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 와인 페어링 - hoe wain peeoling

회 와인 페어링 - hoe wain peeoling

우리가 와인을 즐기며 가장 자주 하는 질문이 뭘까? 이에 대한 답은 와인이 어떤 음식에 어울릴지 혹은 반대로 음식에 가장 어울리는 와인이 뭔지가 아닐까 싶다. 누구나 전 세계 요리를 쉽게 즐길 수 있는 요즘 언제나 적용해볼 수 있는 음식과 와인 페어링 기초 중의 기초 사항을 정리해본다.


와인 애호가에게 음식과 와인 페어링은 단순히 음식+와인이 아니다. 성공적인 와인 페어링은 추억이 되어 마음 속에 머물며 비루한 일상을 견디는 데 도움을 준다. 그렇다 보니 우리는 자칫 완전한 와인 페어링 공식이 존재하길 꿈 꾸거나 아니면 어떻게 먹어야만 한다는 의식에 너무 얽매이고 만다. 하지만, 막상 와인 생산국 사람들이나 실제로 오래 와인을 마신 이들을 보면 그냥 즐길 뿐 와인 페어링 자체에 얽매여 힘들어하지 않는 거 같다.

회 와인 페어링 - hoe wain peeoling

그들은 우리와 다르게 뭘 터득한걸까? 

바로 음식과 와인 페어링에는 규칙이 없다는 점이다. 사실 음식과 와인 페어링 세계에는 이미 누구나 알고 있는 혹은 반드시 알게 되는 피하면 좋은 와인 페어링과 안전한 페어링이 있을 뿐이다. 생각을 바꿔보면, 먹는 일에 규칙이 있는 점도 어쩌면 조금 우습고, 규칙이 있다한들 내 입에 안 맞으면 소용이 없고, 규칙이 있다면 그 규칙에 따라서만 먹을 건지 반문하게 된다. 따라서, 자연스레 와인을 즐기고 싶다면, 자신의 취향에 최대한 솔직하게 반응하며 자유롭고 창의적인 와인 페어링을 하시길 강력하게 권하고 싶다.


그런데도 약간의 안내가 필요하다면 다음 이야기를 들어보자.


생선엔 화이트, 고기엔 레드 와인은 그저 안전한 페어링일 뿐이다.
생선엔 화이트, 고기엔 레드 와인으로 페어링하는 건 그저 실패하지 않는 안전한 페어링일 뿐이다. 그리고 때로는 이 페어링도 실패작이 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싱싱한 껍질 굴와 샤블리의 페어링이 잘 알려졌지만, 실제로 먹어보면 이상한 경우가 많다. 반면, 돼지고기와 샤르도네, 두꺼운 떡 광어와 피노 누아, 붉은 참치회에 서늘한 기후 시라, 술에 쪄낸 새우요리에도 론 지방 레드 와인이 환상적인 페어링을 보이기도 한다. 때로 상당한 무게를 지닌 마르산느, 루산느, 비오니에 같은 화이트는 보통 레드 와인을 페어링하는 요리와 즐겨도 맛있다. 오크 숙성한 기본 와인으로 만든 샴페인도 잘 구운 스테이크에 참 잘 어울리니 한 번쯤 경험해보시길 추천한다.


균형과 조화를 생각하자.
음식과 와인은 서로를 압도하기보다 좋은 반려자가 되는 경우가 좋다. 풍미가 강한 음식엔 같은 강도의 와인을, 섬세한 요리엔 우아한 와인을 페어링하면 늘 성공할 수 있다. 예로, 바삭하게 볶은 베이컨칩을 곁들인 아스파라거스에 풀이나 피망 향을 내는 소비뇽 블랑이나 후추 향을 내는 그뤼너 벨트리너를 페어링할 수 있다. 제철에 수확한 버섯이 잔뜩 들어간 요리라면 흙내음과 수풀 향을 내는 피노누아를 생각할 수 있다.

