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전국 범죄지도 - 2022 jeongug beomjoejido

���� ���ʱ��� ���� �߻� ���ɼ��� ū ������ �����ͷ� ������ �ð��뺰�� ���� �����ϴ� ��������������(Predictive Crime Map) �ý��ۡ��� ���� ���ʷ� ��ϰ� �ִٰ� 20�� ������.

�ѱ�������ſ�����(ETRI)�� ���� ������ ������������������ �ֱ� 3�Ⱓ(2018��2021��) ���ʱ����� �߻��� 3��2656���� ��� �� ��� �����͸� �м��� �߻� �Ͻá���ҡ���� ����(5�� ���¹��ˡ���������ȭ�� ��)���� ���� �߻� ���ɼ��� ū ������ ���� �ش�. ���ʽ���Ʈ��꼾�Ϳ� �ٹ��ϴ� �����簡 ���������������� �ð���� ���� ���� �߻� �� �� ������ Ȯ���� ��, ���赵�� ���� ������ CCTV�� ���� �����ϴ� ���·� ��ǰ� �ִ�.

���ʱ��� �ΰ�����(AI)�� Ȱ���� ���� ���� �ý����� �� �����ϰ� ������ ��ȹ�̴�. CCTV�� ���̴� ���� ��Ȳ�� ���� ���� ������� ���缺�� �ǽð����� ã�Ƴ� �����ϴ� ������ ���ɼ� ���� ������� ������ �����̴�.

��⼷ ����

서울 서초구는 전국 최초로 CCTV 사건·사고 데이터를 분석해 범죄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빅데이터로 예측해 시간대별 집중 감시하는 '예측범죄지도(Predictive Crime Map) 시스템'을 개발 운영한다고 20일 밝혔다.
 

2022 전국 범죄지도 - 2022 jeongug beomjoejido

▲ 서초스마트허브센터 관제사가 예측범죄지도를 이용해 모니터링하는 모습(이미지 출처:서초구청)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공동 개발한 '예측범죄지도'는 최근 3년간(2018∼2021년) 지역 내 32,656건의 CCTV 사건·사고 빅데이터를 분석, 이를 발생일시, 장소, 사건유형(5대 강력범죄, 교통사고, 화재 등)별로 정형화해 범죄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보여주는 시스템이다.

시스템 작동 원리는 간단하다. 서초스마트허브센터에 근무하는 관제사는 예측범죄지도에서 시간대별 동별 범죄 발생빈도, 발생유형을 확인하고 진한 색으로 표기된 위험도가 높은 지역을 파악, CCTV로 집중 관제한다. 

2022 전국 범죄지도 - 2022 jeongug beomjoejido

▲ (왼쪽)예측범죄지도 전체 화면 (오른쪽)범죄통계 기반 지도상에 진한색 위험도 표출(이미지 출처:서초구청)

예를 들면 저녁 11시경 예측범죄지도 내 진하게 분포된 OO동 OO번지 일대에 과거 절도가 10건이 발생했다는 정보를 파악, 그 지역 CCTV로 지나가는 행인들을 유심히 관제한다. 
 

2022 전국 범죄지도 - 2022 jeongug beomjoejido

▲ (왼쪽)시간대별 과거 범죄 발생 빈도 (오른쪽)범죄 유형 분석(원그래프)(이미지 출처:서초구청)

서초구는 CCTV 통합관제센터인 서초스마트허브센터의 CCTV를 기존 관제요원들이 모두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고자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센터가 관리하는 CCTV는 4080여대에 달하지만, 관제요원은 총 6명이다. 1명이 평균 650여대 정도를 감시해야 하는 상황이다.

서초구는 관제요원이 예측범죄지도 데이터 기반으로 특정 시간대와 지역 위주로 CCTV를 관찰할 수 있게 돼 업무 효율을 향상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구는 시스템을 개발한 한국정보통신연구원(ETRI)과 함께 각종 사건·사고의 빅데이터도 분기별로 업데이트하고 있다. 장기적으로 서초구는 자동 업데이트 기능을 도입할 예정이다. 또 범죄예측지도에 특정 주소를 입력하면 근처 카메라를 찾아주는 주소·카메라검색 기능 등도 추가했다. 

서초구는 향후 범죄예측지도 시스템에 AI(인공지능)를 적용한 ‘범죄 가능성 예측기술’도 선보일 방침이다. CCTV로 보이는 현 상황과 예측범죄지도를 비교해 과거 범죄와 유사한 상황을 실시간으로 찾아내 우범률을 예측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면 새벽 시간대 주택가 골목에서 한 남성이 혼자 걷는 여성 뒤를 쫓아가는 한 장면이 관제센터 CCTV에 포착됐을 때 남성의 손동작이나 시간대, 인물 표정 및 몸짓 등 과거 빅데이터를 분석해 범죄가 의심되면 센터와 경찰서가 공조해 선제 대응에 나서는 식이다.  

