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멸의 이순신 회차 - bulmyeol-ui isunsin hoecha

불멸의 이순신 회차 - bulmyeol-ui isunsin hoecha

불멸의 이순신
不滅의 李舜臣

불멸의 이순신 회차 - bulmyeol-ui isunsin hoecha
장르 드라마
방송 국가
불멸의 이순신 회차 - bulmyeol-ui isunsin hoecha
대한민국
방송 채널 KBS 1TV
방송 기간 2004년 9월 4일 ~ 2005년 8월 28일
방송 시간 매주 주말 밤 10시 → 매주 주말 밤 9시 30분
방송 분량 50분
방송 횟수 104부작 + 스페셜
원작 김훈《칼의 노래》, 김탁환《불멸》
기획 김종식 (총괄프로듀서)
프로듀서 정영철
제작자 KBS 드라마본부
연출 이성주, 김정규, 한준서
각본 윤선주, 박영숙, 윤영수, 장기창
출연자 김명민
최재성
이재룡
최유정
김규리
박찬환
전현
박철민
이인
최준용
유태웅
김하균
김영기
김명수
최동준
정승호
김종결
박철호
이효정
조민기 → 최철호
김동현
정동환
연규진
조경환
정애리
이순재
해설 김종성
여는 곡 OST - 타이틀(칼의 노래), 학익진
닫는 곡 OST - 승리의 바다 후렴부
자막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외부 링크  공식사이트

불멸의 이순신》(不滅의 李舜臣)은 2004년 9월 4일부터 2005년 8월 28일까지 방송되었던 KBS 1TV 대하드라마다.[1][2][3][4][5][6][7][8][9][10]

방송 시간[편집]

방송 채널방송 기간방송 시간
KBS 1TV2004년 9월 4일 ~ 2004년 10월 31일 매주 토요일 ~ 일요일 밤 10시 ~ 11:00 (50분)
2004년 11월 6일 ~ 2005년 4월 24일 매주 토요일 ~ 일요일 밤 9:30 ~ 10:20 (50분)
2005년 4월 30일 토요일 밤 10:25 ~ 11:05 (40분)
2005년 5월 1일 일요일 밤 9:30 ~ 10:20 (50분)
2005년 5월 7일 ~ 2005년 8월 28일 매주 토요일 ~ 일요일 밤 9:30 ~ 10:20 (50분)

제작진[편집]

  • 연출: 이성주, 한준서, 김정규
  • 극본: 윤선주, 박영숙, 윤영수, 장기창, 신민철, 예동우, 한규호
  • 해설: 김종성

등장 인물[편집]

주요 인물[편집]

  • 김명민(아역: 유승호): 이순신 역 - 전라좌수사 겸 삼도수군통제사
  • 최재성(아역: 김학준): 원균 역 - 경상우수사
  • 이재룡(아역: 오승윤): 류성룡 역 - 병조판서
  • 조민기 → 최철호(아역: 곽정욱): 선조 역 - 조선 14대 왕

이순신의 가족 관련 인물[편집]

  • 이용진: 이백록 역 - 이순신의 할아버지
  • 박철호(아역: 우준영): 이정 역 - 이순신의 아버지
  • 정애리: 초계 변씨 역 - 이순신의 어머니
  • 한범희: 이요신 역 - 이순신의 형
  • 김동현: 방진 역 - 이순신의 장인
  • 최유정: 방연화 (상주 방씨) 역 - 이순신의 아내
  • 김영준 (아역: 지한샘): 이면 역 - 이순신의 아들
  • 안홍진(아역: 강태윤): 이완 역 - 이순신의 조카

이순신의 고향 관련 인물[편집]

  • 신원균: 저자사내 역
  • 정대홍: 중늙은이 역
  • 박경득: 훈장 역
  • 박정웅: 국문관 역
  • 이종길: 군사 역
  • 이성호: 군관 역
  • 변아영: 형복 모 역
  • 김희진: 원균 모 역
  • 김태진: 형복 역
  • 이승형: 영수 역
  • 심훈보: 나장 역
  • 송호섭: 금부도사 역
  • 윤기원: 송병택 역
  • 조병기: 병기 역
  • 이기열: 아산현 이방 역
  • 김규철: 임천수 역
  • 이한위: 천무직 역
  • 정진: 임노인 역
  • 이환지: 장판동 역
  • 한태일: 장노인 역
  • 박유승: 덕구 역
  • 조경환: 남궁두 역
  • 김규리: 박미진 역
  • 손종범: 소은우 역
  • 김지현: 소은우 부인 역
  • 조재완: 이장평[11] 역
  • 박윤배: 이노인 역
  • 유형관: 날발 부 이씨 역
  • 오지혜: 날발 모 역
  • 양재원: 사옹원 관리 강봉사 역
  • 이한갈(아역: 강산): 날발 역

