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저형 고소작업대 안전인증 - sijeohyeong gosojag-eobdae anjeon-injeung

  • 검색어에 아래의 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색연산자
검색연산자기능검색시 예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예1) (나노 (기계 | machine))
공백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예) semi*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학위논문 상세정보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시저형 고소작업대를 대상으로 관련 법령 기준에 대한 연구 및 임대업체 및 현장 활용실태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한 후 개선된 안전작업절차서를 설계하여 현업 적용을 통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본 고소작업대 안전작업절차서가 근로자 작업 위험을 경감하는데 높은 효과를 얻었다. 실제로 본 안전작업절차서를 도입, 적용한 현장들은 고소작업대 입고검사에서 부터 근로자 사용에 관한 전 과정을 보다 체계적이고 안전한 방법으로 장비를 운용할 수 있었고 작업 효율 또한 높아졌다고 응답하고 있었다. 2. 고소작업대의 ...

본 연구는 국내 시저형 고소작업대를 대상으로 관련 법령 기준에 대한 연구 및 임대업체 및 현장 활용실태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한 후 개선된 안전작업절차서를 설계하여 현업 적용을 통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본 고소작업대 안전작업절차서가 근로자 작업 위험을 경감하는데 높은 효과를 얻었다. 실제로 본 안전작업절차서를 도입, 적용한 현장들은 고소작업대 입고검사에서 부터 근로자 사용에 관한 전 과정을 보다 체계적이고 안전한 방법으로 장비를 운용할 수 있었고 작업 효율 또한 높아졌다고 응답하고 있었다. 2. 고소작업대의 사후관리 측면에서 주기적인 정기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즉 안전인증심사 후의 장비 각부의 기계, 전기적 기능저하 상태 및 각 안전장치의 정상 작동상태 등을 주기적인 검사를 실시함으로써 부적합 결함을 사전에 차단하고 현장에서 안전장치의 임의해체 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3. 과부하감지 제어기 개량형을 설치하여 과부하에 대한 신속한 조치가 되어야 한다. 기존의 과부하방지장치의 경우 작동 후 리셋기능이 번거롭다는 이유로 기피하는 현상을 발견하였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과하중을 감지할 수 있는 개량형 하중감지 및 제어장치를 부착하여야 한다. 4. 고소작업대 작업구간에서 작업대 상승 시 발생되는 천정 구조물의 종류 및 형태를 다각적으로 분석, 조사하여 작업순서 재정리 및 작업방법 개선 등을 통하여 작업자가 임의로 상부 장애물로 상승하여 작업하거나 고소작업대의 난간대를 밟고 작업하는 불안전한 행동을 사전에 차단토록 해야 한다.

주제어

#정기검사;고소작업대 안전작업절차서;과부하 감지제어기;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 [보고서] 상승·하강식 고소작업대 개발
  • [보고서] 시저형 고소작업대의 개발
  • [보고서] 베트남 시장 개척을 위한 극서 환경에서 3시간 유지성능을 발휘하는 포스페이트 도입 화학 혼화제 및 콘크리트 개발
  • [보고서] 식품 중 방사능 분석 SOP
  • [보고서] 최대 작업높이 25m의 소형 고소작업차 겸용 소형크레인에 적용 가능한 고 강성 경량 BOOM 개발


고소작업대


<차량탑재형 고소작업대>

자격 유해·위험작업작업의 취업제한에 관한 규칙
제3조(자격ㆍ면허 등이 필요한 작업의 범위 등)
- 고소작작업대(스카이) 운전 자격

 시행 전(2020.1.31까지)

 대형면허 소지

 시행 후(2020.2.1부터)

 기중기 운전기능사 소지

① 법 제47조제1항에 따른 작업과 그 작업에 필요한 자격ㆍ면허ㆍ경험 또는 기능은 별표 1과 같다.

▶안전인증
제84조(안전인증)
① 유해·위험기계등 중 근로자의 안전 및 보건에 위해(危害)를 미칠 수 있다고 인정되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이하 "안전인증대상기계등"이라 한다)을 제조하거나 수입하는 자(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안전인증대상기계등을 설치·이전하거나 주요 구조 부분을 변경하는 자를 포함한다. 이하 이 조 및 제85조부터 제87조까지의 규정에서 같다)는 안전인증대상 기계 등이 안전인증기준에 맞는지에 대하여 고용노동부장관이 실시하는 안전인증을 받아야 한다.


안전검사
제93조(안전검사)
① 유해하거나 위험한 기계·기구·설비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이하 "안전검사대상기계등" 이라 한다)을 사용하는 사업주(근로자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사업을 하는 자를 포함한다. 이하 이 조, 제94조, 제95조 및 제98조에서 같다)는 안전검사대상기계등의 안전에 관한 성능이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검사기준에 맞는지에 대하여 고용노동부장관이 실시하는 검사(이하 "안전검사"라 한다)를 받아야 한다. 이 경우 안전검사대상기계등을 사용하는 사업주와 소유자가 다른 경우에는 안전검사대상기계등의 소유자가 안전검사를 받아야 한다.


