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합연구방법 장점 - honhab-yeongubangbeob jangjeom

최근 교육 연구나 교육 평가 분야에서 혼합 연구방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연구 현장에서의 혼합 연구방법의 활용은 단순히 양적 자료와 질적 자료를 동시에 사용하는 수준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실질적인 연구방법의 혼합은 패러다임의 혼합에서 이루어진다고 볼때 이러한 단순한 양적, 질적 자료의 활용으로는 혼합 연구방법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혼합 연구방법의 철학적 기반이라고 할 수 있는 패러다임의 혼합에 대한 논의를 통해 혼합 연구방법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혼합 연구방법의 의의와 장점을 살펴 본 후, 혼합 연구방법에서의 패러다임의 혼합에 대한 논쟁을 검토하였다. 또한 패러다임의 혼합에 대한 변증법적 입장을 토대로 패러다임 혼합의 네 가지 특징으로서 상이한 패러다임에 대한 개방성, 패러다임 혼합의 의도성, 패러다임의 차이에 대한 존중, 패러다임 혼합의 실제성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패러다임 혼합에 관한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이러한 패러다임의 혼합이 현장에서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 예시하였다.

Using mixing methods on the technical level is very common phenomena in educational research and evaluation in recent years. But, many researchers and evaluators can not utilize the fullest potential of mixed methods, though they routinely use a mix of different methods in their works. And at the level of philosophical assumptions, that is, of paradigms, there has been ongoing debate. The debate on paradigm is very meaningful not only for the legitimacy of mixed methods but also for the maximization of strengths of mixed methods. From this perspective this article investigates strengths of mixed methods, the meaning of mixing paradigms in mixed methods, and how the mixing paradigms can be related to the maximization of strengths of mixed methods. Finally, this article illustrates how mixing paradigm is occurred in practice throgugh a case of mixed methods inquiry.

〈요약〉

Ⅰ. 서론

Ⅱ. 혼합 연구방법(mixed methods)

Ⅲ. 패러다임의 혼합(mixing paradigm)

Ⅳ. 패러다임 혼합의 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혼합연구에 대한 개괄(Journal of Research in Nursing, 2009)

An overview of mixed methods research

Louise Doyle Lecturer School of Nursing & Midwifery Studies, Trinity College Dublin, 24 D’Olier St, Dublin 2, Ireland

Anne-Marie Brady Lecturer School of Nursing & Midwifery Studies, Trinity College Dublin, 24 D’Olier St, Dublin 2, Ireland 

Gobnait Byrne Lecturer School of Nursing & Midwifery Studies, Trinity College Dublin, 24 D’Olier St, Dublin 2, Ireland

도입

Introduction

이 방법을 사용하는 의료 연구자가 증가하면서 최근 들어 혼합 방법 연구가 건강관리 연구의 지배적인 패러다임으로 떠오르고 있다.

Mixed methods research is emerging as a dominant paradigm in health care research in recent years with an increase in health care researchers using this method.

따라서 보건 서비스 연구자들이 그들의 연구에서 혼합 방법 설계를 사용하는 것의 이점을 점점 더 확인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이것은 비교적 새로운 분야인 만큼, 혼합 방법 연구가 정확히 무엇이며, 의료 분야에서 연구자와 자금 제공자에게 어떤 이득이 되는지에 대한 논쟁과 혼란이 지속되고 있다.

It is clear therefore that health service researchers are increasingly identifying the benefits of using a mixed methods design in their research studies. As this is a relatively new area, debate and confusion persist as to what exactly constitutes mixed methods research and what are the benefits to researchers and funders in health care.

혼합 방법 설계의 정의

Definition of mixed methods design

혼합방법은 '조사자가 단일 연구에서 질적·정량적 접근법이나 방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조사 결과를 통합하고, 추론을 도출하는 연구'로 정의할 수 있다(타샤끄코리와 크레스웰, 2007:4)

Mixed methods may be defined as ‘research in which the investigator collects and analyses data, integrates the findings and draws inferences using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or methods in a single study’ (Tashakkori and Creswell, 2007:4).

혼합 방법 연구는 질적 차원 및 양적 차원을 포함하는 연구지만, 연구자가 두 요소가 서로 어떻게 관련되는지 명확히 설명하려고 시도할 때 종종 어려움이 발생한다(Tashakkori와 Creswell, 2007). 무엇이 혼합 방법 연구를 구성하는지에 대한 연구자들 사이에 불일치가 있다(산델로프스키, 2001; 브라이먼, 2007; 타샤코리와 크레스웰, 2007). 일부 해석에서는 혼합된 방법을 양적 및 질적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으로 본다. 이 분야의 더 많은 현대 저술들은 두 접근방식의 완전한 통합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했다(Hanson, et al., 2005; Bryman, 2007; Creswell and Plano Clark, 2007).

A mixed methods study is one that includes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imension, but difficulties often arise when the researcher attempts to articulate how the two elements relate to one another (Tashakkori and Creswell, 2007). There is an inconsistency among researchers about what constitutes mixed methods research (Sandelowski, 2001; Bryman, 2007; Tashakkori and Creswell, 2007). Some interpretations view mixed methods as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More contemporary writings in this area had sought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complete integration of the two approaches (Hanson, et al., 2005; Bryman, 2007; Creswell and Plano Clark, 2007).

