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논문 주제 - geonchug nonmun juje

건축 논문 주제 - geonchug nonmun juje

빛은 인간과 건축공간과 상호작용을 하며 이성과 감성을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물리적 작용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작용에 의해 인간에게 풍부한 경험을 제공하게 된다. 이렇듯 복합적인 성향을 갖는 빛은 공간에 있어서 표현특성과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단편적인 접근보다는 종합적인 측면으로 접근해야 한다. 종합적인 측면이라함은 건축가의 건축관과 건축공간구성요소와의 관계성을 바탕으로 할 때 진정한 빛의 표현특성과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근대건축에서 상실하였던 빛의 지역적 감각을 회복시키고, 빛의 본질적인 의미를 찾고자 하는 지역주의 건축에서의 빛의 표현특성과 그 의미와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본 연구의 범위는 본질적인 개념으로서의 자연광을 위주로 미적이며 조형적인 빛으로 접근하며, 국외 지역주의 건축가의 작품으로 한정한다. 연구의 방법은 국내외 단행본, 건축 잡지, 인터넷 매체를 활용하여 분석의 틀에 의해 사례 분석하여 종합 정리 하였다.
빛의 표현특성에 있어서는 건축가의 내재된 사상적 측면과 건축공간구성요소와의 관계성을 통해 추출된 빛의 표현특성, 즉 빛에 의한 공간성격, 빛의 유입방식, 빛에 의한 미적 표현으로 나누어 종합적인 측면으로서 분석, 정리되어졌다. 이를 통해 지역주의 건축에서의 빛의 의미와 역할에 대해서 유추해 내었다.

이상의 내용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지역주의 건축가의 내재된 사상적 측면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 지역성에 근거한 감성소재인 빛, 물, 색채, 재료가 건축표현의 주된 요소가 되고 있다.
 조형 예술과 근대 거장의 영향을 공통적으로 받고 있다.
 근대의 건축성향을 비판하면서 지역전통과 장소성을 표출한다.
 지역 특유의 감성적 소재를 통해 건축을 시적으로 표현한다.

둘째, 빛의 표현특성에 있어서는 빛에 의한 공간 성격과 빛의 유입방식, 빛에 의한 미적 표현 등으로 나누어 종합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 빛에 의한 공간 성격은 확장성과 방향성이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상징성도 건축가 모두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빛에 의한 공간의 확장성은 자연과의 접촉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여진다. 방향성은 시간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는 빛의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빛과 음영의 패턴을 통해 변화하는 텍스처를 만들어내어 조형적으로 표현해 내는 경향이 있다. 상징성은 종교건축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빛에 의한 공간 성격이며, 지역의 전통적인 빛의 개념을 공간에 적용시킴으로서 지역 전통의 상징성이 나타나고 있다.
 빛의 유입방식에 있어서는 전면창이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다양한 기법, 즉 빛에 의한 구조적 장치을 통해 빛을 표현하고 있다.
지역주의 건축에서는 빛에 의한 다양한 기법, 즉 빛에 의한 구조적 장치가 발달하였다. 이러한 구조적 장치는 지역적 기후의 특성에 의해 기능적으로 고안된 장치들이며, 지역 전통의 표현을 위한 빛의 장치들이다.
 빛에 의한 미적 표현은 색채와 빛의 결합, 비물성적 재료인 물과 빛의 결합, 물성적 재료와 빛의 결합 등이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색채와 빛의 결합은 세 가지로 정리된다. 지역전통의 색채로부터 유추된 것으로의 빛과의 결합이 있고, 각 지역의 경관의 톤(tone)에서 지방색을 추출하여 빛과의 결합을 시도하는 것이 있으며, 빛의 성질을 이용하여 빛과 색채의 결합을 유도하는 것 등이다.
물과 빛의 결합도 세 가지로 정리된다. 지역의 환경에 영향을 받아서 공간 내에 빛과 물을 결합시키는 특성과, 빛의 반사성질에 의해 공간에 확장성을 부여하는 특성, 그리고 빛과 물의 결합에 의해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특성이 있다.
빛과 재료의 결합은 지역재료를 건축에 적용시켜 대지에 밀착되어 보이게 하고, 빛에 의해 재료의 질감을 강조하여 지역성과 장소성을 표출하고 있다.

