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연결된 디스크 확인 - linugseu yeongyeoldoen diseukeu hwag-in

이번 포스팅에서는 간단하게 리눅스에 설치된 하드 디스크의 파티션을 확인해보고, 물리적 공간과 소프트웨어를 연결시켜서 실제로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마운트 시키는 부분까지 다루어 보겠다.

먼저 현재 랩실 서버 컴퓨터에서 fdisk -l 을 해본 결과를 보면, 아래와 같이 /dev/loop0부터,,, 쭈욱 20개 남짓 loop 파티션이 나눠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것은 Disk 라고 되어 있다. 그러다가 loop 이외의 다른 파티션이 보인다.

리눅스 연결된 디스크 확인 - linugseu yeongyeoldoen diseukeu hwag-in

Device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이, /dev/nvme0n1p1 이라고 장치가 표시되고, Boot에 별표(*)가 있다. 이 표시가 있으면 해당 파티션이 부팅 파티션이라는 의미이다.

리눅스 연결된 디스크 확인 - linugseu yeongyeoldoen diseukeu hwag-in

그런데 여기서 nvme0n1p1 이라는 것이 너무 생소해서, 좀 알아보았더니, SSD와 같은 빠른 디스크 처리를 위한 프로토콜이 NVMe라는 것인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 포스팅에서 간략히 알아보았으니 참고하자. 여하튼 여기서 기억할 건, 이 장치는 SSD라는 것이다!

해당 파티션은 대략 1T(테라) 정도의 용량을 보유한 SSD 디스크라는 것을 확인하였고, SSD 디스크를 사용해서 부팅을 한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는 보통 HDD 디스크에 대한 정보가 보인다. 3.7T(테라)의 용량을 보유하고, 리눅스 파일시스템 형태로 데이터 저장소로써의 역할을 주로 하게 될 것이다.

리눅스 연결된 디스크 확인 - linugseu yeongyeoldoen diseukeu hwag-in

df -h :: 마운트된 파티션의 사용현황 확인하기

리눅스 연결된 디스크 확인 - linugseu yeongyeoldoen diseukeu hwag-in

현재 SSD를 비정상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래서 살펴보니, HDD가 마운트가 안된 채로 사용되고 있지 않았던 것이다;; 그래서 HDD는 마운트 시키는 작업 해보았다.

mount /dev/sda1(마운트 시킬 파티션) /database_1(마운트 시킬 폴더 경로) :: 파티션 마운트 시키기

즉, mount라는 명령어를 사용해서 현재 보유한 파티션을 원하는 폴더에 마운트 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su 를 하여 루트로 작업해야 한다. 아, 그리고 모든 사용자가 해당 폴더를 사용할 수 있도록 chmode 777 /database_1 도 해주자. 위의 예제는 /database_1 이라는 폴더를 임의로 만들어서 진행하고 있는 경우이다.

자, 이제 다시 df -h 를 하여 현재 마운트된 파티션을 확인해보자. 그러면 아래와 같이 /dev/sda1 이 마운트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현재 1퍼센트 사용중이라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리눅스 연결된 디스크 확인 - linugseu yeongyeoldoen diseukeu hwag-in

/etc/fstab 파일 수정을 통한 영구적 마운트 시키기

현재 위와 같이 마운트 시킨 상황에서는 컴퓨터를 껐다 키게 되면 마운트 되었던 파티션이 다시 풀리게 된다. 즉, 다시 인식을 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것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etc/fstab 이라는 파일을 수정해주어야 한다. 현재 랩실 서버 컴퓨터의 상황을 보면, UUID라는 것이 있고, 이것이 마운트 된 느낌이다. 이것은 SSD에 대한 UUID일 것이고, 이것을 HDD에 대해서 확인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blkid 명령어로 할 수 있다.

리눅스 연결된 디스크 확인 - linugseu yeongyeoldoen diseukeu hwag-in

결과는 아래와 같다. UUID 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의 타입도 확인할 수 있다.

리눅스 연결된 디스크 확인 - linugseu yeongyeoldoen diseukeu hwag-in

자, 그러면 이제 UUID도 얻었으니, 이것을 영구적으로 마운트 시켜 보자.

순서는 다음과 같다.

UUID=... [마운트 포인트] [파일시스템 종류] [마운트 옵션] [Dump] [File Sequence Check Option]

리눅스 연결된 디스크 확인 - linugseu yeongyeoldoen diseukeu hwag-in

위의 옵션에 대한 설명은 아래 포스팅에서 잘 되어 있으니 참고하자!

이렇게 /etc/fstab 파일을 편집해놓은 후, 재부팅하게 되면 항상 해당 파티션이 마운트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윈도우와 다르게 리눅스는 그래픽 기반이 아니기 때문에 자칫 내 하드를 물리적으로 보유하고 실제로 사용하고 있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래서 이런 파티션 하는 부분과 마운트에 대한 개념을 잘 알아 두도록 하자!

1. CPU 정보 확인

#명령어 cat /proc/cpuinfo cat /proc/cpuinfo > cpuinfo.txt                     /* cpuinfo.txt 파일에 cpuinfo 정보를 저장 */ cat /proc/cpuinfo | grep "model name" | head -1     /* cpu "model name" 중 맨위 한줄만 출력 */ cat /proc/cpuinfo | grep "physical id"              /* cpu 갯수 확인 (0이면 1개 0과 1이 나오면 2개 0,1,2,3 이 나오면 cpu는 4개 */

2. 메모리 정보 확인

top                                 /* 메모리 사용현황 */ cat /proc/meminfo                   /* 메모리 용량 */ cat /proc/meminfo > meminfo.txt     /* meminfo.txt 파일에 meminfo 정보를 저장 */ dmidecode -t 17                     /* 메모리 상세정보(Ex 메모리 타입,슬롯,사이즈 등 */

3. 디스크 정보 확인

cat /proc/scsi/scs         /* scsi */ cat /proc/ide/hda/model    /* hda */ cat /proc/mdstat           /* linux Software Raid */ smartctl -a /dev/sd*    /* 디스크의 모든 SMART 정보 출력 */ smartctl -i /dev/sd*    /* 디스크의 신원 정보 출력 */ fdisk -l     /* 연결돼있는 디스크 리스트 정보 출력 */ df -h        /* 파티션 및 용량 정보 */ du -sh       /* 현재 폴더 데이터 사용량 */

4. PCI 정보 확인

lspci /* 모든 PCI 정보 출력 */ lspci | grep RAID /* RAID 모델명 확인 */ lspci | grep Ethernet /* 랜카드 모델명 확인 */ lspci | grep VGA          /* 그래픽 모델명 확인 */

5. 그 외 명령어

dmidecode -t TYPE /* TYPE - bios,system,baseboard(메인보드),chassis,processor,memory,slot 등 다양한 정보 출력 가능 */ mount /* 마운트된 파일시스템 정보 출력 */ lsusb /* usb 정보 출력 */ lsscsi /* scsi 목록 출력 */ hwinfo /* 각종 모든 하드웨어 정보 출력 (hwinfo 패키지 설치 필요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