한편 서초스마트허브센터는 그간 범죄를 막고 주민 안전을 지키는 데 큰 공을 세우고 있다. 지난해 CCTV 화상 순찰을 통해 절도와 성추행 등 총 137건의 범행을 찾아내 범인 검거를 도왔으며 9,653건의 사건·사고에 대응했다. 

천정욱 구청장 권한대행은 "앞으로도 예측범죄지도 시스템 등 스마트 기술을 활용해 구민들의 안전에 사각지대가 없도록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글. 이지은 기자 | 사진 및 자료출처 = 서초구청

서울 범죄지도 공개…세부자료 공유 목소리도

08-25 22:34


[앵커]


서울 시내 행정동 단위까지 범죄 분포를 볼 수 있는 '범죄지도'가 제작됐습니다.

수사기관은 한정된 범위 내에서만 범죄자료를 공개하고 있는데요.

맞춤형 범죄대응을 위해 세부적인 자료 공유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홍석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여러 색으로 칠해진 서울시 지도.

범죄 발생 수준에 따라 지역마다 다른 색을 띠고 있습니다.

경기대학교 연구진이 발표한 논문에 공개된 서울 시내 행정동 수준의 범죄분포 지도입니다.

5등급으로 구분된 이 지도는 색이 진할수록 범죄가 많이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살인의 경우, 강서구 및 영등포구 일부와 구로구 일부에서 최고 등급의 발생 수준을 보였습니다.

강도 사건은 강남구·서초구·송파구 일부, 노원·중랑구 일부에 집중됐습니다.

자세한 범죄 지도 공개는 이번이 처음.

현재 경찰과 검찰은 광역시도 또는 일부 시군구 같이 한정된 범위 내에서 범죄자료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경찰청 관계자> "행정동 등 세부지역에 대한 통계가 제공이 되면 피해자가 특정되는 등 2차 피해 문제가 또 발생할 수 있고요. 지역 주민 간의 어떤 위화감이나 범죄 두려움…"

전문가들은 세부적인 범죄자료의 공개나 지자체 공유를 통해 범죄 예방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말합니다.

<장현석 / 경기대 경찰행정학과 교수> "범죄가 일어나는 것은 실질적으로 내가 있는 곳의 바로 주변 환경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되는데, 시군구 단위로만 분석이 되면 어떤 의미있는 정책적 제안이 나오기가 쉽지 않죠…"

경찰은 아직 자료 공개에 신중한 입장이지만, 범죄 자료 분석을 통해 맞춤형 범죄 대응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연합뉴스TV 홍석준입니다. ()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1/08/25 22:34 송고

2022 전국 범죄지도 - 2022 jeongug beomjoejido

범죄지도

서울에서 살인·폭력 범죄가 많이 일어나는 곳은 서남권의 강서·영등포·구로구 등이며 강도·마약·도박 범죄가 많이 일어나는 곳은 강남·서초구라는 분석이 나왔다. 서울 시내 행정동 424개 가운데 절반가량은 상대적으로 범죄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대 경찰행정학과, 범죄학과 등 연구진은 지난 4월 대한범죄학회 학술지 ‘한국범죄학’에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해 서울의 행정동별 범죄 수준을 분석한 ‘서울시 행정동 수준의 범죄 분포에 대한 탐색적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주로 광역지자체별, 또는 서울 자치구별 강력범죄 빈도 등이 공개된 적은 있지만 행정동 단위에서 살인, 강도 등 주요 범죄 8가지의 발생 수준이 공개된 것은 이 논문이 처음이다. 통계청이 제공하는 범죄 발생 및 검거 현황에서도 광역 지자체별 범죄 현황만을 공개하고 있다.

■ 행정동 단위 주요 범죄 분석은 이번 연구가 처음

연구진은 행정안전부의 생활안전지도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치안사고 통계를 가공해 행정동별로 범죄 수준을 각각 1~5등급으로 구분한 지도를 만들고, 지역별로 어떤 범죄가 많이 일어나는지를 분석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가 서울시의 범죄 분포를 시군구보다 작은 단위인 행정동 수준에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평가했다.

논문에 따르면 2016~2019년 사이 서울의 행정동 가운데 분석 대상이 된 살인, 강도, 방화, 성폭력, 폭력, 절도, 마약, 도박 등 8개 범죄 전체의 발생등급이 1등급인, 즉 범죄가 가장 적게 일어나는 지역으로 분류된 곳의 비율은 5.9%이었다. 2등급인 지역은 18.4%, 3등급은 26.2%, 4등급은 25.5%, 5등급은 24.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행정동 중 절반에 약간 못 미치는 49.6%가량이 상대적으로 범죄로부터 위험한 지역인 4, 5등급에 해당하는 것이다.