존슨씨 외. (2007)은 이 연구 접근법이 계속 성장함에 따라 혼합 방법 연구의 정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할 것이라고 제안한다.

Johnson, et al. (2007) suggest that the definition of mixed methods research will change over time as this research approach continues to grow.

패러다임 논쟁과 혼합 방법 연구

Paradigm debate and mixed methods research

연구자들은 (자신이 선택한) 패러다임 내에 연구를 locate할 것을 요구받는다. 모건(2007년: 47년)은 패러다임을 '현장을 인도하는 신념과 실천의 집합'으로 정의하며, 패러다임은 연구자의 신념을 요약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Researchers are urged to locate their research in a selected paradigm. Morgan (2007: 47) defines a paradigm as ‘the set of beliefs and practices that guide a field,’ and it can be used to summarise the beliefs of researchers.

무헌에서 세계관, 이론적 렌즈, 패러다임은 모두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이다. 패러다임은 다음과 같이 구별되는 여러 요소에 의해 정의되는 세계관이다(Hanson, et al., 2005). 

  • 인식론(우리가 알고 있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 온톨로지(실제의 특성), 

  • 가치론(가치) 및 

  • 방법론(연구 과정) (Hanson, et al., 2005).

The world view, theoretical lens and paradigm are all terms used interchangeably in the literature. Paradigm is a world view that is defined by distinct elements including 

  • epistemology (how we know what we know), 

  • ontology (nature of reality), 

  • axiology (values) and 

  • methodology (the process of research) (Hanson, et al., 2005). 

즉 패러다임의 차이는 우리가 (무엇인가를) 어떻게 알게 되는지, 현실에 대한 우리의 해석은 어떠한지, 연구에서의 가치와 방법론에 영향을 미친다.

In other words, paradigm differences influence how we know, our interpretation of reality and our values and methodology in research.

패러다임은 연구자들이 제기할 질문과 그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Morgan, 2007). 연구자의 세계관은 그들이 서로 정렬하는 실증주의(양적) 패러다임이나 자연주의 또는 구성주의(질적) 전통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전통주의자들은 이러한 패러다임이 다르며 두 패러다임의 결합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할 것이다(샌델로프스키, 2001). 이 두 가지 연구 패러다임이 양립할 수 없는 것은 [양쪽 전통의 온톨로지적 자세와 인식론적 자세를 결합할 수 없기 때문이라는 가정]이 있다(구바와 링컨, 1988)

Paradigm will influence the questions that researchers will pose and the methods they employ to answer them (Morgan, 2007). The world view of the researcher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positivist (quantitative) paradigm or naturalistic or constructivist (qualitative) tradition to which they align themselves. Traditionalists would argue that these paradigms are different and a combination of the two is not possible (Sandelowski, 2001). There is an assumption that the research paradigms are not compatible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combine the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stances of both traditions (Guba and Lincoln, 1988).

전통적으로, 연구자들은 [양적 방법과 관련된 실증주의적 과학적 연구 모델]과 [질적 방법과 관련된 해석적 모델] 사이에서 강제적인 선택을 해왔다(Howe, 1985) 역사적으로 보건의료연구에서의 접근법은 거의 전적으로 연구자가 객관적이고 편견이 없는 필요성을 전제로 한 양적 또는 실증주의적 전통을 따르고 있었으며, 많은 사람들에게 그것이 '표준gold standard'으로 간주된다

Traditionally, researchers have made a forced choice between the positivist scientific model of research associated with quantitative methods and the interpretative model associated with qualitative ones (Howe, 1985). Historically, the approach in health care research was nearly exclusively of the quantitative or positivist tradition which was predicated on the necessity for the researcher to be objective and unbiased, and for many, it is considered to be the ‘gold standard.’ 

실증주의는 하나의 현실이 존재하므로 객관적인 측정과 정량적 분석을 통해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고 주장한다(Firestone, 1987). 실증주의적 패러다임에서 연구자는 신중하게 구성된 가설을 시험하기 위해 더 큰 표본을 사용하여 독립적이고 객관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실증주의 전통에서의 지배적인 견해wisdom은 연구자가 탐구 과정에서 편견을 피하기 위해 (본인의) 가치를 제쳐둘 수 있다는 것이다.

Positivism contends that there is a single reality and therefore seeks to identify causal relationships through objective measurement and quantitative analysis (Firestone, 1987). In the positivist paradigm, the researcher is considered independent and objective using larger samples to test carefully constructed hypothesis. The prevailing wisdom is that the researcher in the positivist tradition can put aside values to avoid bias in a process of inquiry.

연구자들이 인간 경험의 맥락을 조사하려고 하면서 실증주의적 형태의 조사의 대안으로 구성주의 또는 질적 연구가 등장했다(Schwandt, 2000). 질적 패러다임은 최근 몇 년 동안 더 큰 관심을 받고 있으며, 때로는 자연주의적 탐구, 후-긍정적, 구성주의적 또는 해석적 접근법으로 설명되기도 한다(Creswell, 1994). 구성주의는 (어떤 연구에서든) 다양한 현실과 다른 해석이 나올 수 있다고 제안한다(Appleton and King, 2002).

