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6000 상위 - yeonbong 6000 sang-wi

총급여 4000만원 이하에 근로자 70%
총급여 10억 넘으면 대한민국 '0.01%'

'내 월급만 빼고 다 오른다'는 자조섞인 푸념을 들을 때가 많습니다. 물가는 오르지만 급여소득은 오르는 것을 체감하기 어렵다는 뜻이죠.

그런데 남의 떡이 커 보이는 것일까요. 주위 다른 사람들은 나보다 더 많은 월급을 챙겨가는 것 같습니다. 

물론 남들이 얼마의 월급을 받고 있는지, 연봉은 얼마인지를 정확히 확인할 길은 없습니다. 그저 기분탓을 할 밖에요.

하지만 전체 근로자 중 나의 연봉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자료가 있습니다. 바로 국세청 통계인데요. 국세청에는 근로자들의 급여소득 대부분이 신고되고 있고, 소득에 따라 낸 세금까지 집계돼 있거든요.

국세청 통계 자료를 통해 대한민국 근로자들 중에서 나의 급여는 어디쯤에 있는지 한 번 따져 보시죠.

# 총급여 3000만원 넘으면 중간?

우선 국세청에 신고되는 근로소득은 보통의 근로자들이 매년 사인하는 연봉이 아니라 총급여라는 과세소득이라는 점부터 확인해야 합니다. 실제 급여에서 식대나 자가운전보조금, 보육수당 등 비과세소득을 뺀 것이 총급여죠.

2017년 기준으로 연말정산을 한 전체 근로소득 신고자는 1800만5534명인데요. 좀 비인간적이긴 하지만 이 사람들을 총급여 순으로 한 줄로 길게 줄세워 놓았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가장 중앙에 있는 사람은 앞에서 900만2767번째로 선 근로자 A씨인데요. 국세청 자료를 보면 A씨의 총급여는 총급여 3000만원이 채 안 된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2017년 분위별 연말정산 현황을 보면, 총급여 상위 50% 분위 180만554명의 1인당 총급여는 2850만원입니다. 해당 분위의 평균이기 때문에 50% 분위의 가장 끝에 서 있는 A씨는 평균보다 더 낮은 총급여를 받고 있겠죠.

따라서 자신의 연말정산 신고서에 총급여가 3000만원이 넘는 근로자라면 적어도 근로소득신고자들 중에서는 중간보다 위라고 판단할 수 있겠죠.

하지만 A씨는 자신이 딱 중간이라고 생각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A씨보다 앞에 서있는 사람들의 1인당 평균급여가 높기 때문이죠. 50% 분위 평균이 아닌 전체평균을 보면 1800만5534명의 1인당 평균 총급여는 3519만원으로 A씨의 총급여보다 훨씬 높습니다. 

A씨의 앞에 선 근로자들이 뒤에 선 근로자들보다 더 많은 급여를 받고 있다는 것입니다. 근로자 수가 아니라 전체의 급여 수준으로 보면 A씨는 중간에 못미치는 것이죠.

# 총급여 적은 구간에 집중 분포

이런 차이는 단순히 총급여가 많은 근로자순으로 줄세우지 않고, 총급여 금액 구간별 근로자의 수를 보면 더 확실해집니다. 

2017년 전체 1800만5534명의 근로소득 신고자 중 총급여 3000만원 이하 구간에 포함되는 근로자는 1035만2361명으로 전체의 57.5%로 절반 이상입니다. 총급여 구간을 4000만원 이하 구간으로 넓히면 근로자 비중은 70%(1254만6721명)까지 치솟습니다.

총급여 3000만원 이하 근로자가 3000만원 초과 근로자보다 15%p 더 많다는 것이고요. 대한민국 근로자의 70%는 총급여가 4000만원도 채 안 된다는 것이 현실입니다.

구간을 좀 더 세분화 해 보면 총급여가 적은 저소득구간에 근로자 상당수가 밀집돼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총급여가 1000만원도 되지 않는 근로자는 318만명이 넘고, 1000만원 초과~2000만원 이하 근로자는 13개 구간 중 가장 많은 380만명이 몰려 있거든요.

반대로 최고 총급여 구간인 10억원 초과 구간에는 전체의 0.01%인 2646명, 5억원 초과~10억원 이하 구간에는 전체의 0.04%인 7908명이 존재할 뿐입니다. 두 구간을 합쳐야만 1만명을 겨우 넘기죠. 범위를 넓혀 총급여 1억원이 넘는 근로자를 모두 합하더라도 전체 근로자의 4%(71만9137명) 비중에 그칩니다.

물론 총급여가 많은 근로자들은 세부담이 큽니다. 총급여 10억원 초과 근로자의 1인당 평균 연말정산 결정세액은 7억2364만원이고요. 1억원~2억원인 근로자는 1인당 평균 1676만원을 소득세로 떼였습니다.

반면 총급여 1000만원 이하 근로자는 연간 1인당 15원, 1000만원~2000만원 근로자는 1인당 2만719원, 2000~3000만원 근로자는 1인당 13만3197원의 세금을 부담했습니다.

내 연봉,월급(실수령액)은 상위 몇퍼센트(%)일까?(1천~1억이상까지 상위 수준, 비율 알아보기!) +대한민국 평균 연봉

투자일기장2022. 3. 22. 19:44

안녕하세요 투자일기장의 알쓸신잡입니다. (두둥)

저번에 제가 2022년도 연봉별 실수령액 표를 만들었었죠?

오늘은 거기에 이어서 연봉 시리즈 2탄!