왕실 관련 인물[편집]

  • 홍륜의: 명종 역 - 조선 13대 왕
  • 이준 (아역: 주민수): 광해군 역 - 선조의 둘째아들
  • 백승도: 신성군 역 - 선조의 셋째아들
  • 김미라: 인빈 김씨 역 - 선조의 후궁
  • 이칸희: 인순왕후 역 - 명종의 왕비
  • 황미선: 의인왕후 역 - 선조의 왕비
  • 연규진: 주태문 역 - 명종의 직속내관
  • 기주봉: 윤환시 역 - 선조의 직속내관
  • 김광영: 장원 역 - 선조의 내관

조정 관련 인물[편집]

  • 최병학: 윤원형 역
  • 윤덕용: 오상 역
  • 박웅: 송탁 역
  • 이영재: 판교 역
  • 이순재: 이황 역
  • 이건: 심의겸 역
  • 이종만: 심통원 역
  • 송석호: 이준경 역
  • 박동빈: 한호 역
  • 안내상: 정여립 역
  • 김준모: 이산해 역
  • 정동환: 윤두수 역
  • 이원발: 윤근수 역
  • 안대용: 정철 역
  • 임혁주: 정탁 역
  • 최재원 → 황준욱: 이덕형 역
  • 박병선: 이항복 역
  • 권혁호: 김성일 역
  • 임병기: 황윤길 역
  • 윤덕용: 이원익 역
  • 이정성: 허성 역
  • 이중열: 황신 역

전라좌수영 관련 인물[편집]

  • 이화진: 심암 역 - 전라좌수사 (이순신의 선임인 유극량의 선임)
  • 김철기: 이대원 역 - 녹도권관
  • 박찬환: 권준 역 - 순천부사
  • 안승훈: 정운 역 - 녹도만호
  • 정진각: 신호 역 - 통정대부
  • 전현: 입부 이순신 역 - 방답첨사
  • 박철민: 김완 역 - 조방장
  • 이석구: 우수 역 - 안골포만호
  • 김명국: 송희립 역 - 군관
  • 김진태: 어영담 역 - 광양현감
  • 이상인: 나대용 역 - 군관
  • 김규: 이언량 역 - 군관
  • 김홍표: 조수창 역
  • 이두일: 마영갑 역
  • 김덕현: 언복 역
  • 박혜숙: 넙출네 역
  • 진운성: 짝보 역
  • 정은표: 정대만 역
  • 이정호: 전우송 역
  • 이범우: 공태원 역
  • 백민: 사도 진무 역
  • 허정규: 군관 정만수 역
  • 최용팔: 계학 역
  • 김상원: 상남 역
  • 윤갑수: 평산 역
  • 김영임: 어진 역
  • 지성근: 봉이 역
  • 김기민: 봉이아범 역
  • 이수완: 병졸 역
  • 김병만: 병졸 역

경상좌수영 관련 인물[편집]

  • 박승호: 박홍 전임 경상좌수사 역
  • 염정구: 박홍 역 - 경상좌수사
  • 이새벽: 정발 역 - 부산진첨사
  • 박희진: 송상현 역 - 동래현감

경상우수영 관련 인물[편집]

  • 이재포: 우치적 역 - 영등포만호
  • 최준용: 이운룡 역 - 옥포만호
  • 유태웅: 이영남 역 - 권관
  • 김기복: 기효근 역 - 남해현령
  • 김응석: 한백록 역 - 지세포만호
  • 최진홍: 조계종 역 - 영등포만호 (우치적 후임)
  • 김주호: 서한수 역
  • 허현호: 서노인 역
  • 구중림: 기수 역
  • 양재원: 장산복 역

전라우수영 관련 인물[편집]