Constructivism or qualitative research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the positivist form of inquiry as researchers sought to examine the context of human experience (Schwandt, 2000). The qualitative paradigm is receiving greater attention in recent years and is sometimes described as the naturalistic inquiry, post-positive, constructivist or interpretative approaches (Creswell, 1994). Constructivism proposes that there are multiple realities and different interpretations may result from any research endeavour (Appleton and King, 2002).

구성주의적 패러다임을 가진 연구자들은 타인의 경험에 대한 상세한 설명 과정을 통해 타인의 현실을 조명하고자 한다(Appleton and King, 2002). 해석적 패러다임에서, 연구자는 더 작은 표본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더 깊이 이해하는데 초점을 두고 주관적이다.

Researchers who work within the constructivist paradigm seek to illuminate the reality of others through the process of detailed descriptions of their experiences (Appleton and King, 2002). In the interpretative paradigm, the researcher is subjective with the focus directed at deeper understanding of what is happening with a smaller sample.

연구자가 연구에 몰두하는 구성주의적 패러다임에서와 달리, 실증주의적 관점에서 연구자는 연구 성과는 분리되어detached 있기에 연구자의 가치에 의해 편향되지 않는다는 것이다(Firestone, 1987년).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논리적 실증주의가 객관적이고 반면에 자연주의적인 조사는 주관적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Howe(1985)는 어떤 연구도 가치 판단에서 자유롭지 못하며 '가치를 가둬두려는bracket 시도'(p. 12)는 더 음흉한 편견을 낳을 뿐이라고 강하게 주장한다.

The positivist viewpoint is that the research outcomes are not biased by the values of the detached positivist researcher unlike in the constructivist paradigm where the researcher is immersed in the research (Firestone, 1987). The assumption is that logical positivism is objective, whereas the naturalistic inquiry is subjective. Howe (1985) argues strongly that no research endeavour is free from value judgments and an ‘attempt to bracket values’ (p. 12) only produces more insidious bias.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가 차별화될 수 있는 주요 방법 중 하나는 귀납과 연역의 구별이다(Morgan, 2007). 양적 연구의 단순화된 견해는 객관적인 추론 과정인 반면에 질적 과정은 주관적이고 맥락으로만 볼 수 있는 연역적 과정이라는 것이다(Morgan, 2007).

One of the key ways that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ay be differentiated is the distinction between induction and deduction (Morgan, 2007). The simplistic view of quantitative research is that it is an objective process of deduction whereas the qualitative process is subjective and a process of induction that can only be viewed in context (Morgan, 2007).

그것을 묘사할 때 사용되는 혼합된 방법과 언어의 분야는 비교적 새로운 것이다.

The field of mixed methods and language used to describe it is relatively new.

양적 대 질적 논쟁은 두 접근법이 상호 배타적이라는 착각을 낳았다(샌델로스키, 2001). 연습 훈련은 때때로 지나치게 '방법론적 곡예'에 관심을 갖는다(산델로프스키, 2001: 335). 일부 연구자들은 패러다임 간의 경쟁이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믿고 있으며, 전통적인 경쟁 관계가 유용하게 결합될 수 있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Sale, et al., 2002; Stevenson, 2005). 혼합방법은 정량적 위치와 질적 위치 사이의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제3의 패러다임이 될 수 있다고 제안된다(Johnson과 Onwuegbuzie, 2004).

Quantitative versus qualitative debates have resulted in an illusion that the two approaches are mutually exclusive (Sandelowski, 2001). The practice disciplines are sometimes overly concerned with ‘methodological acrobatics’ (Sandelowski, 2001: 335). Some researchers believe that competition between paradigms is not helpful, and focus on ways in which traditional rivalries may be usefully combined (Sale, et al., 2002; Stevenson, 2005). It is proposed that mixed methods may be the third paradigm, capable of bridging the gap betwee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ositions (Johnson and Onwuegbuzie, 2004).

혼합 방법 연구는 연구 과정 전반에 걸쳐 질적 접근과 질적 접근의 혼합을 가능하게 하는 철학적 가정에 의해 유도된다(Hanson, et al., 2005). 실용주의 철학은 그 결과들이 과정보다 더 중요하며 따라서 '끝이 수단을 정당화한다'는 개념을 발전시켰다. 실용주의 철학은 연구자들이 연구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어떤 것이 작용하는지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도록 '절충주의'와 '연구 방법과 개념 선택에 대한 필요 기반 또는 우발적 접근'을 옹호한다(Johnson and Onwuegbuzie, 2004: 17).

Mixed methods research is guided by philosophical assumptions that enable the mixing of qual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throughout the research process (Hanson, et al., 2005). The philosophy of pragmatism advanced the notion that the consequences are more important than the process and therefore that ‘the end justifies the means’. It advocates eclecticism and ‘a needs-based or contingency approach to research method and concept selection’ (Johnson and Onwuegbuzie, 2004: 17), so that researchers are free to determine what work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연구에 대한 실용적인 접근법에서는 탐구 과정에서 귀납과 연역 사이를 왔다 갔다 할 수 있는 abduction 과정이 권장된다(Morgan, 2007).

