창 후보를 물리치고 당선된 뒤 2003년 2월 25일 제16대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참여정부'를 표방하며 취임한 지 1년이 지난 2004년 초, 대통령의 선거중립의무 위반과 측근 비리 등에 대한 야당의 사과 요구를 거절하자

야당인 한나라당과 새천년민주당이 탄핵소추안을 국회에 제출하였다. 같은 해 3월 12일 국회의장은 경호권을 발동하여

소수 여당인 열린우리당 의원들의 반대를 저지한 채 국회 본회의에 탄핵소추안을 기습상정하였고,

다수를 점한 한나라당과 새천년민주당이 투표하여 찬성 193, 반대 2로 탄핵소추안을 가결시킴으로써 국무총리 고건이 직무를 대행하였다.

그러나 대한민국 헌정 사상 최초로 대통령 탄핵안이 가결되자

이를 반대하는 국민들의 비난이 빗발치고 전국 각지에서 탄핵반대 촛불시위가 잇따랐으며, 같은 해 4월 15일 치러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여당인 열린우리당이 과반이 넘는 152석을 차지하는 결과를 낳았다.

또 같은 해 5월 14일 헌법재판소가 탄핵소추안에 대하여 기각 결정을 내림으로써 두 달 만에 대통령직에 복귀하였다.

임기중 대통령 선거에서 공약으로 내세웠던 '신행정수도 이전'에 대하여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판결을
내림으로써 타격을 입었고, 이라크 파병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추진하여 지지자들이
등을 돌리는 결과를 낳았으며, 유력 일간신문을 비롯한 언론과 대립하여 임기 내내 언론으로부터 호의적 반응을 얻지 못하는 등

보수 진영으로부터는 친북좌파라는 비난을, 진보 진영으로부터는 신자유주의자라는 비판에 시달렸다.

한편, 정치인생을 일관하여 고질적인 지역주의를 청산하기 위하여 노력하였고,
사회 전반에 만연한 권위주의를 타파하는 데도 공헌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미(對美) 외교에서는 '대등한 관계'를 추구하였으며,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하여 북한과 긴장관계를 해소하는 데 힘썼다.
대통령 임기 말인 2007년 10월 4일 대한민국 대통령으로는 분단 후 처음으로 걸어서 판문점을 통과하여 평양을 방문,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남북 정상회담을 열고 '남북관계 발전 및 평화번영을 위한 선언(10·4선언)'을 발표하였다.

2008년 2월 24일 대통령 임기를 마친 뒤 고향인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본산리의 봉하마을로 귀향,
오리농사, 마을청소에 참여하는 등 평범한 전원생활을 하는 한편, '사람 사는 세상'이라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개설하여

사람들과 소소한 일상을 공유하였고, 건전한 토론문화를 조성한다는 취지로 인터넷 토론 사이트 '민주주의 2.0'을 개설하여 세상과 소통함.

그러나 퇴임할 때 대통령 재임시의 기록물 복사본을 가지고 귀향한 것과 관련하여 '국가기록물 무단유출'에 대한 수사를 시작으로

검찰에 의하여 측근과 친형, 부인·아들·딸 등이 비리에 연루되었다는 의혹으로, 2009년 4월 30일 대한민국 전직 대통령으로는 세 번째로

검찰의 소환조사를 받았다. 같은 해 5월 23일 "나로 말미암아 여러 사람이 받은 고통이 너무 크다"는 내용의 유서를 컴퓨터에 남기고

사저 뒷산의 부엉이바위에서 투신하여 서거하였다.

저서에 자전적 일대기인 《여보, 나 좀 도와줘》(1994)를 비롯하여 《노무현이 만난 링컨》(2001), 노무현의 리더십 이야기》(2002) 등이 있다.
2004년 영국 왕실로부터 최고훈장인 바스 대십자훈장(Grand Cross of the Order of the Bath;GCB)을,

2007년 카타르 정부로부터 독립대훈장을 받았다. 