임의 변경 안전검사 고시
별표 12 고소작업대 검사 기준(19번)
1. 작업대 모든 측면에는 물체나 사람이 낙하 또는 추락하지 않도록 안전난간이 설치 되어 있어야 하며, 체인이나 로프를 안전난간으로 사용하지 않을 것
2. 안전난간은 작업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하고, 최소한 1.0m 이상 높이의 상부난간대와 0.1m 이상 높이의 발끝 막이판, 상부난간대나 발끝 막이판으로부터 0.55m 이내에
중간대로 구성되어 있을 것.(다만, 안전인증 이전 고소작업대의 경우안전보건규칙 제13 조 제1호부터 제5호까지에 적합한 안전난간이 설치된 경우에는 예외)


추락방지 조치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86조(고소작업대 설치 등의 조치)
① 사업주는 고소작업대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것을 설치하여야 한다.
1. 작업대를 와이어로프 또는 체인으로 올리거나 내릴 경우에는 와이어로프 또는 체인이
끊어져 작업대가 떨어지지 아니하는 구조여야 하며, 와이어로프 또는 체인의 안전율은 5
이상일 것
2. 작업대를 유압에 의해 올리거나 내릴 경우에는 작업대를 일정한 위치에 유지할 수 있는 장치를 갖추고 압력의 이상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일 것
3. 권과방지장치를 갖추거나 압력의 이상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일 것
4. 붐의 최대 지면경사각을 초과 운전하여 전도되지 않도록 할 것
5. 작업대에 정격하중(안전율 5 이상)을 표시할 것
6. 작업대에 끼임ㆍ충돌 등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가드 또는 과상승방지장치를 설치할 것
7. 조작반의 스위치는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명칭 및 방향표시를 유지할 것
② 사업주는 고소작업대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1. 바닥과 고소작업대는 가능하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할 것
2. 갑작스러운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웃트리거 또는 브레이크 등을 확실히 사용할 것
③ 사업주는 고소작업대를 이동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1. 작업대를 가장 낮게 내릴 것
2. 작업대를 올린 상태에서 작업자를 태우고 이동하지 말 것. 다만, 이동 중 전도 등의 위험 예방을 위하여 유도하는 사람을 배치하고 짧은 구간을 이동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3. 이동통로의 요철상태 또는 장애물의 유무 등을 확인할 것
④ 사업주는 고소작업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1. 작업자가 안전모ㆍ안전대 등의 보호구를 착용하도록 할 것
2. 관계자가 아닌 사람이 작업구역에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할 것
3. 안전한 작업을 위하여 적정수준의 조도를 유지할 것
4. 전로(電路)에 근접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작업감시자를 배치하는 등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할 것
5. 작업대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붐ㆍ작업대 등 각 부위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것
6. 전환스위치는 다른 물체를 이용하여 고정하지 말 것
7. 작업대는 정격하중을 초과하여 물건을 싣거나 탑승하지 말 것
8. 작업대의 붐대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탑승자는 작업대를 벗어나지 말 것. 다만, 작업대에 안전대 부착설비를 설치하고 안전대를 연결하였을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작업계획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8조(사전조사 및 작업계획서의 작성 등)
① 사업주는 다음 각 호의 작업을 하는 경우 근로자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표 4에
따라 해당 작업, 작업장의 지형ㆍ지반 및 지층 상태 등에 대한 사전조사를 하고 그 결과
를 기록ㆍ보존하여야 하며, 조사결과를 고려하여 별표 4의 구분에 따른 사항을 포함한
작업계획서를 작성하고 그 계획에 따라 작업을 하도록 하여야 한다.
1. 타워크레인을 설치ㆍ조립ㆍ해체하는 작업
2. 차량계 하역운반기계등을 사용하는 작업(화물자동차를 사용하는 도로상의 주행작업은
제외한다. 이하 같다)
3. 차량계 건설기계를 사용하는 작업
4. 화학설비와 그 부속설비를 사용하는 작업
5. 제318조에 따른 전기작업(해당 전압이 50볼트를 넘거나 전기에너지가 250볼트암페어를 넘는 경우로 한정한다)
6. 굴착면의 높이가 2미터 이상이 되는 지반의 굴착작업(이하 "굴착작업"이라 한다)
7. 터널굴착작업
8. 교량(상부구조가 금속 또는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교량으로서 그 높이가 5미터 이상이거나 교량의 최대 지간 길이가 30미터 이상인 교량으로 한정한다)의 설치ㆍ해체 또는 변경 작업
9. 채석작업
10. 건물 등의 해체작업
11. 중량물의 취급작업
12. 궤도나 그 밖의 관련 설비의 보수ㆍ점검작업
13. 열차의 교환ㆍ연결 또는 분리 작업(이하 "입환작업"이라 한다)
② 사업주는 제1항에 따라 작성한 작업계획서의 내용을 해당 근로자에게 알려야 한다.
③ 사업주는 항타기나 항발기를 조립ㆍ해체ㆍ변경 또는 이동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 그 작업 방법과 절차를 정하여 근로자에게 주지시켜야 한다.
④ 사업주는 제1항제12호의 작업에 모터카(motor car), 멀티플타이탬퍼(multiple tie tamper), 밸러스트 콤팩터(ballast compactor), 궤도안정기 등의 작업차량(이하 "궤도작업차량"이라 한다)을 사용하는 경우 미리 그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의 운행관계자와 협의하여야 한다.

고소작업대(스카이)는 차량계 하역운반기계로 분류되며 별표4에 의거 안전작업계획서에는 다음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해당 작업에 따른 추락ㆍ낙하ㆍ전도ㆍ협착 및 붕괴 등의 위험 예방대책
▷차량계 하역운반기계등의 운행경로 및 작업방법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작업계획서.hwp

0.01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