The pragmatic approach to research: a process of abduction is recommended which enables one to move back and forth between induction and deduction through a process of inquiry (Morgan, 2007).

존슨과 Onwuegbuzie(2004)는 혼합 방법 연구 분야가 양적 대 질적 논쟁을 넘어설 것이라는 포부를 공유하고 있다. 그 대신, 앞으로는 두 패러다임의 유용성을 인식하고 이러한 접근방식이 서로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약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한 연구에서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을 확인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본다. 그들은 더 나아가 non-purist 입장을 취하여, 연구자들이 그들의 특정한 연구 질문에 대답할 수 있는 가장 좋은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결합하여 연구를 설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Johnson and Onwuegbuzie (2004) share their aspirations that the field of mixed methods research will move beyond quantitative versus qualitative arguments and will instead focus on recognising the usefulness of both paradigms and identifying how these approaches can be used together in a single study to maximise the strengths and minimise the weaknesses of each other. They further contend that taking a non-purist position allows researchers to design research studies that combine methods that will offer the best chance of answering their specific research questions.

혼합 방법 연구의 근거

The rationale for mixed methods research

혼합 방법 연구 연구를 수행한 많은 이유가 확인되었다. 혼합 방법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제안된 주요 합리성 또는 편익은 다음과 같다.

Many reasons have been identified for conducting a mixed methods research study. The main rationales or benefits proposed for undertaking a mixed methods study are as follows:

삼각측량: 이것은 양적 데이터와 질적 데이터 사이의 확증을 추구함으로써 연구에서 더 큰 유효성을 허용한다.

  • Triangulation: this allows for greater validity in a study by seeking corroboration betwee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완전성: 연구 접근법을 조합하여 사용하면 연구 현상에 대한 보다 완전하고 포괄적인 그림을 얻을 수 있다.

  • Completeness: using a combination of research approaches provides a more complete and comprehensive picture of the study phenomenon.

약점을 상쇄하고 더 강한 추론을 제공: 많은 저자들은 혼합된 방법 접근법을 사용하면 각 접근법의 한계를 무력화시킬 수 있으며, 강점이 구축되어 더 강하고 정확한 추론을 제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Bryman, 2006; Creswell, et al., 2003).

  • Offsetting weaknesses and providing stronger inferences: many authors argue that utilising a mixed methods approach can allow for the limitations of each approach to be neutralised while strengths are built upon thereby providing stronger and more accurate inferences (Bryman, 2006; Creswell, et al., 2003).

다양한 연구 질문에 답변: 크레스웰과 플라노 클라크(2007)는 혼합 방법 연구가 정량적 또는 정성적 방법만으로 대답할 수 없는 연구 질문에 대답하는 데 도움이 되며 연구의 목적과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한 더 큰 도구 레퍼토리를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게다가, 세일, 외. (2002) 현상의 복잡한 특성과 요구되는 관점의 범위 때문에 간호와 같은 분야에서 연구 접근법의 조합이 어떻게 유용한지를 확인한다.

  • Answering different research questions: Creswell and Plano Clark (2007) argue that mixed methods research helps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at cannot be answered by quantitative or qualitative methods alone and provides a greater repertoire of tools to meet the aims and objectives of a study. Furthermore, Sale, et al. (2002) identify how a combination of research approaches is useful in areas such as nursing because of the complex nature of phenomena and the range of perspectives that are required.

결과의 설명: 혼합 방법 연구는 한 연구 접근법(즉, 양적 또는 질적)을 사용하여 다른 연구 접근법을 사용하여 연구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설명할 수 있다. 이것은 예상치 못한 또는 특이한 발견이 나타날 때 특히 유용하다. 예를 들어, 정량적 조사의 결과는 조사 대상의 표본과 인터뷰를 수행하여 얻은 결과에 대한 이해를 얻음으로써 추적되고 설명될 수 있다.

  • Explanation of findings: mixed methods studies can use one research approach (i.e., quantitative or qualitative) to explain the data generated from a study using the other research approaches. This is particularly useful when unanticipated or unusual findings emerge. For example, findings from a quantitative survey can be followed up and explained by conducting interviews with a sample of those surveyed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findings obtained.

데이터의 예시: 정량적 발견을 설명하기 위해 정성적 연구 접근법을 사용하는 것은 조사 중인 현상에 대한 더 나은 그림을 그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브라이먼(2006)은 이것이 건조한 양적 데이터의 '뼈에 붙은 고기'를 넣는 것과 비슷하다고 주장한다.

  • Illustration of data: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to illustrate quantitative findings can help paint a better picture of the phenomenon under investigation. Bryman (2006) suggests that this is akin to putting ‘meat on the bones’ of dry quantitative data.

가설의 개발 및 시험: 후속 정량적 단계에서 시험할 가설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의 질적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 Hypotheses development and testing: a qualitative phase of a study may be undertaken to develop hypotheses to be tested in a follow-up quantitative phase.

도구 개발 및 시험: 정성적 연구는 연구의 정량적 단계에서 사용될 설문지에 포함하기 위한 항목을 생성할 수 있다.

