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프터이펙트 키 프레임 곡선 - epeuteoipegteu ki peuleim gogseon

[After Effects]에펙 그래프 선 꼬였을때(feat. 재난관리 공모전)

오울레인2020. 11. 3. 21:48

이번주부터 공모전 본선 작업시작!

씬이 총 10개정도 되니까, 한주에 2씬을 끝내는걸로 계획을 잡았다 :-)

에펙...너무 오랜만이야...

옛기억을 더듬어가면서 제작을 해볼까...

....?

아니 왜 선이 자기맘대로 튀는거야....?

난 분명 Ease in, Ease out을 넣었는데....?

그래프 곡선이 자기 멋대로다...

아니...Maxim을 점으로 하고싶은데 왜 점 이상으로 곡선이 튀어나가는거야..

아...분명 꼬인 그래프 선 푸는 버튼이 있었는데

너무 오래전이라 기억이 안나..

..결론은 열심히 검색하다가 너무 기본적인거라서 헛웃음이 나옴...ㅠㅠ 오래 쉬긴 쉬었구나..

1.꼬인 키 프레임들을 드래그해서 모두 선택해준다.

2.우클릭 후 Keyframe interpolation(키 프레임 보간)을 누른다.

보간은 두점을 연결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여기서 말하는 연결은 궤적(Trajectory)를 생성한다는 뜻이다. Sampling으로 저장된 점들을 다시 원래대로 복원할 때 보간법이 사용된다.

[동아닷컴에서 발췌]

'간' 은 사이간이다.

그래, 그럼 의역해보면

키프레임 사이(점) 곡선 모양새를 조절할 수 있는 속성창에 들어간다는 얘긴가보다.

3.Temporal Interpolation탭은 'continuousBezier'/Spatial Interpolation 탭에서 'Linear'

두 채널 다 선택항목이 비슷해서 헷갈리기 쉽겠더라.

[위키백과에서 발췌]

Temporal Interpolation탭은 'continuousBezier' 인 이유는,

내가 키프레임을 곡선으로 잡을때 F9버튼을 눌러서 'Continuous Bezier(연속보간)'로 만들었기 때문.

이럴때 그래프 선이 꼬이게되면

Spatial Interpolation 탭에서 'Linear' 로 해줘야 내가 잡아놓은 키프레임 위로 선이 꺾이지 않더라..

저 두 속성창의 차이가 뭘까 열심히 번역기를 돌려봤는데(...)

1)affects how a property changes ocer time

(속성이 시간을 변경하는 방식에 영향을줍니다.)

2)affects the shape of the property changes ocer time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양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속성)

...?물음표?

그래서 여기저기 찾아보니

Temporal Interpolation(시간보간) Spatial Interpolation(공간보간)

개념이더라.

아래 사이트가 너무 잘 설명해놓아서, 링크로 대체합니다 :-)

//icon.town/icon/30510/

키프레임의 종류

Linear Keyframe : 가장 기본적인 키프레임이다. 속도의 변화가 없고 딱딱한 모션을 만든다.

Ease in : 처음엔 빠르다가 끝에 다다를수록 느려진다. 점점 속도가 떨어지며 끝나는 키프레임이다.

Ease Out : 처음엔 느리다가 끝에 다다를수록 빨라진다. 자석에 달라붙는 느낌의 키프레임이다.

Hold : 뚝뚝 끊겨보인다. 스톱모션 느낌을 만들어주는 키프레임이다.

Ease : Ease in과 Ease Out을 둘 다 가지고 있다. 둘 중 하나를 고르기 어려울 때 사용하기 좋다.

Ease In, Ease Out 키프레임 각각 적용하기

시작하는 키프레임이 아닌 끝나는 부분의 키프레임 선택 > 우클릭 > Keyframe Assistant > Ease In 또는 Ease Out 키프레임 선택 > 변경된 키프레임 선택 > 타임라인 좌측 윗 부분의 Graph Editor 선택

Graph Editor 내 > 하단 눈 아이콘 옆의 Choose graph type and options 선택 > Edit Speed Graph 선택 > 핸들로 그래프 곡률 수정

*가로는 시간, 세로는 속도인 그래프이다.

* 그래프에서 채워져있는 네모가 변경된 키프레임을 의미한다.

*Ease In 키프레임은 자기를 기준으로 왼쪽에 곡선 그래프를 생성한다. Ease In의 효과를 높이고 싶다면 해당 키프레임의 핸들을 그래프가 있는 방향인 왼쪽으로 당긴다.

*Ease Out 키프레임은 자기를 기준으로 오른쪽에 곡선 그래프를 생성한다. Ease Out의 효과를 높이고 싶다면 해당 키프레임의 핸들을 그래프가 있는 방향인 오른쪽으로 당긴다.

* Ease In과 Ease Out 정리 : Ease In도착 성격의 키프레임을 수정해야하며 딜레이되는 느낌이다. Ease Out출발 성격의 키프레임을 수정해야하며 자석처럼 달라붙는 느낌이다.

키프레임을 원래대로(Linear Keyframe) 변경하기

변경된 키프레임 선택 > Ctrl + 클릭, 한번 더 클릭 > 다이아 모양으로 변경되었는지 확인

* Ctrl + 클릭 단계에서 나오는 동그라미 모양의 키프레임은 Auto Keyframe이며, 자주 사용하지 않는다.

Hold 키프레임 적용하기

출발 성격의 키프레임 드래그하여 모두 선택 > 우클릭 > Toggle Hold Keyframe 선택 > 변경된 키프레임 선택

* Hold출발 성격의 키프레임을 수정해야하며 모션이 자연스럽게 이어지지 않도록 잡아놓는 느낌이다.

Ease 키프레임 적용하기

* Ease in과 Ease Out을 동시에 적용하고 싶다거나 둘 중 어떤 것을 적용해야 할지 모를 때 사용한다.

전자의 경우, 키프레임이 세 개 이상이 있을 때, ◇ ◇ ◇ 중 가운데의 키프레임에 적용한다.

적용할 키프레임 선택 > 우클릭 > Keyframe Assistant > Easy Ease 선택 > 변경된 키프레임 선택 > 타임라인 좌측 윗 부분의 Graph Editor 선택

Graph Editor 내 > 하단 눈 아이콘 옆의 Choose graph type and options 선택 > Edit Speed Graph 선택 > 핸들로 그래프 곡률 수정

*가로는 시간, 세로는 속도인 그래프이다.

* 그래프에서 채워져있는 네모가 변경된 키프레임을 의미한다.

* Ease In 키프레임은 자기를 기준으로 왼쪽에 곡선 그래프를, Ease Out 키프레임은 자기를 기준으로 오른쪽에 곡선 그래프를 생성한다. 따라서 해당 키프레임의 양쪽에 있는 핸들을 왼쪽, 오른쪽으로 당기면 된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