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외모 지상주의 - seoyang oemo jisangjuui

외모지상주의로 알려진 루키즘(Lookism)은 신체적 외모 그리고 외형적 이미지를 기준으로 가치판단이나 더 나아가 차별 및 편견을 포함하는 행위를 일컫는다. 이는 사회구조적 요인과 영향력에 따라서 나타나며 우리 사회의 분열을 조장하는 등의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외모지상주의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어느 사회에나 깊숙이 침투해있다. 가까운 예로 외모만으로 평가받는 불평등한 사회를 들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피부색과 인종에 따라서 차별과 이익을 받는 인종차별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인간은 이성적으로 간주되지만, 예로부터 기준이나 취향의 차이가 있을 뿐 아름다운 것을 추구하며 추한 것을 멀리하는 본성을 보이며 살아왔다. 하지만 외모의 우열이 능력이나 필요성에서 우열을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생각하면 이는 분명 지양되어야 할 태도이다.

외모지상주의가 과학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서양에는 표지로 책을 판단하지 말라는 말이 있다. 이처럼 사람을 대할 때 겉모습으로 판단하지 않음은 가장 먼저 적용해야 할 원칙으로 여겨지지만, 인간은 다른 생물체를 대할 때도 이를 지키지 않고 있다. 흔한 예로 동물 보호를 논할 때 인간과 가깝고 미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는 개와 고양이는 다른 동물들보다 항상 우위에 있으며 인간에게 딱히 해롭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대중적이지 않은 포유류나 파충류, 양서류 등은 우선순위에서 배제되곤 한다.

서양 외모 지상주의 - seoyang oemo jisangjuui

강아지는 미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 사이언스타임즈 김민재

최근 PLOS Biology 저널에 발표된 프랑스 몽펠리에 대학교 (University of Montpellier) 연구진의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외모지상주의가 어류의 생태계 보전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음이 드러났다. 미적으로 더 매력적인 종으로 분류된 종은 생태학적 특성과 진화적 역사 측면에서 덜 차별 받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으며, 인간은 아름답지 않다고 생각하는 산호초와 어류 종을 우선적으로 보존하지 않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진들이 ‘아름다운’ 물고기와 ‘못생긴’ 물고기의 순위를 매긴 방법

과학자들은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서 13,000명의 일반 대중에게 480개 이상의 물고기들(ray-finned reef fishes, Actinopterygii: 조기아강, 현생 어류의 대부분은 이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의 사진에 대해서 미적 매력도를 평가하도록 요청했다. 위 결과를 기반으로 콘볼루션 신경망으로 알려진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을 훈련하여 유사한 방식으로 더 많은 이미지에 응답하도록 연구를 진행했다. 인공 지능은 일반적인 산호초 어류 2,417종을 비롯한 추가적으로 4,400장의 사진에 대해서도 미적 매력도 평가(aesthetic attractiveness)를 수행했다.

멸종위기에 처한 어류 종이 미적 매력도가 낮았다

연구진들은 대중의 평가와 인공 지능의 예측을 결합하여 최종 결과를 도출하여 둥근 몸체를 가지며 밝고 다채로운 색상의 물고기 종들이 아름답다고 평가되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했다.

서양 외모 지상주의 - seoyang oemo jisangjuui

만다린피쉬(mandarinfish: Synchiropus splendidus)는 미적 매력도가 높은 산호초 어종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 Rick D. Stuart Smith

과학자들은 이 흥미로운 결과와 함께 새로운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진은 대중이 못생겼다고 평가하는 물고기나 어류들의 생태계 보전 상태에 관해서 조사했는데,  소위 레드리스트(Red List)에 오른 멸종 위기에 처한 어류 종이나 아직 보존 상태가 연구되지 않은 어류 종들이 멸종에 대해서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least concern”으로 분류되는 어류 종) 어류 종보다 평균적으로 미적 매력도가 낮았음을 발견했다. 참고로 레드리스트에 오른 어류 종들은 국제자연보전연맹(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에서 관리하고 있다. 이는 덜 매력적인 어류종은 멸종에 대한 보전 정도가 취약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서양 외모 지상주의 - seoyang oemo jisangjuui

둥근 몸체를 가지며 밝고 다채로운 색상의 물고기 종들이 미적 매력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imageBROKER

인간이 ‘아름답다’고 느끼는 것

이번 연구를 이끈 생태학자 니콜라스 모케 박사(Dr. Nicolas Mouquet)는 신경 미학 연구에 따르면 특정 이미지가 다른 이미지보다 더 아름답다고 판단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면 피사체의 시각적 특징이 더 눈에 띌 때 미적 즐거움을 유발할 수 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는 우리가 물고기를 보거나 관찰할 때 모양, 색상에 대한 선호도가 뇌에 미치는 방식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한다.