  • Instrument development and testing: a qualitative study may generate items for inclusion in a questionnaire to be used in a quantitative phase of a study.

이러한 점들은 특정 연구 질문에 대답할 때 혼합된 방법 연구 접근법이 가질 수 있는 유용성을 식별한다. 그러나 혼합 방법 연구가 연구 펀딩 유치 측면에서 더 실질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Gidding, 2006).

These points identify the usefulness that a mixed methods research approach can have in answering a particular research question(s). However, it has been noted that mixed methods research may have more practical benefits in terms of attracting research funding (Giddings, 2006).

혼합방법의 유형론

Typology of mixed methods

타샤크코리와 테들리(2003년: 680년)는 typology의 결정은 "혼합된 방법론에서 가장 복잡하고 논란이 많은 문제들 중 하나"라고 말한다. 혼합 방법의 유형론을 갖는 주요 이점은 방법론에 관한 엄격한 전달, 혼합 방법 연구에 대한 지침 제공 및 언어 개발 지원이다(Bryman, 2006; Teddlie와 Tashakkorri, 2006). 

Tashakkori and Teddlie (2003: 680) state that the determination of a typology is “among the most complex and controversial issues in mixed methodology.” The main advantages of having a typology of mixed methods include 

  • the conveying rigor regarding the methodology, 

  • providing guidance and 

  • assisting in the development of language for mixed methods research (Bryman, 2006; Teddlie and Tashakkorri, 2006). 

본 논문에서는 크레스웰과 플라노 클라크(2007)와 리치, 온웨그부지(2007)가 개발한 최근 분류 체계 2가지가 윤곽을 드러낼 예정이다.

In this paper, two recent classification systems developed by Creswell and Plano Clark (2007) and Leech and Onwuegbuzie (2007) will be outlined.

방법론을 결정할 때 첫 번째 질문은 [연구 질문에 가장 적합한 접근법]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는 모든 연구자가 해결해야 할 근본적인 문제로서 크레스웰과 플라노 클라크(2007)는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혼합 방법 접근법의 선택을 정당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해 왔다.

The first question when deciding on methodology is to ascertain which approach will best suit the research question. This is a fundamental issue that all researchers need to address, and Creswell and Plano Clark (2007) have stressed the importance of justifying the selection of a mixed methods approach to conduct research.

크레스웰과 플라노 클라크(2007)는 특정한 유형의 혼합 방법 설계를 선택하기 전에 내려야 할 세 가지 주요 결정이 있다고 제안하고, 그림 1은 고려해야 할 주요 이슈를 식별하는 의사결정 트리를 요약한다.

Creswell and Plano Clarke (2007) suggest that there are three major decisions to make before selecting a particular type of mixed methods design, and Figure 1 outlines a decision tree that identifies the main issues that need to be considered.

  • 첫 번째 결정은 질적 단계와 양적 단계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 두 방법 모두 동등한 우선순위를 부여받는지 결정하는 것도 중요한 결정이다. 

  • 세 번째 쟁점은 질적 방법과 양적 방법의 혼합이 어디에서 일어날 것인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 The first decision to be made is regarding conducting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ages concurrently or sequentially. 

  • Deciding whether both the methods are given equal priority is another key decision. 

  • The third issue is to ascertain where the mixing of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will occur.

크레스웰과 플라노 클라크(2007)는 기능적이고 편협한 것으로 묘사하고 4가지 주요 유형의 혼합 방법 연구를 식별하는 혼합 방법 설계의 유형학을 개발했다(그림 2).

Creswell and Plano Clark (2007) have developed a typology of mixed methods designs, which they describe as being functional and parsimonious, and which identifies four main types of mixed methods research (Figure 2).

삼각측량 설계는 가장 보편적이고 잘 알려진 설계로, 이것은 이전에는 동시 삼각측량 설계로 알려져 있었다(Creswell, et al., 2003). 정량적 단계와 질적 단계는 동시에 발생하며, 두 방법 모두 대개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한다.

The triangulation design is the most common and well-known design, and this was previously known as the concurrent triangulation design (Creswell, et al., 2003).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hases occur at the same time, and both the methods are usually given equal weighting.

삼각측량 설계의 전통적인 모델은 해석 단계에서 통합이 일어나는 수렴 모델이다.

The traditional model of triangulation mixed methods design is the convergence model where integration occurs during the interpretation phase.

데이터 변환 모델 내에서 정량적 데이터와 정성적 데이터를 동시에 수집하고, 초기 분석 후에는 정성적 데이터를 정량화하거나 정량적 결과를 선별하여 데이터를 변환한다.

Within the data transformation model,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are collected concurrently, and after the initial analysis, the data are transformed either by quantifying qualitative data or by qualifying quantitative results.

Creswell과 Plano Clark(2007)는 측량 기구에 대한 개방된 질적 질문의 사용을 검증된 정량적 데이터 삼각형 혼합 방법 설계로 설명한다.

Creswell and Plano Clark (2007) describe the use of open-ended qualitative questions on a survey instrument as a validated quantitative data triangulation mixed methods design.