셋째, 지역주의 건축에 있어 빛의 의미와 역할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 지역 특유의 빛을 공간의 주제로 표현함으로서 지역의 특수성과 장소성을 표현하려고 한다.
 지역 특유의 빛은 공간의 성격을 규정짓거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창의 형태나 구조적 장치를 디자인하도록 하여 지역성, 장소성의 특성을 표출 하는 역할을 한다.
 지역주의 건축에 있어서 빛은 미적이며, 공감각적인 감성 공간 구현과 시적 표현을 통해 공간체험의 극대화를 실현시키는 요소이다.
 빛은 전통의 재해석을 통해 현대화된 건축을 표현함에 있어 매개적인 역할을 함으로서 과거와 현재를 잇는 수법으로 사용되어 장소성과 역사성을 표현한다.
 빛은 지역 특유의 본질적인 색채와 재료의 질감을 강조하는 역할을 하며, 빛과 음영을 통한 지역 특유의 빛의 질을 추상화하여 장소성을 표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언급한 세 가지의 내용, 즉 건축가의 내재된 사상적 측면과 빛의 유입방식, 빛의 의미와 역할이 종합될 때 지역주의 건축의 빛의 표현특성이 명확해 질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빛은 종합적인 개념으로서 접근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적인 개념으로서 지역주의 건축에서의 빛은 지역성, 장소성, 역사성을 표현해 주는 매체로서의 역할을 하며, 그들의 건축에 주제로 표현됨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G 여지은 (210.♡.184.11) 9 4,837 2014.03.26 11:01

안녕하세요 현재 건축공학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지금 졸업논문을 준비 중인데 주제와 관련해서 궁금한게 있어서요.
주제가 외피성능변화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주거용건물의 에너지 소요량 변화를 보는 것인데요.
제가 외피만 다루다 보니 자료를 구하는게 한정적이라서요ㅠ

패시브하우스의 경우 단열과 기밀성능이 중요한데 이에 대한 유지관리는 어떻게 이뤄지고 있나요?
특히 단열재의 경우 경과년수에 따라 성능이 저하되기도 하는데 장기적인 수선계획은 어떻게 이뤄지고 있고
설계 시 단열재의 사용년수와 내구년수는 어떻게 정하는지에 대해 궁금합니다.

답변 주세요.
감사합니다.