  • 최성준: 이억기 역 - 전라우수사
  • 송금식: 황세득 역 - 장흥부사
  • 황범식: 배설 역 - 전라우수사 (이억기 후임)
  • 김관기: 안위 역 - 전라우수사 (배설 후임)
  • 안형식: 김억추 역
  • 김용수: 김응함 역
  • 이승찬: 송여종 역
  • 나재균: 안홍국 역
  • 석정만: 최호 역

조선 장수, 의병장 관련 인물[편집]

  • 이일재: 이일 역
  • 김영기: 권율 역
  • 차기환: 신립 역
  • 미상: 변협 역
  • 홍일권: 이각 역
  • 김재권: 김수 역
  • 이종박: 곽재우 역
  • 정의갑: 김시민 역
  • 김영선: 류숭인 역
  • 전헌태: 정담 역
  • 이창: 황박 역
  • 이성훈: 황진 역
  • 김유석: 이빈 역
  • 김동석: 이광 역
  • 조태봉: 윤선각 역
  • 김용수: 김응서 역
  • 강민석: 이광악 역
  • 신원균: 김명원 역
  • 송호섭: 이종장 역
  • 미상: 김여물 역
  • 미상: 최경회 역

함경도 북병영[편집]

  • 박지순: 이제신 역 - 북병사 (이일 선임)
  • 맹호림: 이경록 역 - 경흥부사
  • 최은석: 선거이 역
  • 임대호: 오형 역 - 수호장
  • 이우석: 임경번 역 - 감관
  • 김진서: 정일수 역
  • 고규필: 돌쇠 역
  • 백신: 천개똥 역
  • 김하림: 천노인 역
  • 이한수: 백수 역
  • 양선주: 곱단 역
  • 박통일: 촌로 역

일본 관련 인물[편집]

  • 박영록: 오다 노부나가 역 - 일본 전국시대의 군주
  • 정욱: 센노 리큐 역 - 일본 승려
  • 이효정: 도요토미 히데요시 역 - 일본 관백 → 태합
  • 전일범: 도쿠가와 이에야스 역 - 히데요시의 다이묘
  • 김혜진: 요도도노 역 - 히데요시의 부인
  • 미상: 도요토미 츠루마츠 역 - 히데요시의 첫째아들
  • 미상: 도요토미 히데요리 역 - 히데요시의 둘째아들
  • 김종결: 세이쇼 쇼타이 역 - 일본 승려
  • 윤용덕: 구로다 요시타카 역 - 일본 책사
  • 최운교: 고헤몬 역 - 일본 간신
  • 정승호: 고니시 유키나가 역 - 일본군 제1군사령관
  • 이정용: 가토 기요마사 역 - 일본군 제2군사령관
  • 여재구: 구로다 나가마사 역 - 일본군 제3군사령관
  • 김시원: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역 - 일본군 제6군사령관
  • 서영진: 구키 요시타카 역 - 일본 장수
  • 최동준: 도도 다카도라 역 - 일본 장수
  • 이희성: 가메이 고레노리 역 - 일본 장수
  • 김명수: 와키자카 야스하루 역 - 일본 장수
  • 장동직: 가토 요시아키 역 - 일본 장수
  • 염철호: 다치바나 무네시게 역 - 일본 장수
  • 방극현: 안코쿠지 에케이 역 - 일본 승려이자 장수
  • 황준원: 소오 요시토시 역 - 대마도 도주
  • 이경영: 겐소 역 - 일본 승려
  • 이봉규: 요시라 역 - 일본 세작
  • 염철호: 오야노 다네하카루 역 - 일본 장수
  • 유병준: 구루지마 미치유키 역 - 일본 장수
  • 유병준: 구루지마 미치후사 역 - 일본 장수
  • 신동훈: 나가오카 다다오키 역 - 일본 장수
  • 유승봉: 시마즈 요시히로 역 - 일본 장수
  • 김영석 → 김육룡: 간 미치나가 역 - 일본 장수
  • 이재훈: 와키자카 야스요시 역 - 와키자카 야스하루의 형이자 일본 다이묘
  • 오성열: 와키자카 이치로 역 - 와키자카 야스요시의 가신
  • 정봉연: 오가와 역 - 와키자카 야스하루의 부하장수
  • 한창현: 마나베 사마노조 역 - 와키자카 야스하루의 부하장수
  • 전진기: 와타나베 시치에몬 역 - 와키자카 야스하루의 부하장수
  • 김정민: 와키자카 사헤에 역 - 와키자카 야스하루의 조카이자 부하장수
  • 최당석: 사화동 역 - 조선의 순왜
  • 반석진: 다치바나 야스히로 역 - 일본 사신
  • 박영재: 야마다 역 - 도도 다카도라의 부관
  • 안연홍: 홍이 역 - 고니시의 세작
  • 오영수: 게무라 역 - 일본 승려
  • 이원희: 신이치 역 - 다카도라의 부관
  • 윤효식: 간스케 역 - 일본 저격수

