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score 골다공증 - Z-score goldagongjeung

Z-score 골다공증 - Z-score goldagongjeung

질문

골다공증 약물 치료 기준이 궁금합니다.

Show

    T score 라는 것이 -2.5 미만이면 약물 치료가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골다공증 검사 결과지에 나오는 수치중

    어느 것을 기준으로 약물 치료를 하는지 궁금합니다.

    neck

    wards

    troch

    shaft

    total

    Z-score 골다공증 - Z-score goldagongjeung

    답변

    Re: 골다공증 약물 치료 기준이 궁금합니다.

    Z-score 골다공증 - Z-score goldagongjeung

    하이닥 스코어: 258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0명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0명

    2011.10.25

    안녕하세요. 하이닥 상담의 이완구입니다.

    골다공증을 진단하기 위한 골밀도 검사는 나이가 많은 노인이나 폐경후 여성에서 일반적으로 시행하며, 나이가 젊은 남자에게는 잘 시행되지 않는 검사입니다.

    젊은 나이의 남성이 골다공증 검사를 받았다면 아마 이에 맞는 충분한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예를들면 스테로이드를 계속 사용했다거나, 장에 이상이 있어 자주 설사를 하는 흡수불량증후군이 있다거나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등이 있어 골밀도가 낮아질 위험이 높은 사람에게는 젊은 남성에서도 골밀도 검사를 추천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런 질환이 없는 50세 이전의 남성이나 폐경 전의 여성의 경우는 골밀도 검사를 받아도 T 값이 골절의 위험도를 잘 예측하지 못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골밀도를 권유하지 않는 것입니다.

    질문자 처럼 체중도 많이 나가고 담배도 태우지 않는 건장한 남자의 경우는 특히 골다공증의 위험도는 극히 낮습니다.

    본인이 골다공증이 있는지 알아보려면 이 때는 T score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Z score를 기준으로 해야 합니다.
    Z score가 -2.0 이상이라면 "연령에 적합"이라고 판정하고, -2.0이하라면 "연령보다 낮음"이라고 판정하고 경과를 관찰하게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Z-score 골다공증 - Z-score goldagongjeung

    관련 상담

    • 임플란트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 골다공증 한약재 질문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관절약복용시
    • 골다공증이면 두개골도 골절이 잘되나요?
    • 약복용 관련 질문드립니다.