내 연봉은 상위 몇 %인지 알아보려고 해요!

오늘의 포스팅은 잡스앤 TV라는 유튜브에서 본 걸 참조하여 만들었구

1년 전 자료들을 토대로 만들었다구 하니

참고용, 재미용으로만 봐주세요! ㅎ

오늘은 여기에 제가 저번에 만든 실수령액 표를 대입하여, 실수령액 기준으로도 같이 볼게요!

그럼 가시죠!

연봉 1200, 실수령액으론 한달 100만원도 안되는 수준은

조사대상 1115만명 기준으로

하위 4%라고 해요! 즉 상위로는 96%이며 100명 중 96등이라는 소리죠!

실수령액은 91만7천원이라고 합니다!

월 91만 7천원이면 하루에 약 3만원 정도 쓸 수 있는데,

매일 대중교통 이용(왕복 3천원)

식사 2회(12000원)

이러면 한달에 45만원 정도 여윳돈이 생기니깐

45만원이면 딱 QQQ 한주씩 모으는걸 추천합니다

연봉 1800, 월 실수령액으로 136만원을 받는 사람들은

하위 20%라고 해요.

월 136만원이면

버스만 타고 식사는 6천원선에서 해결하면

한달에 90만원을 투자할 수 있으니,

QQQ 매달 2주씩 모으는걸 추천합니다.

그럼 연봉 2400은 어떨까요?

연봉 2400이면 월 실수령액은 180만원 조금 넘습니다.

보통 중소기업 신입들이 이정도 받는걸로 알고 있는데요,

이 수준은 상위 67%라고 합니다!

연봉이 3254만원이 된다면 이제 딱 100명 중 50등이라고 해요!

실수령액은 240만원 정도니깐 중견기업 대리정도 아닐까 싶어요..ㅎ

이제 240만원을 넘기냐 못넘기냐갸 중간에 드냐 못드냐 이거겠군요

그럼 한달에 쓸거 다 쓰고 투자금액 150정도로 생각하면

QQQ 2주 85만원

GLD 1주 20만원

TLT 1주 15만원

시가총액 1위 애플 20만원

이렇게 투자하면 든든하겠네요!

연봉 4387만원은 대한민국 평균 연봉이라고 해요.

이는 상위 37% 수준으로

월 실수령액은 317만원 수준입니다!

즉 보통 평균 월급이 실수령액으로 317만원이라는것이죠!

317만원이면

매달 생활비로 100만원 쓴다고 해도

217만원으로 투자가 가능하니

매달 QQQ 4주(170만원)+ GLD.금 1주(20만원) + TLT 미국장기채 1주(15만원) +삼성전자우 1주(6만원)

이렇게 투자하면 너무 좋겠네요

연봉 6000이면 상위 22%정도 수준이고

월 실수령액은 약 418만원입니다.

중견기업 과장 정도 수준 아닐까요? 아는 회사 과장이 한달에 450정도 받는다고 들었으니 아마 비슷할거라 생각합니다! ㅋㅋ

연봉 7000, 한달에 다 떼고 482만원을 실수령하는 사람들은 상위 16%라고 해요!

연봉 7000이면.. 꽤 높은 수준이군요!

#연봉7000만원실수령액

연봉 8000만원이면, 상위 12%

월 실수령액은 537만원이네요!

연봉이 8천이 되어도 상위 10%에 못든다니...

*참고로 연봉 상위 10%는 약 8200정도 입니다!

연봉 8700이 되면 상위 8.5%안에 들어옵니다!

이정도 연봉을 받아도 월 실수령액은 579만원으로 아직도 600이 안됩니다..

세금이 그만큼 크다는 거겠죠..ㅎ

한국 가장 많은 직장인들이 꿈꾸는 연봉인 1억!

연봉이 1억이면 월 실수령액은 655만원으로 어마무시한 세금을 내지만,

그래도 연봉 1억이면 상위 6.5%정도에 든다고 해요!

655만원이면 지금 삼성전자우 매달 108주씩 살 수 있네요 ㅋㅋㅋㅋ

티머니 충전하면 버스를 4678회나 탈 수 있어요!

상위 1%의 연봉은 1억8천만원이라고 해요.

연봉이 1억8천이면 실수령액은 월 1050만원 정도로

내가 대한민국 근로자 상위 1%다! 라고 한다면 통장에

매달 1천만원 이상은 찍힌다는 말입니다ㅎ

제가 한달에 1천만원씩 투자할 수 있다면

QQQ 300만원

QLD 100만원

TQQQ 100만원

시가총액 1~10위 200만원

금 150만원

채권 150만원

이렇게만 투자할거 같네요 ㅋㅋㅋ 상상만해도 찌릿!

초반에도 말했듯이 이는 작년에 나온 자료를 기반으로 올 해 실수령액 산정 기준에 맞춰 내용을 추가한 것이므로 현재와 어느정도 다른 부분도 있을 것입니다..ㅎ

그러니 그냥 '재미'로만 봐주세요ㅎㅎ

사실 이거 본다고 우리의 월급이 늘어나진 않자나요?

우리 모두 근로소득이 아니라 불로소득으로 부를 이루는 그날까지!

경제적 자유를 얻을 때까지!!!

열심히 투자해요!!!!!

(그렇게 투자일기장은 평생 투자를 하게되었다)

엊그제 만든 2022년도 연봉 실수령액 표를 툭 던져놓고.. 그럼 안녕..ㅎ

//m.blog.naver.com/villy1007/222677480745

관련 게시물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