살인, 강도, 방화, 성폭력, 폭력 등 강력범죄 가운데 발생등급이 4~5등급, 즉 범죄로부터 위험한 지역의 비율이 가장 높은 범죄는 성폭력(53.3%)이었다. 서울 전체 행정동의 절반 이상이 성폭력이 빈번히 발생하는 지역으로 분류된 것이다. 이어 방화(39.9%), 강도(31.6%), 살인(24.1%), 폭력(16.0%) 등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산범죄에 해당하는 절도의 경우 1등급이 31.1%, 2등급이 30.9%로 전체 행정동의 3분의 2 가까운 지역이 상대적으로 절도로부터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논문에 따르면 강력범죄 중 살인의 경우 서울 중심부보다는 서울 서남권을 포함한 외곽에 4~5등급에 해당하는 지역이 집중적으로 분포한 것으로 나타났다. 살인의 발생 수준이 4~5등급인 행정동의 비율은 서남권에서 가장 높았고, 특히 강서구와 영등포구 일부, 구로구 일부에 5등급에 해당하는 행정동이 밀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도범죄의 경우 4~5등급인 행정동의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동남권으로 이 권역 내 행정동의 43.6%가량에서 상대적으로 강도 사건이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도 사건이 많이 발생하는 곳은 동북권의 노원·중랑구 일부, 동남권의 강남·서초·송파구 일부, 서남권의 관악·구로구 일부에 집중적으로 밀집돼 있었다.

성폭력의 경우 다른 강력범죄에 비해 서울 전반에 걸쳐 4~5등급에 해당하는 지역이 넓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폭력범죄의 경우 4~5등급에 해당하는 행정동의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서남권(27.4%)이었다.

논문에는 또 살인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은 강서·영등포·동작구 일부에 집중돼 있었고, 강도 범죄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은 강남·서초·강동·관악·구로구 일부에 집중돼 있었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마약과 도박은 강남·서초구 일부에 많이 발생하는 지역이 집중돼 있었다.

방화범죄는 서남권의 강서·구로·관악구 일부와 동남권의 송파구 일부에 밀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폭력범죄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은 다른 강력범죄와는 달리 도심권의 종로구와 동북권의 성북구 일부에 밀집되어 있었다. 절도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의 경우 도심권의 종로구 일부와 강서·양천·관악구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서초·강남구 일부와 강북·성북구 북부에도 밀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유흥업소·주류판매업소 밀도도 범죄 발생에 영향”

연구진은 서울 서남권 아래쪽의 양재2동, 내곡동, 일원본동, 수서동, 세곡동의 경우 마약범죄와 도박범죄를 제외한 모든 범죄가 적게 발생하는 지역으로 나타난 반면 서남권 위쪽의 서초4동, 반포1동, 반포3동, 반포4동, 논현1동, 논현2동, 역삼1동은 살인과 방화를 제외한 모든 범죄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범죄 분포에 대해 연구진은 범죄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특징 가운데 하나인 유흥업소의 수, 주류판매업소의 밀도의 분포와 상당히 유사하게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행안부는 생활안전지도 사이트를 통해 재난과 치안 등 6가지 분야의 자료를 공개하고 있는데 이 사이트에선 원하는 경찰 지구대 주변의 범죄수준을 볼 수 있지만 이 논문에서처럼 행정동에 따른 범죄수준을 한눈에 볼 수는 없다.

행안부에 따르면 생활안전지도상의 범죄 등급 산정에는 행정동의 인구 데이터는 적용되지 않았으며 지도상에 특정 수치의 등급을 표현하는 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내츄럴브레이크(natural break) 방식이 사용됐다. 행안부는 경찰청 요청에 따라 생활안전지도에 범죄 발생정보의 원데이터가 아니라 가공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범죄가 다발하는 곳은 비공개 대상인 정보이기 때문에 원데이터가 아닌 도로를 기준으로 가공된 색깔별 밀도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경기대 연구진의 논문 내용은 이 데이터를 행정동별로 재가공한 것이다. 연구진은 논문에서 “행안부 정보를 가공해 파출소.지구대 단위로 제공되어 있는 것을 행정동 수준의 자료로 변환하고,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해 서울에서 발생한 8가지 범죄의 공간적 패턴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논문에 따르면 범죄통계를 수집, 관리하는 경찰과 검찰은 지역별 범죄 수준을 공개할 때 광역시도 수준에서 공개하거나 제한적인 범위의 시군구에 대한 범죄 자료만 공개하고 있다. 연구진은 “이로 인해 국내에서는 지역별 범죄 분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는 어려우며, 광역 단위의 범죄 자료를 분석해 범죄 원인을 파악하거나 정책적 제안을 도출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