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용 계산기 Ans - gonghag-yong gyesangi Ans

728x90

* 기종: 카시오 fx-570ES PLUS

공학용 계산기를 이용해서 X값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간단하게 5+ x = 13 을 해보겠습니다 :)

1. ALPHA키를 누른 후) (x)를 눌러 x를 입력합니다
: alpha키를 누르면 화면에 A가 표시되며 알파모드임을 알 수 있습니다
‘ )’ 위에 x 가 적혀있습니다
이는 알파모드에서는 x로 이용된다는 의미입니다


2. ALPHA키를 누른 후 CALC (=)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식을 마저 입력합니다

(입력모습)


3. SHIFT키를 누른 후 CALC (solve)를 누릅니다

Shift+solve눌렀을 때

위의 화면에서 =버튼을 누르고 기다리면 끝!!

정답인 8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제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려요 :)
더 좋은 글을 쓰는 힘이 된답니당 ◡̈

반응형

'기사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fx570 cos (180)을 -1로 출력하기  (0)오픽 부산센터 후기 / OPIC 할인  (0)[ Q-net ] 큐넷 상장형 자격증 발급  (0)기사 필기 인정 기간  (2)[ Q-net ] 큐넷 기사 접수 꿀팁 이것만 보면 무.조.건. 성.공. !!!!  (6)
2021.06.16
2021.02.20
2020.12.31
2020.10.17
2020.07.27

Posted by mminky

TAG alpha, fx 570, Shift, solve, X, 공학용 계산기, 공학용 계산기 x값, 공학용 계산기 이용법, 변수 구하기

Comment 4

댓글을 달아 주세요

     Name  Password

     Homepage

     secret

    1. Store & Recall

    계산기에 보면 RCL 버튼이 있습니다. Recall 의 약자로 불러오기 기능을 담당합니다. 

    그리고 그 위에 보면 STO 라고 적혀 있습니다. Store 의 약자로 저장하기 기능입니다. 【SHIFT】【RCL】 의 키 조합으로 입력합니다. 

    일부 계산기(fx-9860G)는 문자 대신 화살표 기호로 【⇒】 저장(Store) 기능을 표시하기도 합니다. 여기에는 (RCL) 기능이 없으므로 알파벳 키 【ALPHA】 를 이용해서 저장된 값을 불러옵니다. 

    2. 사용 방법 

    저장하기  (Store)

    123456 이라는 숫자를 변수 메모리 C에 저장할 때 : 
    【123456】【SHIFT】【RCL】【hyp】

    └ [fx-570ES Plus] 기준

    불러오기 (Recall)

    변수 메모리 C를 불러올 때 :
    【RCL】【hyp】 또는 【ALPHA】【hyp】【=】

    지우기 (Clear)

    변수 메모리 전부를 지울 때 :
    【SHIFT】【9】【2】【=】【AC】 : [fx-570 ES] 의 경우, 계산기마다 키 입력이 다름

    변수 메모리 C만 따로 지울 때 :
    【0】【SHIFT】【RCL】【hyp】 : 0 을 C에 저장 

    3. 주의사항

    1. 저장 가능한 데이터 타입
      숫자
       
    2. 사용 가능한 변수 메모리
      [fx-350] : A~D, X, Y, M
      [fx-570] : A~F, X, Y, M
      [fx-9860G] : A~Z, γ, θ
      ※ 이들 변수 중에서 X, Y 같은 특수한 변수는 다른 기능에 사용될 수도 있으므로 가급적 다른 변수를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 

    4. 관련 링크

    • //www.allcalc.org/8406
      [공학용 계산기] 긴 수식은 변수 메모리 기능을 활용하세요! STO / RCL / Ans

    1. 식의 길이와 에러

    계산기, 특히 공학용 계산기를 이용하다보면 식이 길어질 때가 있습니다. 계산기 사용이 익숙한 경우에는 단번에 "다다다다다다다다다닥"하고 입력할 수도 있지만, 아무리 계산기 달인이라 하더라도 식이 길면 실수확률이 높아지고, 실수가 발생한 부분을 찾아내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수식을 부분부분 잘라서 변수에 저장하고 

     그 변수들을 조합해서 수식을 최종 완성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변수 활용할 때의 장점

    1. 계산 화면 보기가 좋습니다. 
    2. 실수할 확률이 낮아집니다. 
    3. 에러 발생시 검토과정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4. 중간 결과값을 활용해서 다양한 계산에 써먹을 수 있습니다. 

    2. 저장 Store & 불러오기 Recall

     주의

    • 수식을 완성하고 마지막에 【STO】【변수명】 을 입력하면 저장이 됩니다. 
      STO 기능을 식 중간에 집어넣으면 에러가 납니다.
    • 저장하면서 변수명을 입력할 때 【ALPHA】 키를 눌러야 하는 기종이 있고, 【ALPHA】 는 생략하고 변수에 해당하는 키만 눌러도 되는 기종이 있습니다. 
    • 결과값을 두번다시 이용하지 않을 것이 확실하다면, 변수에 저장하는 과정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은 【Ans】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겠습니다. 
    • 변수를 이용한 계산이 끝나고, 다음 문제로 넘어갈 때는 DATA 초기화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값이 저장된 것을 깜빡하고 다른 계산에서 변수를 불러서 사용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공식의 저장

    결과로서 상수값을 저장하는 것과, 공식을 저장하는 것은 전혀 다른 차원의 문제입니다.

    공식을 저장하는 기능은 프로그래밍 급의 공학용 계산기 수준에서부터 가능한 기능입니다. 1만원~2만원정도의 기본형 계산기에서도 여러 부가 기능을 활용하여 공식을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저장이 되지 않으므로, 말그대로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입니다. 

    4. 관련 링크

    •  //www.allcalc.org/6612
      [CASIO] (계산 결과) 숫자의 저장 Store 및 불러오기 Recall (메모리 변수 활용)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