회 와인 페어링 - hoe wain peeoling

와인의 산미는 음식의 신맛, 짠맛, 그리고 기름를 좋아한다.
산미가 좋은 와인은 신맛이 강한 음식, 짭짤한 음식 그리고 기름진 음식에 두루 잘 어울린다. 따라서, 산미가 높은 샴페인이나 스파클링 와인, 화이트 와인, 셰리 등은 음식과의 페어링에 상대적으로 유리하다. 예로, 튀김 요리는 레몬즙이나 식초가 든 간장 소스 혹은 소금에 찍어 먹는 경우가 많은데, 산미가 높은 샴페인이나, 리슬링, 피노 그리 등을 곁들인다면, 좋은 페어링을 이루는 걸 들 수 있다.

회 와인 페어링 - hoe wain peeoling

타닌이 풍부한 와인은 기름진 음식과 먹자.
와인 속 타닌은 수렴성이 있어 오래 우린 녹차를 마셨을 때처럼 입안이 조여드는 느낌을 준다. 타닌은 아르헨티나 말벡이나 카베르네 소비뇽 같은 와인에 풍부하게 들어있다. 이 타닌은 와인만 마실 땐 입을 조여서 힘들게 하지만, 기름기와 결합하면 놀라운 조화를 이룬다. 따라서, 타닌이 많은 레드 와인은 잘 구운 양고기, 꽃등심이나 갈빗살 구이 혹은 즙이 많은 소시지를 먹을 땐 정말 환상적인 페어링을 이룬다.


감칠맛이 풍부한 음식엔 산미와 스파이스 풍미가 좋은 와인이 필요하다.
감칠맛은 일본의 한 과학자가 분리해내 우마미(Umami)로도 불리는데, 음식의 맛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감칠맛이 뛰어난 음식에는 버섯, 다시마, 토마토, 앤쵸비(우리 같으면 젓갈), 딱딱한 치즈, 붉은색 살코기, 등등이 있다. 우리가 양념에 자주 사용하는 간장, 된장, 그리고 고추장, 요리에 기본적으로 내는 육수도 감칠맛 덩어리다. 이 감칠맛은 맛을 좋게 하지만, 조금 지나면 입안이 무거워지는 느낌을 주는데, 이에 조화를 이룰 와인은 산미와 스파이스 풍미가 좋은 와인이 추천된다. 좋은 예로, 오리고기를 먹거나, 버섯 피자나 파스타는 감칠맛이 풍부하니 산미와 스파이스를 갖춘 피노누아를 매칭하면 훌륭하다.

회 와인 페어링 - hoe wain peeoling


매운 음식은 어떡하지?
매운 음식과 타닌이 강한 레드 와인이 만나면, 입이 얼얼할 정도로 매운 맛이 강조되며 와인 속 알코올이 두드러진다. 하지만, 인도인들은 더운 날씨에 매운 커리에 레드 와인을 마시며 맛이 좋다고 한다니 이 페어링도 사람에 따라 다르게 받아들여진다는 걸 알 수 있다. 대부분 매운 음식엔 알코올이 좀 낮은 리슬링이나 세미용이 잘 어울린다고 설명한다. 일부에서는 과실 향이 좋은 게뷔르츠트라미너를 추천하기도 한다. 하지만, 필자는 안 그래도 입이 매운데 또 다른 느낌의 화한 게뷔르츠트라미너를 곁들이는 게 부담스럽다. 그리고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매운맛 느낌도 다르다 보니 생각할 일이 많아진다. 이야기를 줄이면, 매운 음식을 먹으며 음식의 열기를 낮추고자 한다면, 너무 타닌이나 알코올이 많은 와인만 피하면 된다. 살짝 단맛이 있는 리슬링은 즉각적으로 매운맛을 낮추니 참고하자.


