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비어천가 2장 pdf - yongbieocheonga 2jang pdf

1. 제1장

2

海東(해동) 六龍(육룡)이 샤 일마다 天福(천복)이시니

2. 제2장

5

불휘 기픈 남 매 아니 뮐 곶 됴코 여름 하니

6

미 기픈 므른 래 아니 그츨 내히 이러 바래 가니

3. 제3장

8

周國(주국) 大王(대왕)이 豳谷(빈곡)애 사샤 帝業(제업)을 여르시니

9

우리 始祖(시조)ㅣ 慶興(경흥)에 사샤 王業(왕업)을 여르시니

4. 제4장

11

狄人(적인)ㅅ 서리예 가샤 狄人(적인)이 외어늘 岐山(기산) 올샴도 하디시니

12

野人(야인)ㅅ 서리예 가샤 野人(야인)이 외어늘 德源(덕원) 올샴도 하디시니

5. 제5장

14

漆沮(칠저)  움흘 後聖(후성)이 니시니 帝業憂勤(제업우근)이 뎌러시니

15

赤島(적도) 안 움흘 至今(지금)에 보니 王業(왕업) 艱難(간난)이 이러시니

6. 제6장

17

商德(상덕)이 衰(쇠)거든 天下(천하) 맛시릴 西水(서수)ㅅ 져재 니

18

麗運(여운)이 衰(쇠)거든 나라 맛시릴 東海(동해)ㅅ 져재 니

7. 제7장

20

블근 새 그를 므러 寢室(침실) 이페 안니 聖子革命(성자혁명)에 帝祜(제호) 뵈니

21

야미 가칠 므러 즘겟가재 연니 聖孫將興(성손장흥)에 嘉祥(가상)이 몬제시니

8. 제8장

23

太子(태자) 하히 샤 兄(형)ㄱ디 일어시 聖孫(성손) 내시니다.

24

世子(세자) 하히 샤 帝命(제명)이 리어시 聖子(성자) 내시니다.