    연수강좌 당일 남겨주신 질의에 대해 해당 강의 연자께서 직접 답변하신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답변되거나 질의 내용이 불확실한 경우 등 일부 질의는 제외되었음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1 요추 압박골절과 퇴행성 변화가 심한 상태인데 골밀도는 높은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어떻게 접근하는 게 좋을까요? 압박골절, 퇴행성 변화로 인해 골밀도가 증가됩니다. 이런 변화가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 판독하거나 Femur로 판독할 수 있고, 또한 골절 자체가 골다공증으로 볼 수 있으므로 치료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단 골절의 경우 최근 골절에서 3년간 급여가 인정됩니다. 20 치료 실패로 보고 약을 바꿔야 되는 bone turnover marker의 차이 기준치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LSC 이상으로 변화가 없는 경우는 환자의 약물 순응도를 확인해 보고 약제의 변경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19 골다공증 1년 치료 후 골밀도 검사를 했는데, 오히려 골밀도가 더 감소되는 경우가 있는데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요? 골밀도의 LSC는 측정기관에 따라 다르나 LSC 이하 예를 들면 CV 가 0.6 이면 1.7 % 이하의 변화는 차이가 없음입니다. 이는 상당히 측정을 잘하는 병원의 값입니다. 따라서 2% 정도의 변화라면 감소되지 않고 유지되는 것으로 보는 것이 합당하고 여러 해 관찰하면 지그재그로 증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골표지자가 적절히 유지되면 좀 더 관찰하는 것이 좋고 저는 감소되는 것이 정상인데 유지되는 것으로 설명합니다. 물론 환자가 약을 잘 먹었는지, vitaminD가 적절한지는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18 치료 중 P1NP, CTX-1 을 f/u할 때 오르는게 효과가 있는 것일까요? 골형성, 골흡수표지라 각각 보는 법이 다를지 궁금합니다. 약제에 따라 다르나 골흡수 억제제의 경우에는 두 가지 모두 감소하는 것이 효과가 있는 것이며 골형성 억제제 약제에 따라 감소, 증가가 달라집니다. 17 T-score가 보험 기준이 안되면 바로 약을 끊으시나요? 아니면 비보험으로 유지하는지요? 비보험으로 유지한다면 기준 t-score 값이 궁금합니다. BMD가 충분히 상승된 경우 특히 비스포스포네이트를 복용하였던 경우에는 중단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외의 경우에는 drug holiday가 적용되지 않으므로 골절 위험도를 보고 결정합니다. 골절 위험도가 높은 경우는 비급여로 지속하고 BMD가 낮은 경우에도 유지하도록 설명합니다. Target은 연구자에 따라 다르나 -2.0 또는 -1.5를 얘기하고 있습니다. 16 젊은 연령에서 z score로 판정하면 z score로 판정하시면 z score <-2.0 일 때 약제 보험이 적용되나요? 약제에 대한 급여기준은 기존과 동일합니다. T -2.5 이하로 되어있습니다. 15 골밀도 표지자 감소 표지자와 vitD 급여 횟수에 대한 정리 부탁드립니다 년 2회 급여되는지, 검사 전/ 검사 후 2회 인지요? 비타민D 급여기준은 다음과 같고, 최근 엄격하게 삭감을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가. 비타민 D 흡수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위장질환 및 흡수장애 질환 나. 항경련제(Phenytoin이나 Phenobarbital 등), 결핵약제, 항레트로바이러스제, 항진균제(Ketoconazole), 고지혈증치료제(Cholestyramine)를 투여 받는 환자 다. 간부전, 간경변증 라. 만성 신장병 마. 악성종양 바. 구루병 사. 골다공증 진단 후(이차성 골다공증의 원인 감별이 필요한 경우 포함) 아. 골연화증 자. 체표면적 40% 이상 화상 차. 부갑상선기능이상(저하증, 항진증) 카. 칼슘대사이상(고칼슘혈증, 저칼슘혈증, 고칼슘뇨증, 저인산혈증) 횟수는 약물 투여 3~6개월 후 치료 효과 판정 시 1회 인정, 지속적인 약물 투여로 인한 추적 검사 시 연 2회 인정됩니다. 골표지자는 골흡수표지자검사와 골형성표지자검사를 각 1종씩 요양급여를 인정되며 골다공증 약물치료 시작 전 1회와 골다공증 약물치료 후 약제 효과 판정을 위해 실시할 수 있으며 연 2회 이내로 되어 있습니다. 14 연령 기대치 이하로 진단될 경우 치료는 일반적인 골다공증에 준해서 하면 될지요? 연령 기대치 이하의 경우는 골다공증으로 정의하지 않습니다. 질환이 없는 경우도 있고 이차성 골다공증이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감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약물치료를 처음부터 시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급여도 인정되지 않습니다. 13 LSC 이상 BTM 가 변한다는 걸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Tx는 치료 시 기존에 비해 56% 감소되는 경우에 치료 효과가 있다고 얘기하고 P1NP는 30% 이상 변화 시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Baseline CTX가 0.601 ng/ml인 경우는 치료 후 0.250으로 변화 시는 58% 감소가 되므로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2 골밀도 및 골표지자의 LSC를 설정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강의록에 있는 대로 병원 내에서 ISCD 홈페이지에 있는 내용으로 CV를 구하고 2.77을 곱하여 LSC를 측정하여야 합니다. 이는 기관마다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골표지자도 측정기관의 CV를 통해서 LSC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11 2ndary osteoporosis 감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lab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는 지요? 정해진 것은 아니나 기본적인 검사 CBC, 간 기능, Ca, P, 총 칼슘, 인, 총 단백질, 알부민, 알칼리성 인산염 분해효소, 크레아티닌, 전해질, 갑상선기능검사(TSH, 유리 T4), 24시간 소변 칼슘, 나트륨, 사구체여과율(eGFR), 혈청 25(OH) D 농도, 황체형성호르몬(LH), 난포자극호르몬(FSH), 테스토스테론(남성), 에스트로겐(여성) 등을 측정하고 필요에 따라 PTH 등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10 40대 남성 기대 연령치 이하 (Z-score) -2.0 인 경우 어떤 검사를 해야 될까요? 개원가에서 지켜봐도 될지 상급종합병원 refer를 해야 될지요? 2차성 골다공증에 대한 검사가 필요하므로 한 번은 전원을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9 골다공증 약을 사용하면서 시행한 BMD 검사상 수치가 변화 없이 유지된다면 약이 효과가 있다고 보고 계속 약을 사용해도 될까요? 변화가 없다면 우선 반응이 없는 것으로 판정하지는 않습니다. 이런 경우 골 표지자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골절이 없다면 치료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8 폐경 전, 50세 이하 남성의 경우 연령 기대치 이하의 결과를 보이면, 골밀도 관리를 위해 어떤 교육과 치료를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이차성 골다공증 여부에 대한 검사를 시행 후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생활습관에 대한 교육 및 운동, 식이요법에 대한 교육을 합니다. 7 이차성 골다공증은 어떤 경우에 work up 해야 하나요? 연령에 비해 골소실이 빠르거나, 적절한 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 50세 미만 남성 또는 페경 전 여성에서 비외상성 골절이 있는 경우, 골밀도가 정확히 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나 Z-score -2.0 이하의 경우, 기본 검사 상 이상이 있는 경우 등이 해당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