본 연구는 朝鮮時代 營建관련 儀軌에 나타난 建築圖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국가적인 영건활동의 규범적 근거로서 營建 儀軌圖는 한국건축에서 도면 형성의 실증적 가치를 부여하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에 종래의 界畵的 시각이 아닌 건축적 안목을 통한 '建築圖'로서 해석이 요구되고 있다. 本 硏究는 현존하는 朝鮮時代의 造營關聯 儀軌를 대표하는 營建儀軌類(표1-2참조), 山陵儀軌類(표1-3 참조), 謄錄(표1-2 참조)의 분석을 통해 건축도의 형식적 보편성을 파악하였고, 특히 華城城役儀軌의 분석을 통해 건축도의 특수성을 파악하였다. 本 論文의 구성은 제 1章의 序論, 제 2章에서 제4章까지는 本論, 제5章의 結論으로 되어 있으며, 연구의 결과를 종합한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선시대의 영건관련 의궤의 建築圖는 국가적인 조영활동의 결과를 法式的으로 기록한 그림으로서 造營記錄性과 禮典的 法式性 및 記錄繪畵性을 갖는다. 2. 建築圖는 圖畵署의 畵員에 의해 작성되며, 제작형태는 보통 筆寫나 木版畵로 이루어지는데「圖說」,「圖式」,「圖形」등의 형식적 체제를 통해 표현된다. 나아가 본격적인 형식체제를 갖춘 시기는 18세기 후엽으로 파악되고 있다. 3. 建築圖의 구성형식에는 배치도·평면도·외부 입면도·내부 단면도·상세도·분해도 등을 표현하고 있으며, 원근개념·단면개념·규모개념·상세개념·방향·위치개념·안 밖개념·분해개념 등 공간표현을 위한 다양한 형식개념을 갖고 있다. 지금의 도면 형식과 유사한 특성을 지닌다. 4. 영건관련 의궤의 建築圖에서 나타내는 주목되는 표현 용어로서 평면의 구성이나 규모를 나타낸「間架圖」, 건축골조의 짜임형배를 나타내는「加道理圖」, 건물 외형의 위치에 따라「外圖」·「內圖」, 건물 실내부의 공간 형태를 나타내는「襄圖」, 규모에 따라「全圖」·「分圖」등이 있다. 5. 建築圖 표현에 사용된 圖法의 종류는 立面型, 平面型 등의 이차원적인 작법과 平行直透視型, 平行斜透視型, 收斂透視型 및 逆收斂透視型 등 삼차원적 작법으로 분류될 주 있다. 전체적으로 입면형을 기본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쉽게 조화되고 상호 복합이 용이한 입체도를 형성하고 있다. 6. 建築圖에 이용된 視方式은 俯瞰視를 기본 바탕으로 이루어지나, 대부분 仰視, 地上視 등의 복합화를 통해 단일평면에 최대한 건축물을 표현하고자 하는 시점의 융통성을 나타내고 있다. 7. 圖法의 傾向은 19세기 이후를 기점으로 平面性에서 立體性으로, 多方向 移動視點에서 單一方向의 固定視點으로, 垂直構圖에서 傾斜構圖로 변화하며 강한 收斂性 遠近의 경향을 나타낸다. 따라서 立面型·平行直透視型에서 平行斜透視型·收斂透視型으로 변화하는 새로운 발달 특성을 갖는다. 8. 華城城役儀軌의 建築圖는 목판화도로서 가장 寫實性과 立體性을 높이는 발전적인 다양한 형식특성 및 새로운 도법을 구사하여 조선시대 건축도의 대표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상의 연구에서 조선시대의 영건관련 의궤에 제시된 建築圖는 정확한 尺度와 製圖규칙에 바탕을 둔 工學技術的 수준은 아니나, 건축의 형태와 공간을 專用的 圖面으로 설명하고 있다는 사실로써 큰 건축사적 의의를 제공하고 있다. This dissertation is a close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ural drawings in Eui-Gue, the national documents which reported the architectural activities in Chosun Dynasty. These drawings have a great significance in the formation of Korean architectural drawing. Architectural drawings must be interpreted not: as painting of 'Gea Hwa' but as drawing of architectur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examined the universal character of the architectural drawings through the analysis of three major Eui-Gue's which represented the contemporary architectural activities, i.e. the Young-Gun-Eui-Gue, the Dung Rok, and the San-Lung-Eui-Gue. And the thesis also made a research on the special character of the architectural drawings through the analysis of Hwa-Sung-Sung-Yuk--Eui-Gue, a Young-Gun-Eui-Gue in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This dissertation is composed of 5 Chapters: Chapter 1: introduction, Chapter 2∼4; body, and Chapter 5; summary conclusion. The major contents can be summarized a follows: 1) The architectural drawings of Eui-Gue in Chosun Dynasty were a kind of representational architype, normatively representing the results of the national architectural activities. The basic characters of them are the records concerned with building construction, the normative feature of YEA-code, and the documentary feature of painting. 2) The architectural drawings of the Eui-Gue related to the architectural construction were made by Hwa-Won(offcial painters) in Do-Hwa-Suh(painting office). The method of production was generally the line drawing composed of transcription or wood-engraving-drawing. The drawings had the forms of 'Do-Seul', 'Do-Sik', and 'Do-Hyung'. Furthermore, it is supposed that the proper form and method were established around the latter 18th century. 3) As for the contents of drawings, they usually adopted not only the site and the building exterior but also the building interior, the building elements and implements. The compositional types can be classified into the site layout, the plan, the elevation, the interior section, the detail, etc. For the concepts of drawing, they used the concepts of a perspective, a section, a size, a detail, an orientation and a position, an interior and exterior, and a decomposition, etc. These are similar to the forms of compositional types in today's architectural drawing. 4) The terms noticed in the Eui-Gue related to architectural construction are 'Gan-Ga-Do'(drawings of plan composition and scale),'Ga-Do-Ri-Do' (drawings of the frame sructure), 'Oe-Do' and 'Nae-Do'(drawings of the outside/inside), 'I-do'(drawings of the interior section), 'Jeon-do' and 'Bun-Do'(drawing of the total or partial element). 5) The drawing methods which were were adopted can be grouped into the elevation type and the plan type as two-dimension, and the right-parallel perspective type, the oblique-parallel perspective type, the converge perspective type, the riverse-perspective type, as three-dimension. We can see that the general developmental process of drawings turned toward the elevation type. But the other types of drawing came to be easily applicable to and harmonizable with the elevation type. 6) The major view method adopted in architectural drawings is 'Boogam' (hovering view point). But the drawing types were flexible in describing of maximum view on a single plane by adopting both standing viewpoint and the looking- up view point. 7) As for the drawing style, there were found some changes i.e., from the two-dimension to the three-dimension, from the multi-view to the single-view, from the right-parallel perspective type to the oblique-parallel perspective type, from the negative converge perspective to the positive converge perspective. These changes occurred at about the end of the 18th century. 8) The Architectural drawings of Hwa-Sung-Sung-Yuk--Eui-Gue are the wood-engraving-drawings which show a new trend of realistic and three-dimensional expression. And it plays a leading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architectural drawing of Chosun Dynasty The architectural drawings of the Eui-Gue related to the architectural construction in Chosun Dynasty can not be said to be a scientific projection method based on exact scale and rule of drawing. Nevertheles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architectural drawings, as the drawings of authority, were delineated the form and space of the architecture, they contain an important historical significance in archite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