삼각측량 설계의 다단계 연구 모델 변동은 연구의 초점이 시스템에 맞춰져 있고 다른 수준을 다루기 위해 다른 방법을 사용할 때 사용된다.

The multi-level research model variation of the triangulation design is used when the focus of the study is on a system and different methods are used to address the different levels.

삼각측량은 4대 연구 설계 중 가장 어려운challenging 설계로 보고 있으며, 이러한 형태의 연구 설계를 구현하기 위해 연구팀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Triangulation is viewed as the most challenging design of the four main research designs, and research teams are often used to implement this form of research design.

카라첼리와 그린(1997년)에 의해 처음 설명된 임베디드 디자인은 (양적 또는 질적 둘 중) 하나가 지배적인 방법인 , 다른 데이터 세트는 보조적 또는 지원적 역할을 제공한다.

The embedded design, first described by Caracelli and Greene (1997), is characterised by having one dominant method, whereas the other data set provides a secondary or supportive role.

임베디드 실험 모델은 임베디드 설계의 가장 일반적인 변형이며, 정량적 방법론에 우선권이 주어지며, 정성적 데이터 세트는 서브시스템(Creswell and Plano Clark, 2007)이다. 질적 요소의 목적 중 하나는 개입의 과정을 조사하는 것일 수 있다. 임베디드 실험 모델은 이전에 동시 중첩 혼합 방법 설계로 알려져 왔다(Creswell, et al., 2003).

The embedded experimental model is the most common variant of the embedded design, and the priority is given to the quantitative methodology, and the qualitative data set is subservient (Creswell and Plano Clark, 2007). One of the purposes of the qualitative component may be to examine the process of the intervention. The embedded experimental model has been previously known as the concurrent nested mixed methods design (Creswell, et al., 2003).

임베디드 설계의 또 다른 variation은 상관관계 모형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정성적 데이터가 정량적 설계 내에 포함된 상관관계 모형이다. 내장된 설계 내에서, 방법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The last variation of the embedded design is the correlational model where the qualitative data are embedded within a quantitative design to help explain the outcomes of the correlation model. Within the embedded designs, the methods may be conducted concurrently or sequentially.

설명적 설계explanatory design는 순차적 설명 설계로 정량적 단계부터 시작하여 정성적 단계로 구성되며, 정량적 결과를 설명하거나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림 2는 설명 설계의 두 가지 변형을 개괄한다.

The explanatory design previously described by Creswell, et al., (2003) as sequential explanatory design consists of two phases, beginning with the quantitative phase and then the qualitative phase, which aims to explain or enhance the quantitative results. Figure 2 outlines the two variants of the explanatory design

후속 설명 모델 내에서, 연구자는 (그룹 간의 차이 또는 예기치 않은 결과, 특이사항과 같은) 구체적인 양적 발견을 식별하고, 이에 대하여 질적 방법론을 사용하여 추가적인 탐사를 진행한다.

Within the follow-up explanatory model, the researcher identifies specific quantitative findings, such as unexpected results, outliers or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at need further exploration using qualitative methodology.

이와는 대조적으로 참가자 선정 모델에서는 질적 단계가 우선순위를 가지며, 정량적 단계의 목적은 참가자를 식별하고 의도적으로 선정하는 것이다. 설명 설계는 순차적 성격으로 인해 (연구 진행 기간이 더 길어야 하지만) 네 가지 구현 방법 중 가장 쉬운 것으로 간주된다.

In contrast, the qualitative phase has priority in the participant selection model, and the purpose of the quantitative phase is to identify and purposefully select participants. The explanatory design requires a longer implementation time due to the sequential nature but is regarded as the easiest of the four methods to implement.

탐색적 설계는 첫 단계인 질적 설계가 정량적 단계의 개발에 도움이 되는 순차적 설계다.

The exploratory design is a sequential design where the first phase, qualitative, helps in the development of the quantitative phase.

크레스웰, 외 (2003)은 이 설계를 순차적 탐색적 설계라고 설명했다. 이 설계(그림 2 참조)는 도구개발 모델(도구개발 모델) 또는 분류 체계(택시 개발 모델) 개발에 사용된다. 도구 개발모형의 양적 실체에 우선권이 주어진다.

Creswell, et al. (2003) described this design as sequential exploratory design. This design (see Figure 2) is used for developing and testing instruments (Instrument Development Model) or for developing a taxonomy (Taxonomy Developmental Model). Priority is given to the quantitative entity in the instrument development model.

리치와 Onwegbuzie(2007)는 3가지 기준을 사용하여 혼합 방법 설계의 3차원 유형론을 개발하며, 여기에는 혼합 수준, 시간 방향 및 접근방식의 강조가 포함된다.

Leech and Onwuegbuzie (2007) use three criteria to develop their three dimensional typology of mixed methods design, and these include the level of mixing, time orientation and emphasis of approaches.

부분적으로 혼합된 연구는 데이터 해석 단계에서 혼합이 발생하기 전에 질적 단계와 양적 단계를 모두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연구로 설명된다.

Partially mixed studies are described as those studies where both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hases are conducted independently before mixing occurs at the data interpretation stage.

이와는 대조적으로 완전히 혼합된 방법 설계는 연구 목표, 데이터 유형, 분석 및 추론 중 하나 또는 전체에서 혼합이 발생한다.