명나라 관련 인물[편집]

  • 박용우: 만력제 역
  • 박용식: 석성 역
  • 김성환: 형개 역
  • 권태원: 송응창 역
  • 이원재: 심유경 역
  • 김태영: 이여송 역
  • 김하균: 진린 역
  • 함석훈: 등자룡 역
  • 손호균: 유정 역
  • 김대환: 해생 역
  • 최범호: 임세록 역
  • 유병한: 담종인 역
  • 장순국: 조승훈 역
  • 서상익: 천만리 역
  • 박승규: 양호 역
  • 원석연: 양원 역

여진족 인물[편집]

  • 김정현: 누르하치 역 - 건주여진 추장
  • 김경룡: 이탕개 역 - 야인여진 추장
  • 윤용현: 우을기내 역 - 야인여진 연합 대장
  • 선동혁: 맛니응개 역 - 야인여진 추장
  • 김광석: 추장1 역
  • 맹봉학: 추장2 역
  • 홍성민: 추장3 역
  • 강재: 사송아 역 - 여진족 장수
  • 단강호: 갑청아 역 - 여진족 장수

그 외[편집]

  • 김소이: 보름 역
  • 김규리: 박초희 역
  • 전예서: 청향 역
  • 최주봉: 허태만 역
  • 이경원: 김복남 역
  • 이대로: 정응정 역 - 정운의 父
  • 구중림: 대동계원 역
  • 한춘일: 어명 전달 관리 역
  • 양재성: 선전관 역
  • 황덕재: 종사관 역
  • 고태산: 조선군포로 역
  • 박용수: 박남경 역
  • 이성주: 부령부 이방, 남사당패 역
  • 안진수: 이운경 역
  • 권병길: 최중화 역
  • 신충식: 스님 역
  • 김선은: 군사 역
  • 박상현
  • 이종갑
  • 이연선
  • 이혜근: 정난정 역
  • 주부진
  • 손선근
  • 공재원: 차인/일본무사 역
  • 유인석
  • 전해룡
  • 고진명
  • 최윤준
  • 정병호
  • 김난주
  • 김홍수
  • 홍승모: 왜병 역

전투 회[편집]

  • 24회[12], 26회[13] 이탕개의 난
  • 33회, 34회 녹둔도 전투(녹둔도사건)
  • 61회, 62회 옥포해전
  • 67회, 68회 사천해전
  • 73회, 74회 한산도대첩
  • 77회, 78회 부산포 해전(부산 해전)
  • 91회, 92회 칠천량해전
  • 95회, 96회 명량해전
  • 1회, 100회 왜교성 전투(왜교성해전)
  • 4회, 104회(최종회) 노량해전

시청률 추이[편집]

  •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회차방송 일자전국 시청률(증감치)
제1회 2014년 9월 1일 3.8%
제2회 2014년 9월 2일 2.7%(-1.1)
제3회 2014년 9월 3일 3.8%(+1.1)
제4회 2014년 9월 4일 3%(+0.8)
제5회 2014년 9월 8일 3.2%(+0.2)
제6회 2014년 9월 9일 4.2%(+1.0)
제7회 2014년 9월 10일 3.4%(-0.8)
제8회 2014년 9월 11일 3.7%(+0.3)
제9회 2014년 9월 15일 3.2%(-0.5)
제10회 2014년 9월 16일 2.2%(-1.0)
제11회 2014년 9월 17일 3.1%(+0.9)
제12회 2014년 9월 18일 2.3%(-0.8)
제13회 2014년 9월 22일 3.3%(+1.0)
제14회 2014년 9월 23일 2.9%(-0.4)
제15회 2014년 9월 24일 3.2%(+0.3)
제16회 2014년 9월 25일 2.8%(-0.4)
제17회 2014년 9월 29일 3.3%(+0.5)
제18회 2014년 9월 30일 2.9%(-0.4)
제19회 2014년 10월 1일 4.2%(-1.3)
제20회 2014년 10월 6일 3.7%(-0.5)
제21회 2014년 10월 7일 3%(-0.7)
제22회 2014년 10월 8일 3.1%(+0.1)
제23회 2015년 10월 9일 미집계
제24회 2014년 10월 13일 3.1%
제25회 2014년 10월 14일 2.8%(-0.3)
제26회 2014년 10월 15일 2.9%(+0.1)
제27회 2014년 10월 16일 2.7%(-0.2)
제28회 2014년 10월 20일 4.2%(+1.5)
제29회 2014년 10월 21일 3.9%(-0.3)
제30회 2014년 10월 22일 2.8%(-1.1)
제31회 2014년 10월 23일 3.7%(-0.9)
제32회 2014년 10월 27일 3.1%(-0.6)
제33회 2014년 10월 28일 2.5%(-0.6)