디저트에 반드시 달콤한 와인까지 마셔야 하나?
집집마다 먹는 문화가 다르다보니 어느 집은 식사 후 꼭 달콤한 디저트로 마무리하지만, 그렇지 않은 집도 있다. 대부분 달콤한 음식에는 그보다 더 달콤한 와인을 마시라고 한다. 하지만, 생각을 좀 바꾸어 달콤한 와인 한 두 모금으로 끝내면 어떨까? 혹은 전 세계 어디서나 통하는 단짠의 페어링을 시도해보길 제안한다. 예로, 달콤한 와인에 짭짤한 치즈의 페어링은 단맛이 짠맛과 조화를 이루며 훨씬 자연스러운 페어링을 보이기 때문이다.

필자는 보통 뜨거운 국물 음식에 와인을 곁들이지 않지만, 언젠가 먹다 남은 그뤼너 벨트리너 와인을 물떡을 넣은 어묵탕에 곁들인 적이 있다. 왜 어울리는지 모르겠지만 어묵탕과 와인의 조화가 참으로 훌륭해 한 입 한 모금 음식과 와인을 줄어들 때마다 안타까움이 든 적이 있다. 반대로, 공동 구매한 희귀한 굴 파티에 비싼 샴페인을 열었건만, 굴도 샴페인도 상한 거 같아 결국 따로 먹은 경험도 있다. 따로 먹으니 아무렇지 않았다. 이처럼 상황이 벌어지는대로 음식과 와인 페어링을 즐기다 보면, 의외의 페어링을 찾기도 하고 정말 최악의 경험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들 저런들 와인과 함께한 시간이었고 그 자체로도 쉬는 시간이었느니 좋았다. 어떤 일이든 얽매이면 재미가 없는 법! 음식과 와인 페어링 기초 중의 기초를 익히고, 모두 즐거운 와인 생활 되시길 바라본다.

프로필이미지정수지 기자

작성 2019.07.22 09:47수정 2019.07.22 16:10

정수지 기자는 2011년 와인21 미디어 와인 전문 기자로 합류. 와인21에서 국제 미디어 협력과 와인 상식 및 용어 관련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정수지 기자는 WSET Advanced와 A+ Australian Wine Expert Level 1 & 2 자격, 스페인 와인, 마데이라, 미국 퍼시픽 노스웨스트, 모젤 와인 교육가 자격, 그리스 와인 전문가와 스페인 와인 전문가 인증을 받았다. 그녀는 2009년 호주 와인과 브랜디 공사와 영국 WSET가 준비한 호주 와인 여행 장학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2017년 그녀는 샴페인 기사 작위를 받았다.

현재 정수지 기자는 WSA 와인 아카데미에 외부 강사로 활동 중이며, 그 외 관공서와 기업 강의를 하고 있다. 세계 각국 마스터 클래스가 열릴 경우, 그녀는 와인 전문인 또는 와인 소비자 이해를 돕는 시음 패널 또는 강연자로 활동하고 있다. 더불어 WSET 중급과 고급 교재 기술 감수를 하고 있으며, 아시아 와인 트로피, 베를린 와인 트로피, 조선 비즈가 주최하는 대한민국 주류대상 등 다양한 와인 품평회에 심사 위원이다.

와인 저널리스트로서 그녀는 국내외 다양한 매체에 와인 관련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그녀는 세계 유수 와인 산지를 취재하며 테루아, 와인 법규, 와인 과학, 와인 트렌드, 와인 관광, 와인 페어링에 대한 글을 쓰고 있다. 그녀는 화이트 와인, 샴페인 및 스파클링 와인, 내추럴과 오렌지 와인, 희귀하고 새로운 와인에 늘 관심이 많다. 그녀는 오스트리아, 그리스, 모젤, 뉴질랜드, 호주, 스페인 와인과 샴페인에 특화되어 있다.

정수지 기자는 개인 블로그와 인스타그램에 상당수 팔로워를 갖고 있으며, 네이버 와인 인플루언서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