서양 외모 지상주의 - seoyang oemo jisangjuui

둥근 몸체를 가지며 밝고 다채로운 색상의 물고기 종들이 미적 매력도가 높은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imageBROKER

서양 외모 지상주의 - seoyang oemo jisangjuui

블루피시(Pomatomus saltatrix)는 미적 매력도가 낮은 어류 종으로 평가되었다. ⓒ Frank W Lane/FLPA/IMAGO

미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는 어류 종들 역시 인간의 편견으로 부터 발생되는 현상이다. 모케 박사는 멸종에 대해서 보전이 시급한 어류종과 대중의 미적 평가가 엇갈림을 강조하며 이에 관한 정책 입안자들 및 동물 보호 단체와 더 많은 의사소통을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통해서 인간의 인식이 편향되었음을 밝히며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모색하길 희망한다고 설명했다.


외국 환상 있는 사람들
무슨 외국은 외모에 관한 이야기 하는거 자체가
무례하다고 생각해서 외국은 외모지상주의 안 심하다고 그러는데 솔직히 외국이 외모지상주의 더 심하면 심하지ㅋㅋ
차라리 우리나라는 속으로 혼자 생각하거나
외모 이야기 해도 상처 안 주는 식으로 이야기 하고 그냥 걱정되서 이야기 하는 정도면
외국은 외모 가지고 더 머라고 함
친한 사이라면 외모 관련 지적 면전에 다 이야기 한다고 끼리끼리 다니기도하고
근데 뭔 한국이 외모지상주의 유독 심하대 ㅋㅋ
외국은 영화 드라마도 외모 관련 그런 요소도 많고
그리고 외국은 인종차별도 심한데 외모지상주의가 안 심할리가 있음?

모바일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태그신규채널[어떻게생각]

이 게시글을 책갈피 합니다.
내가 쓴 글 보기에서 그룹관리가 가능합니다.

닫기

책갈피 완료!

내가 쓴 글 보기 > 책갈피에서 확인하세요.

반응형

서양 외모 지상주의 - seoyang oemo jisangjuui
Photo by Tuva Mathilde Løland on Unsplash

 

 

2017. 7. 24.

 

얼마전 30살에 미국에서 유학을 하고 있는 한 여성이 쓴 글을 SNS에서 봤다.

 

'나의 잃어버린 세월이 참 아쉽다.
20대 중반까지 나는 나에게 나는 최고다, 나는 할 수 있다, 나는 아름답다 라는 말들을 스스로도 그리고 남들도 해준 적이 없다.
스스로 인식도 못 한 채 나는 늘 타인의 시선에 맞추고 그들이 원하는 인생을 살았었다.
미국에 3년을 있으면서 인권에 대한, 즉 나에 대한 생각을 처음으로 하게 되었고, 
튼튼하고 건강하게 만들어졌어야 할 나의 자아가 너무나 오랫동안 모래위에 지어져 있었음을 깨닫기까지 참 오래가 걸렸다.
책도 영화도 방황도 예술은 커녕 정말 아무것도 없이 보낸 시간들이 너무 아까워
뒤늦게 몸을 혹사시킨것이 사실이지만 나 vs 나로 살아가는 요즘이 이제야 조금 많이 행복하다.'

 

 

너무나 공감되는 말이었다.

어린 시절 나의 자존감은 모래위에 쌓은 성과 같아서 연약한 입김에도 무너지기 쉬웠다. 

 

하지만 영국에 와서 사람들이 각자의 매력으로 당당히 살아가는 모습을 보며, 

그리고 그것을 아름답다고 하는 이 사회를 보며, 

낮은 자존감을 심어준 한국 사회속에서 자란 나의 어린 시절이 너무나 불쌍하고 가여웠다.

 

 

한국에서 나는 그냥 그런 애였다.

키도 크고 살집도 있었기에 어딜가든 눈에 띄는 등치가 큰 여자애였다. 

이쁘지 않았고 그래서 성격이라도 좋아야만 하는 그런 아이였다.

 

 

주위 사람들은 항상 너는 살만 빼면, 눈만 고치면 진짜 괜찮아 질 것 같다 등등 항상 나의 외모에 조건을 달았다. 

그리고 바보 같던 나는 그게 나쁜지도 모르고 웃어 넘겼다. 

웃어 넘기던 그런 외모 지적들은 나도 모르는 사이에 외모 컴플렉스를 만들어 나를 괴롭혔다.

 

 

그래서 나는 나의 부족한 외모를 위해서는 당연히 성형을 해야한다고 생각하는 어린 시절을 보냈고

그리고 23살에 평생을 모은 돈을 털어서 성형을 했다.

성형만 하면 연예인처럼 되는 줄 알았던 순진한 나.