In contrast, fully mixed methods designs have mixing occurring in either one or all of the following: the research objective(s), the types of data, analysis and inference.

그림 3

Figure 3

  • 첫 번째 단계는 연구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혼합된 설계로 구분하고, 

  • 두 번째 단계는 데이터 수집의 서로 다른 단계의 타이밍을 결정하고, 

  • 세 번째 단계는 방법론이 선택한 설계 내에서 동등한 지위를 부여받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 The first layer differentiates the studies into either partially or fully mixed designs, 

  • the second decides on the timing of the different phases of data collection, and 

  • finally whether each methodology is given equal status within the chosen design.

 표 1.

 Table 1

이 분류 체계는 간단하고 이해하기 쉬우며 삼각측량이라는 단어의 사용을 피한다. 삼각측량이라는 용어는 여러 가지 의미가 귀속되는 것으로 샌델로우스키(2003)는 의미가 전혀 없을 정도로 많이 사용됐다고 주장한다. 이 분류 체계의 주된 한계는 혼합된 방법을 부분적으로 혼합된 연구와 완전히 혼합된 연구로 나누는 것이다.

This classification system is simple and easy to understand and avoids the use of the word triangulation. The term triangulation is one to which many meanings are attributed, and Sandelowski (2003) argues that it has been used so much that it has no meaning at all. The major limitation to this classification system is the division of mixed methods into partially mixed and fully mixed studies.

리치와 Onwuegbuzie(2007:3)는 부분 혼합 설계를 '단층 설계와 완전 혼합 방법 설계 사이의 어딘가에 점유하는 지역'이라고 설명한다. 저자들은 '부분적으로 혼용'과 '완전히 혼용'과 같은 문구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해석 단계에서의 통합'이라는 문구가 '부분적으로 혼합된 연구 설계'를 대체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Leech and Onwuegbuzie (2007:3) describe partially mixed designs as ‘occupying regions somewhere between monomethod designs and fully mixed methods designs.’ The authors would suggest that the use of phrases such as ‘partially mixed’ and ‘fully mixed’ may be avoided and that the phrase ‘integration at the interpretation phase only” may be substituted for partially mixed research designs.

혼합 방법 연구의 한계

The limitations of mixed methods research

(혼합연구에 대한) 비판의 많은 부분은 비호환성 논제, 즉 양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이 매우 다른 존재론적 및 인식론적 기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일 연구에서 혼합될 수 없다는 믿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방법론적 순수주의자들은 세계관과 연구 방법의 이분법을 강하게 믿고 있으며(Creswell과 Plano Clark, 2007) 따라서 양적 접근법과 질적 접근법의 결합에 반대한다고 주장한다.

Many of these criticisms focus on the incompatibility thesis, that is, the belief that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cannot be mixed in a single study as they have such different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origins. Methodological purists believe strongly in the dichotomy of world views and research methods (Creswell and Plano Clark, 2007) and therefore argue against the combination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구바(1987년:31)는 "지구가 둥글다고 믿는 경우 지구가 편평하다는 믿음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과 (양적-질적 이분법은) 상대를 배제한다"고 명시함으로써 패러다임 사이의 이분법의 범위를 분명히 강조했다. 결과적으로, 세일 등은 (2002) 두 패러다임 사이의 근본적인 가정을 간과하고 불분명한 차이점을 보완한 신세대 연구자들이 혼합 방법 연구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Guba (1987: 31) had clearly identified the extent of the dichotomy between the paradigms by stating how “the one precludes the other just as surely belief in a round world precludes belief in a flat one.” Consequently, Sale, et al. (2002) caution against the uncritical acceptance of mixed methods research by a new generation of researchers who have overlooked the underlying assumptions and incommensurat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aradigms.

그러나 온웨그부지(2002)는 실증주의 철학과 사후 실증주의 철학 사이의 이분법에 대한 순수주의자들의 견해는 사실 잘못된 이분법이라고 주장한다. 오히려 Onwuegbuzie(2002년)는 실증주의 철학과 비포시주의 철학이 중간지점을 차지하고 있는 혼합된 방법 연구가 있는 인식론적 연속체에 놓여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비슷하게, Howe(1988)는 비호환성에 대한 주장에 반대하며, 대신 연구자들이 실용적인 접근법을 채택하고 '무엇이 작용하는가'를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However, Onwuegbuzie (2002) argues that the purists’ view of the dichotomies between positivist and post-positivist philosophies are in fact false dichotomies. Rather, Onwuegbuzie (2002) suggests that positivist and nonpositivist philosophies lie on an epistemological continuum with mixed methods research occupying the middle ground. Similarly, Howe (1988) argues against the incompatibility thesis and instead suggests that researchers should adopt a pragmatic approach and forge ahead with ‘what works.’

혼성 방법 연구에 열성적인 신봉자인 메르텐스(2003)는 대부분의 혼합 방법 연구가 바탕이 되는 실용주의 철학에 대해 몇 가지 의문을 제기한다. 그녀는 [실용주의] 또는 ['무엇이 작용하는가']에만 관심을 두어 방법론적 선택을 하는 것이 '누구를 위해 어떤 목적을 위해 실용적인가?'라는 질문에 대답하지 않기 때문에 부적절하다고 주장한다.