이모저모[편집]

작품성 논란[편집]

  • 소설 불멸(작가 김탁환)과 더불어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 공동 원작소설인 칼의 노래 작가 김훈은 불멸의 이순신을 아동드라마라고 비판하였다.[14] 이에 2005년 1월 10일 불멸의 이순신 연출 이성주는 "불멸의 이순신의 원작은 조선왕조실록과 난중일기"라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이순신을 다룬 소설 '불멸'(김탁환 저)과 '칼의 노래'(김훈 저)를 계약한 것은 가공의 인물 등 필요한 부분을 가져다 쓰기 위함이었으므로 소설대로 드라마가 가는 것은 아니"라고 반박하였다. 그러나 조선왕조실록, 난중일기, 징비록 등 정사 기록을 무시하여 비판을 받았다.[15]
  • 불멸의 이순신 16회 방송분이 이순신이 농가에 몰래 숨어들어 감자를 훔쳐 먹는 장면이 방송되었다.[16]
  • 일부 역사학자들과 덕수이씨 이종억 종친회장은 '드라마는 사실무근이다' , '이 드라마는 대국민 사기극이다'라며 비판했다.[17][16]
  • 국궁을 양궁 자세로 묘사해 비판받았다.[18]
  • 경상북도 영천군 출신으로 임진왜란에서 활약한 김완이 전라도 사투리로 코믹 전담 캐릭터로 묘사되어 김완의 후손인 경주 김씨 문중으로부터 항의를 받았다.[19]
  • 이운룡은 백의종군이 된 이순신에게 '나으리'라고 부르는 부하들을 벌주고 이순신에게 쌀가마니를 나르게 하는 등 허드렛 일을 시키는 등에 역사적과는 다르게 백의종군 묘사로 논란이 일었다.[20]
  • 사이쇼 죠타이는 극중에서 '세이쇼 쇼타이'로 나왔는데 잘못된 이름이다.

외부 개입 논란[편집]

KBS 주말 대하드라마는 1999년 후삼국 시대부터 공민왕 시대까지 다루는 고려사 10년 시리즈를 계획했으나 정연주 KBS 사장 취임된 이후 고려 무신집권을 다룬 무인시대 방송 당시 고무줄 편성대 등으로 논란이 일어났다.[21] 무인시대 종영이후 당초 고려사 드라마는 전격 취소하고 정연주 사장의 '특명'으로 성웅 이순신 사극을 기획했고 심혈을 기울였다. 정 사장은 또 '내부적 필요'라고 보기엔 과할 정도로 '이순신 프로젝트'에 공을 들였으며, 특히 노무현 대통령이 관심을 보인다고 알려지며 자연스레 홍보가 됐다.

그 외[편집]

  • 2006년 2월, 불멸의 이순신의 팬들은 자비로
충무공 이순신 장군님과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에 받은 감동 가슴으로 기억하겠습니다.

라는 감사패를 제작하여 이순신 역 김명민, 연출 이성주 감독 등 불멸의 이순신 제작진들에게 전달하기도 하였다.[22]

  • 당초 이순신 역 배역에 배우 송일국이 캐스팅된 상태였으나, 교체되었다.[23]
  • 원균(최재성 분) 역에는 김상중, 박상민 등이, 미진(김규리 분) 역에는 김태연, 김보경 등이 거론되었으나 무산되었다.[24]
  • 후속작으론 <서울 1945>를 편성할 예정이었으나 제작비 탓인지 보류되었으며 대체 후속작으로 2001년 2TV에서 방영된 <명성황후>를 재방송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시청자들의 반발과 내부적인 사정으로 편성이 보류[25]되었으며 이 때문에 당초 기획된 100부작에서 4부 늘린 104부작으로 막을 내렸다.