 

하지만 오히려 나같지 않은 내 모습에 극심한 우울증과 대인기피증까지 생겼었다.

 

 

 

그러던 중 나는 23살 처음으로 해외로 나가는 비행기를 탔고, 25살 영국에 왔다.

그리고 이제야 서양 문화권을 접하면서 이들이 말하는 '나다움'에 대한 진정한 의미를 이제야 좀 알것 같은 기분이다.

 

 

사실 사람 사는 곳은 똑같기에 영국에서도 잘생기고 이쁜 사람들이 대접을 받고, 못 생긴 사람들이 인기가 없다.

하지만 대놓고 그것을 티내는 사람은 없다. 한국처럼 그것을 지적하는 사람은 더더욱이 없다.

 

 

한국에서는 피부가 하얗고 얼굴이 작고 눈이 크고 코가 오똑하면 아름답다고 하는 것이 전형적이다.

하지만 영국은 워낙에 다민족 사회라 소위 말하는 전형적인 미의 기준이 없다.

 

백인, 흑인, 아시아인, 혼혈 등등 전세계에서 온 여러 나라 사람들이 같이 사는 공간이다 보니

전형적인 미의 기준을 뽑을 수가 없다. 

 

그냥 이쁘면 이쁜거다. 그런데 그 이쁘다의 기준은 '매력적이다'라는 말로 통용된다. 

 

 

영국 드라마 Miranda라는 드라마가 있다. 키도 크고 소위 못생긴 노처녀의 이야기인데, 

극 중에서 엄마가 miranda의 어린 시절을 회상하면서,

애기때 Miranda가 얼마나 못생겼었는지 모르겠었다고 푸념을 하는 씬이 있다.

 

이 포인트가 웃기는 포인트여서 나는 웃고 있었는데, 드라마 속 관중들은 오히려 가녀린 야유의 목소리를 내뿜었다.

순간 못생겼다고 하는게 뭐가 웃기다고 나는 웃고 있었지라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한국에서는 어느 순간부터 외모 비하가 유머의 한 축이 되어가고 있는 것 같다. 

못생긴 사람을 하나 앉혀놓고 마녀사냥처럼 그 사람이 못생겼다고 비웃는 것이, 언제부턴가 유머가 되어가고 있다. 

얼마나 저질스러운 일인지조차 모를 정도로 우리 사회가 무뎌지고 있다는게 더 끔찍하다

 

 

 

얼마전 한국 친구들과 외국 친구들과 같이 있는 자리에서, 친한 한국인 오빠가 나를 놀리겠다고 외모 지적질을 해댔다. 

내가 등치가 크고 늙어보인다는 것이었는데

사실 그 사람들도 누구를 지적할만큼 대단한 외모의 소유자는 아니였기에 그냥 한 귀로 넘겼다

 

 

그런데 그 친구가 외국인 친구에게 동의를 얻고자

She is a little bit big compared to other Asian girls, isn't she?라고 물었고, 

농담을 받은 친구들 얼굴이 굳더니 너 정말 그렇게 생각해서 그런 말을 하는 거야?라고 되받아 쳤다.

순간 그 녀석들은 벙졌고, 바보같이 웃던 나도 머리를 맞은 듯한 기분이었다.

 

 

그리고 한참을 있다가 집에 가는 길에 문득 그 친구가 넌지시 나에게

'한국 사람들이 외모로 사람들을 깍아 내리는 모습을 보는 건 정말 싫어.

내가 보기에는 한국 사람들은 피부도 좋고 옷도 잘 입고, 다들 멋지고 이쁜데 

항상 그들은 외모로 서로가 서로를 깍아 내려. 나는 이해할 수가 없어.'라고 말했다

 

맞는 말이었다. 우리는 항상 그렇게 딱딱한 잣대를 들이대며, 사람들을 기준에 맞춰 정렬하기 바빴다.

 

 

 

얼마전 누군가 그랬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가장 큰 단점은 바로 '자존감 도둑질'이라고.

다양함을 인정 못하는 사회. 자기가 최고여야만 하는 강박감. 하지만 현실 속에서 느껴지는 열등감.

그리고 그 스트레스를 타인에게 분출하는 이 부정적인 싸이클 속에서 서로가 헐뜯으며 살기 바쁜 것 같다.

 

언제쯤 우리는 이런 악순환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을까

 

 

 

반응형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삶의 순간마다

  • 카카오스토리
  • 트위터
  • 페이스북

'일상의 기록 > 생각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첫 우울증 일기 이후 그리고 첫 출근  (0)2021.03.14병원 안가고 버티기를 1년 - 그리고 우울증 약물치료 1달째의 지금  (0)2021.03.14화려해보이지만 그래서 더 고독한 해외근무 (feat. 눈물의 출근길)  (0)2021.03.14티스토리 블로그 시작  (0)2021.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