한미 FTA 구상 및 설계

▶ 17대 대통령 : 이명박 (재임기간 2008.02 ~ 2013.02)

본관은 경주(慶州), 호는 청계(淸溪)이다. 1941년 12월 19일 일본 오사카에서 태어났다. 1954년 포항 영흥초등학교 졸업,

1957년 포항중학교 졸업, 1960년 동지상업고등학교 야간부 졸업, 1965년 고려대학교 상과대학 경영학과를 졸업.
이후 한국체육대학교에서 명예 이학박사(1998), 서강대학교에서 명예경영학박사(2004) 학위를 받았다.

1964년 고려대학교 상과대학 학생회장으로 있을 때 6·3사태를 주도해 대법원에서 징역 3년, 집행유예 5년을 선고받고 6개월 동안 복역.

이듬해 현대건설(주)에 입사해 5년 만에 이사, 12년 만인 35세에 최고경영자가 되면서 '샐러리맨의 신화'라는 별칭을 얻었다.
그뒤 1992년까지 현대건설·인천제철(주) 등 현대그룹의 8개 계열사 대표이사·회장을 지냈다.

1992년부터 정계에 몸담아 제14·15대 국회의원을 거쳐, 2002년 한나라당 후보로 민선 서울특별시장에 출마해 같은 해 7월 1일 취임.

그밖에 해외건설협회 업계 대표회장(1980), 대한상공회의소 부회장(1982), 대한수영연맹 회장(1982), 6·3동지회 회장(1992),
세계한인상공인총연합회 운영이사회장 겸 부회장(1993), 한국청년실업인협회 회장(1993), (재)동아시아연구원 이사장(1994),

제15대 대통령선거 신한국당 서울시 선거대책본부장(1997), 한나라당 혁신위원회 미래경쟁력 분과위원장(2001) 등을 지냈다.

2007년 8월에 경선을 통해 한나라당 제17대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고, 12월 19일 치러진 선거에서 유효투표총수 2373만 2854표 가운데

1149만 2389표(48.7%)를 얻어 617만 4681표(26.1%)를 얻은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를 물리치고 제17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다음해 2월 25일에 제17대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저서로 《6·3 학생운동사》(1994)와 자전 수필집 《신화는 없다》(1995), 수필집 《절망이라지만 나는 희망이 보인다》(2002) 등이 있다.

대통령 표창(1997), 체육훈장 백마장(1982)·거상장(1986), 국민훈장 석류장(1984), 금탑산업훈장(1985), 현정 국토개발상(1987) 등을 받음.

08년 글로벌 경제위기 극복(OECD회원국 중 가장 빠르게 빠져나옴) / 기초생활수급자 및 사회소외층에 대한 지원(국가장학금, 학자금대출)

UAE 원전 수주 / G20 의장국 / 리튬 석권 


▶ 18대 대통령 : 박근혜 (재임기간 : 2013.02 ~)

1952년 2월 2일 대구광역시 출생 올해 62세. 아버지 박정희, 어머니 육영수, 동생에 박근령, 박지만이 있다.

1974년 모친 사후부터 1979.10.26사건 이전까지 퍼스트레이디의 직무를 수행하였다. 현재는 대한민국의 첫 여성 대통령이다.

저서《평범한 가정에서 태어났더라면》(1993), 《내 마음의 여정》(1995), 《고난을 벗삼아 진실을 등대삼아》(1998),

《나의 어머니 육영수》(1999), 《절망은 나를 단련시키고 희망은 나를 움직인다》(2007) 등이 있다.


현 대통령에 대한내용은 인터넷 기재가 불가하여 자세히 올리지 못했습니다. 

역사를 짚고 넘어가자, 는 취지입니다, 비방글이나 비난은 삼가해주시면 좋겠습니다.

혹여나 틀린부분이 있다면 댓글에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