수상 경력[편집]

  • 2005년 KBS 연기대상 대상 김명민
  • 2005년 KBS 연기대상 남자 조연상 박철민
  • 2005년 KBS 연기대상 남자 청소년연기상 유승호
  • 2006년 제33회 한국방송대상 TV드라마부문 최우수작품상/탤런트상 김명민 (해당 작품 外)/미술상 정홍극(해당 작품 外 제작)

각주[편집]

  1. `암흑시대' 고려사 복원 활발 연합뉴스 1999년 1월 29일
  2. (기자의 눈)이진영/KBS에서 밀려난 ‘고려史’ 동아일보 2004년 8월 20일
  3. 《불멸의 이순신`열광… `》, 《joins》, 2005년 3월 21일. 중앙일보 홈페이지 이용
  4. 《불멸의 이순신, 독도 특수 타고 '껑충'》[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ytnstar》, 2005년 3월 16일. YTN 홈페이지 Archived 2007년 8월 22일 - 웨이백 머신 이용
  5. 김가희 기자 (2005년 8월 29일). “'불멸의 이순신' 시청률 31% 피날레~”. 스포츠한국.
  6. “‘불멸의 이순신’ 최종회 시청율 31%”. 한겨레. 2005년 8월 29일.
  7. (주간 시청률 분석) SBS '패션 70s', '...이순신'누르고 2위 2005년 8월 16일 스포츠조선
  8. 김정섭 기자 (2004년 11월 25일). “조민기 KBS 출연정지”. 경향신문.
  9. 서병기 대중문화전문기자 (2005년 4월 28일). “‘불멸의 이순신’ 조연출, “제작과정에서 유혹 떨치기 힘들었다””. 헤럴드 경제.
  10. KBS1 "불멸의 이순신" 재탕편집 시청자 분노 2005년 4월 4일 세계일보
  11. 후에는 코헤이라고 불림
  12. 단순한 야인들의 노략질로 묘사되었다.
  13. 사송아가 복수하는 장면으로 나왔다.
  14. 本報문화부 기자들, 김훈을 만나다 2004년 12월 19일 한국일보
  15. '불멸의 이순신' 아동극수준? "개의치 않는다" 2005년 1월 10일 스타뉴스
  16. ↑ 가 나 '임진왜란때 웬 감자'…'불멸의 이순신' 또 역사 왜곡 논란, 2004년 11월 1일 일간스포츠
  17. "충무공이 원균을 형이라고 부르다니…", 2004년 10월 25일 일간스포츠
  18. "불멸의 이순신, 활쏘기 고증 제대로 하라" 스타뉴스 2004년 10월 11일
  19. 김완장군 고증달라 후손들 항의 움직임 2005년 4월 2일 매일신문
  20. '불멸의 이순신' 백의종군 이순신 폄하논란 스타뉴스 2004년 12월 27일
  21. 권로미 기자 (2004년 3월 16일). “방영 시간 들쭉날쭉… `무인시대` 팬 화났다”. 헤럴드경제.
  22. 김태은 기자 (2006년 3월 14일). “'…이순신' 시청자들, 김명민 등 95명에 감사패”. 스타뉴스.
  23. 이동현 기자 (2004년 11월 22일). “송일국 7개월간의 '흥망성쇠'”. 스포츠한국.
  24. 이동현 (2004년 11월 29일). “[채널포커스] '불멸의 이순신' 신뢰도 뚝”. 스포츠한국. 2017년 8월 2일에 확인함.
  25. 남안우 (2005년 7월 24일). “‘불멸의 이순신’ 후속작에 ‘징기스칸’ 방송”. 마이데일리. 2015년 7월 2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KBS 불멸의 이순신 - 공식 웹사이트

리뷰[편집]

  • (영어) 불멸의 이순신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불멸의 이순신 회차 - bulmyeol-ui isunsin hoecha
한국방송 대하드라마
이전 작품작품명다음 작품

무인시대
(2003년 2월 8일 ~ 2004년 8월 15일)

불멸의 이순신
(2004년 9월 4일 ~ 2005년 8월 28일)

서울 1945
(2006년 1월 7일 ~ 2006년 9월 1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