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산칼륨 이온결합 - jilsankallyum iongyeolhab

질산 칼륨[1]

이름 식별자 성질 구조 열화학 위험 관련 화합물

IUPAC 이름

Potassium nitrate

별칭

Saltpeter
Saltpetre
Nitrate of potash[2]

CAS 번호

  • 7757-79-1 

3D 모델 (JSmol)

  • Interactive image

ChEMBL

  • ChEMBL1644029 

ChemSpider

  • 22843 

ECHA InfoCard 100.028.926
EC 번호

  • 231-818-8

식품 첨가물 코드 번호 E252 (방부제)
KEGG

  • D02051 

PubChem CID

  • 24434

RTECS 번호

  • TT3700000

UNII

  • RU45X2JN0Z 

UN 번호 1486

CompTox Dashboard (EPA)

  • DTXSID4029692

InChI

  • InChI=1S/K.NO3/c;2-1(3)4/q+1;-1 

    Key: FGIUAXJPYTZDNR-UHFFFAOYSA-N 

  • InChI=1/K.NO3/c;2-1(3)4/q+1;-1

    Key: FGIUAXJPYTZDNR-UHFFFAOYAM

SMILES

  • [K+].[O-][N+]([O-])=O

화학식

KNO3
몰 질량 101.1032 g/mol
겉보기 백색 고체
냄새 무취
밀도 2.109 g/cm3 (16 °C)
녹는점 334 °C (633 °F; 607 K)
끓는점 400 °C (752 °F; 673 K) (decomposes)

물에서의 용해도

133 g/L (0 °C)
316 g/L (20 °C)
383 g/L (25 °C)
2439 g/L (100 °C)[3]
용해도 slightly soluble in 에탄올
soluble in 글리세롤, 암모니아
염기도 (pKb) 15.3[4]

자화율 (χ)

−33.7·10−6 cm3/mol

굴절률 (nD)

1.335, 1.5056, 1.5604

결정 구조

사방정계, en:Aragonite

열용량 (C)

95.06 J/mol K

표준 생성 엔탈피 (ΔfH⦵298)

-494.00 kJ/mol
주요 위험 Oxidant, harmful if swallowed, inhaled, or absorbed on skin. Causes irritation to skin and eye area.
물질 안전 보건 자료 ICSC 0184
GHS 그림문자

GHS 유해위험문구

H272, H315, H319, H335

GHS 예방조치문구

P102, P210, P220, P221, P280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0

1

0

OX

인화점 non-flammable (oxidizer)
반수 치사량 또는 반수 치사농도 (LD, LC):

LD50 (median dose)

1901 mg/kg (oral, rabbit)
3750 mg/kg (oral, rat)[5]

다른 음이온

en:Potassium nitrite

다른 양이온

en:Lithium nitrate
질산 나트륨
en:Rubidium nitrate
en:Caesium nitrate

관련 화합물

en:Potassium sulfate
염화 칼륨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유효성 확인 (관련 정보 
)
정보상자 각주

질산 칼륨(Potassium nitrate)은 화학식이 KNO3인 무기 화합물로, 칼륨이온 K+과 질산염이온 NO3-으로 만들어진 염이다. 초석(硝石)이라고도 한다.

흡입 및 피부 접촉 시 유해하며 눈에 접촉 시 다량의 붕산과 물로 씻어야 한다.

이용[편집]

질산 칼륨은 화약을 만드는데 쓰인다. 질산 칼륨과 설탕, 그리고 베이킹 소다(탄산수소 나트륨)를 섞어 불을 붙이면 연기가 난다. 이는 '스모크 봄(Smoke bomb)'으로 이용된다.

각주[편집]

  1. Record of Potassium nitrate in the GESTIS Substance Database of the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cessed on 2007-03-09.
  2. Gustafson, A. F. (1949). 《Handbook of Fertilizers - Their Sources, Make-Up, Effects, And Use》. 25쪽. ISBN 9781473384521. 2017년 2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 B. J. Kosanke; B. Sturman; K. Kosanke; I. von Maltitz; T. Shimizu; M. A. Wilson; N. Kubota; C. Jennings-White; D. Chapman (2004). 〈2〉. 《Pyrotechnic Chemistry》. Journal of Pyrotechnics. 5–6쪽. ISBN 978-1-889526-15-7. 2016년 5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4. Kolthoff, Treatise on Analytical Chemistry, New York, Interscience Encyclopedia, Inc., 1959.
  5. chem.sis.nlm.nih.gov 보관됨 2014-08-12 - 웨이백 머신

외부 링크[편집]

  • (영어) International Chemical Safety Card 018402216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