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에 길래 grammar - gie gillae grammar

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 연결어미 ‘-기에’와 ‘-길래’에 대한 통사적 특성과 의미 차이를 밝히고 기존의 한국어 교재에서 소홀히 다루어져 온 ‘-기에’를 하나의 독립된 교육 문법 항목으로서 제시할 것을 제안하고자 하는 데 있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문법 교육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문법 항목을 고려해 볼 때 실제 언어생활에서 사용빈도가 낮은 표현들은 사용 문법의 범주에서 교육하기보다 이해 문법의 범주에서 다루는 것이 타당하다는 입장으로 그동안 ‘-기에’를 교육 문법 항목에서 제외시켜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유 표현에 대한 실제 사용 빈도를 종합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한 연구가 아직은 부족하고 또 격식적인 상황과 비격식적인 상황에서 사용되어야 하는 표현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실제적인 언어 교육이 되려면 ‘-길래’와 ‘-기에’ 역시 사용 환경에 따라 달리 교육되어야 한다고 여겨진다. 그리고 본고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바도 이러한 이유에서 출발하였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기에" and "-길래" that were the connective endings in Korean and to suggest that "-기에" neglected in the existing Korean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an independent grammar item. It's true that "-기에" has been excluded from the items of educat -ion grammar based on the argument that such expressions as have a low frequency of usage in actual verbal life should be treated as part of comprehension grammar rather than usage grammar consi -dering the grammar items to be covered in grammar education for foreigners. But the study maintains that "-기에" and "-길래" should be taugh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s of utilization for the sake of practical language education since there is a shortage of research to comprehensively examine and analyze the actual fre -quency of usage among the expressions of reason and the kind of expressions vary between formal situations and informal ones. The suggestion made in the study started with that reason.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기에" and "-길래" that were the connective endings in Korean and to suggest that "-기에" neglected in the existing Korean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an independent grammar item. It's true that "-기에" has been excluded from the items of educat -ion grammar based on the argument that such expressions as have a low frequency of usage in actual verbal life should be treated as part of comprehension grammar rather than usage grammar consi -dering the grammar items to be covered in grammar education for foreigners. But the study maintains that "-기에" and "-길래" should be taugh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s of utilization for the sake of practical language education since there is a shortage of research to comprehensively examine and analyze the actual fre -quency of usage among the expressions of reason and the kind of expressions vary between formal situations and informal ones. The suggestion made in the study started with that reason.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connective endings, expressions of reason, selection of grammar items

피인용 횟수

  • KCI 10회

  • 318 회 열람
  • KCI 원문 미리보기
  • 원문 찾아보기
  • 논문 인용하기
  • 서지정보 내보내기

    • txt
    • RefWorks
    • Endnote
    • XML

  • 현재 페이지 인쇄

인용현황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길래’에 대한 질문

작성자 이향미 등록일 2014. 10. 24. 조회수 1,375

궁금한 점이 있어서 문의 드립니다.

1) 일찍 일어나야 하는지 몰라서 깨우지 않았어요.
2) 일찍 일어나야 하는지 몰랐길래 깨우지 않았어요.

3) 어젯밤에 못 자서 낮잠을 잤어요.
4) 어젯밤에 못 잤길래 낮잠을 잤어요.

저는 위의 2번과 4번이 어색하게 느껴지는데 사전을 찾거나 질의 응답을 찾아봐도 문법에 어긋나는 부분이 없는 것 같아서요.
둘 다 맞는 건가요? 아니면 아래 제시된 제약 외에 다른 제약이 없나요.
혹시 앞 문장의 주어가 화자일 경우에는 '-길래'를 사용할 수 없다는 제약같은 것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기에’와 ‘-아서’의 비교 (출처: 어미ㆍ조사 사전(2008, 이희자ㆍ이종희))
1. ‘-기에’는 ‘-았-/-겠-’의 뒤에 쓰일 수 있으나, ‘-아서’는 쓰일 수 없다.
예: 진수가 거짓말을 했기에 화를 냈다. (O)
진수가 거짓말을 했어서(X)/해서(O) 화를 냈다.
2. ‘-기에’는 주로 뒤에 오는 동작 동사를 하게 된 이유를 나타내고, ‘-아서’는 뒷절의 상태에 대한 원인을 나타낸다. ‘-기에’는 뒷절에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와 쓰이지 않는다.
예: 눈이 와서 길이 미끄러워요. (O)
눈이 왔기에 길이 미끄러워요. (X)

[답변]-길래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14. 10. 27.

안녕하십니까?

1. ‘-길래’는 ‘원인이나 근거를 나타내는 연결 어미’인 ‘-기에’를 구어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나는 배가 고프길래 라면을 끓여 먹었다./무슨 일이길래 이렇게 시끄러워.’와 같이 씁니다. 앞의 예처럼 주어가 ‘나’일 경우에도 ‘-길래’를 쓸 수 있습니다.

2. ‘-기에’는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습니다. ‘반가운 손님이 오셨기에 버선발로 달려 나갔다./서방님을 꼭 뵈어야겠기에 소승이 본댁으로 찾아가서 서울의 거처하시는 곳을 물었지요.’와 같이 씁니다.

‘-길래’는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뒤에 붙습니다.

따라서 질의하신 문장 2번과 4번 모두 문법적으로 문제가 없습니다.

3. ‘-아서’는 ‘시간적 선후 관계’, ‘이유나 근거’, ‘수단이나 방법’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로,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인 어간에 붙습니다. ‘고기를 잡아서 구워 먹다/눈이 와서 길이 미끄럽다/물고기를 직접 잡아서 먹었다’와 같이 씁니다.

질의하신 예문 ‘눈이 와서 길이 미끄러워요.’의 경우, ‘-아서’가 ‘이유나 근거’를 나타내는 연결 어미로 쓰였습니다. ‘-길래’와 ‘-기에’도 ‘원인이나 근거’를 나타내는 연결 어미이긴 하나 말씀하신 것처럼 일반적으로 ‘-길래’와 ‘-기에’ 뒤에는 동작이 나옵니다. 이 때문에 ‘눈이 왔길래/왔기에 길이 미끄러워요.’라는 문장이 부자연스러운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우리말 문법론”과 같은 문법 관련 서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