9. 제9장

26

奉天討罪(봉천토죄)실 四方諸侯(사방제후)ㅣ 몯더니 聖化(성화)ㅣ 오라샤 西夷(서이)  모니

27

唱義班師(창의반사)ㅣ실 千里人民(천리인민)이 몯더니 聖化(성화)ㅣ 기프샤 北狄(북적)이  모니

10. 제10장

29

一夫(일부)ㅣ 流毒(유독) 我后(아후)를 기드리 玄黃筐篚(현황광비)로 길헤 라니

30

狂夫(광부)ㅣ 肆虐(사학) 義旗(의기)를 기드리 簞食壺漿(단사호장)로 길헤 라니

11. 제11장

32

虞芮(우예) 質成(질성)로 方國(방국)이 해 모나 至德(지덕)이실 獨夫受(독부수)ㄹ 셤기시니

33

威化振旅(위화진려)시로 輿望(여망)이 다 몯나 至忠(지충)이실 中興主(중흥주)를 셰시니

12. 제12장

35

五年(오년)을 改過(개과) 몯야 虐政(학정)이 날로 더을 倒戈之日(도과지일)에 先考(선고)ᅙ 몯일우시니

36

나래 讒訴(참소) 드러 兇謀(흉모)ㅣ 날로 더을 勸進之日(권진지일)에 平生(평생)ㄱ  몯일우시니

13. 제13장

38

말 리 하 天命(천명)을 疑心(의심)실 므로 뵈아시니

39

놀애 브르리 하 天命(천명)을 모실 므로 알외시니

14. 제14장

41

聖孫(성손)이 一怒(일노)시니 六百年(육백년) 天下(천하)ㅣ 洛陽(낙양)애 올니다

42

聖子(성자)ㅣ 三讓(삼양)이시나 五百年(오백년) 나라히 漢陽(한양)애 올니다

15. 제15장

44

揚子江南(양자강남) 리샤 使者(사자) 보내신 七代之王(칠대지왕) 뉘 마리가

45

公州(공주)ㅣ 江南(강남) 저샤 子孫(자손) 치신 九變之局(구변지국)이 사 디리가

16. 제16장

47

逃亡(도망)애 命(명)을 미드며 놀애예 일훔 미드니 英主(영주) 알 내내 붓그리리

48

올모려 님금 오시며 姓(성) 야 員(원)이 오니 오나래 내내 웃리

17. 제17장

50

宮女(궁녀)로 놀라샤미 宮監(궁감) 다시언마 問罪江都(문죄강도) 느치리가

51

官妓(관기)로 怒(노)샤미 官吏(관리)의 다시언마 肇基朔方(조기삭방) 뵈아시니다

18. 제18장

53

驪山(여산) 役徒(역도) 일샤 지로 도라오제 열희  하히 달애시니

54

셔 使者(사자) 리샤 바 건너제 二百戶(이백호) 어느 뉘 청니

19. 제19장

56

구든 城(성)을 모샤  길히 입더시니 셴 하나비 하히 브리시니

57

 한 도 모샤 보리라 기드리시니 셴 할미 하히 보내시니

20. 제20장

59

四海(사해) 년글 주리여 매  업거늘 얼우시고  노기시니

60

三韓(삼한)  주리여 바래  업거늘 녀토시고  기피시니

중세 국어 문법 위주로 만든 <용비어천가> 제2장, 제125장 관련 문제입니다. 참고하시고 질문 사항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확인하겠습니다.

용비어천가 10문제-2.hwp

0.10MB

※중세 국어의 특징

1.음운

 - 오늘날에는 잘 쓰이지 않는 음운(ㅿ, ㆁ, ㆆ, ㆍ)이 사용됨

 - 성조를 표시하기 위한 방점을 글자의 왼쪽에 표기함

 - 양성 모음은 양성 모음끼리, 음성 모음은 음성 모음끼리 어울려 쓰이는 모음 조화 현상이 비교적 잘 지켜짐

 - 단어의 초성에 서로 다른 자음이 어울려 쓰이는 어두 자음군이 나타남.

 - 단어 내부의 구개음화나 원순 모음화가 아직 적용되지 않음

2.문법 요소

 - 현대 국어와 달리 주격 조사로는 '이/ㅣ'가 사용되고 '가'는 사용되지 않음

 - 명사형 전성 어미로 '-옴/움'이 사용됨

3.표기

 - 주로 세로쓰기를 함

 - 받침에는 'ㄱ,ㄴ,ㄷ,ㄹ,ㅁ,ㅂ,ㅅ,ㆁ'만 적는 8종성법이 적용됨

 - 한자어의 발음을 표기하는 데에 동국정운식 표기를 활용함

 - 띄어쓰기를 하지 않음

4.단어

 -ㄱ종성 체언이나 ㅎ종성 체언처럼 환경에 따라 형태를 바꾸는 체언이 존재함

 -현대 국어와 같은 형태의 단어가 다른 의미로 쓰이기도 함.

※용비어천가

① 특징: 조선 시대의 악장이자 서사시. 훈민정음으로 간행된 최초의 문헌이다. 외부적으로는 조선 건국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 있었고, 내부적으로는 훈민정음의 실용성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이 있었다. 주된 내용은 태조 이성계의 선조들이 겪은 영웅적인 이야기가 중국의 고사와 유사함을 강조하여 조선 왕조의 위대함을 부각하기 위한 내용과 함께 후대 왕들에 대한 충고가 담겨 있다. 

②지문 감상 및 현대어 풀이

용비어천가 2장 pdf - yongbieocheonga 2jang pdf

③<제125장>과 관련한 중국 고사

  하나라의 초대왕인 우왕은 통치를 잘하여 백성들과 신하들의 신망을 두텁게 얻은 왕이었다. 그의 손자로 왕위에 오른 제3대 태강왕은 사냥을 좋아해 할아버지인 우왕의 덕을 믿고 낙수란 곳에 사냥을 간 지 100일이 넘도록 돌아오지 않았다. 이에 백성들이 모두 다른 마음을 품었고, 궁의 제후인 예가 백성을 위해서 참을 수 없다하고 돌아오는 길을 막아서 왕위를 폐하였다. 이 이야기를 통해 후대 왕들에게 <용비어천가>에 나온 이성계의 선조들이 영웅적이고 위대한 인물이고 이들의 혈통을 이어받았다고 하더라도 자기 스스로 좋은 임금이 되기 위해 노력해야 올바른 통치를 할 수 있다는 교훈을 전하고자 하는 의도가 담겨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