Mertens (2003) who herself is an avid believer in mixed methods research poses some questions about the pragmatist philosophy upon which most mixed methods research is based. She argues that basing methodological choices solely on pragmatics or ‘what works’ is inadequate as it does not answer the question ‘practical for whom and to what end?’

타샤크코리와 테디(2003)는 실용주의 전통에 속하는 연구자들이 '연구 질문의 독재'라고 부르는 것을 준수한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연구 질문]을 [(연구 질문의) 토대가 되는 방법이나 패러다임]보다 더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을 의미한다.

Tashakkori and Teddie (2003) argue that researchers within the pragmatist tradition abide by what they term ‘the dictatorship of the research question’, meaning they consider the research question to be more important than either the method or the paradigm that underlies it.

혼합 방법 접근법의 다른 비판이나 약점은 본질적으로 더 현실적인 문제를 지적한다. 존슨과 Onwuegbuzie(2004)는 정성적 단계와 정량적 단계를 동시에 수행할 경우 한 명의 연구자가 혼합된 방법 연구를 수행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고 제안한다. 이 경우, 연구팀이 필요할 수 있다. 이반코바, 외. (2006) 순차적 연구도 연구의 뚜렷한 단계를 수행하는 데 상당한 시간과 자원이 소요될 수 있기 때문에 단점이 있음을 확인한다.

Other criticisms or weaknesses of a mixed methods approach are more practical in nature. Johnson and Onwuegbuzie (2004) suggest that it may be difficult for one researcher to carry out a mixed methods study if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hases are to be undertaken concurrently. In this case, a research team may be required. Ivankova, et al. (2006) identify that sequential studies also have drawbacks as it may take considerable time and resources to undertake distinct phases of a study.

혼합 방법 연구 내에서는 연구자가 적어도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 모두에 대해 독립적으로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있고, 좋은 연구 결과를 얻기 위해 이러한 방법을 적절하게 혼합하는 방법을 가지고 있다는 요구사항도 있다.

Within a mixed methods study, there is also a requirement that the researcher has at least a sufficient knowledge of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independently and how to mix these methods appropriately to achieve good study outcomes.

결론

Conclusion

혼합 방법 연구는 현재 제3의 방법론적 움직임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건강과 사회과학 연구를 제공할 것이 많은 접근법으로 간주되고 있다. (연구의) 접근 방식을 혼합하는 목적은 연구 문제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를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Creswell and Plano Clark, 2007). 연구원들은 혼합 방법을 통해 인간 현상의 복잡성을 포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샌델로스키, 2001). 

Mixed methods research is now viewed as the third methodological movement and as an approach that has much to offer health and social science researches. The purpose of mixing approaches is to afford opportunity to gain a more complete understanding of research problems (Creswell and Plano Clark, 2007). Researchers anticipate that mixing methods will enable them to capture the complexity of human phenomena (Sandelowski, 2001). 

혼합 방법 연구는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의 연구에 대한 관심과 요구에 대응한다. 그린(2005년: 209년)은 '혼합된 방법 접근법은 (의사결정자의 의제에 대응하고자할 때) 단일 방법보다 더 큰 가능성을 제공하며, 다른 합법적 이해관계자에게도 이익이 된다'고 제안함으로써 명확히 확인된다. 헬스케어에서, 혼합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의료 정책을 결정하고자 하는 의사결정자들에게 하드 데이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Mixed methods research responds to the interests and needs of diverse stakeholders in research. This is clearly identified by Greene (2005: 209) who suggests that ‘a mixed method approach offers greater possibilities than a single method approach for responding to decision makers agenda, as well as to the interests of other legitimate stakeholders.’ In health care, the selection of mixed methods as a methodology seeks to provide hard data for the decision makers who seek to determine health care policy. 

혼합 방법 연구는 헬스케어에서 outcome을 강조하는 거에 대한 반응이지만, 그러한 결과의 맥락에 대해서도 보고할 수 있다. 크레스웰과 플라노 클라크(2007)는 간호 분야 내에서 혼합 방법 연구가 논의되고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음을 확인했다. 마찬가지로 트윈(2003: 553)은 "(혼합 방법이) 간호 분야에서 자주 직면하는 복잡한 건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론을 설계가 제공한다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고 제안한다. 간호학 연구자들은 혼합 방법 연구의 강점을 인정하고 제한함으로써 창조적이고 상상적인 방법으로 이러한 '복잡한 건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Mixed method research responds to the pressures for outcomes in healthcare, but it can also report on the context of those outcomes. Creswell and Plano Clark (2007) have identified that within the nursing discipline, mixed methods research has been discussed and used extensively. Similarly, Twinn (2003: 553) suggests that “there is growing acceptance that the design provides an appropriate methodology to address the complex health problems frequently faced by the nursing discipline”. By building on the strengths, acknowledging and limiting the weaknesses of mixed methods research, nurse researchers can address these ‘complex health problems’ in a creative and imaginative way.

An overview of mixed methods research – revisited

First Published December 20, 2016 Research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