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트 무의식 꿈 - peuloiteu muuisig kkum

철학자 프로이트하면 떠오르는 단어는 "무의식"이다. 무의식이란 자신의 행위에 대하여 자각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지각과 기억이 전혀 작동되지 않는 상태이다. 프로이트는 인간을 분석할 때, 무의식에 많은 관심을 가졌다. 무의식이, 인간이 자각하지 못한채 하는 모든 행동들이 인간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다 믿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면 프로이트는 왜 하필 꿈을 무의식의 관찰 대상으로 하였을까?그에 대한 답을 내려보자면 아마 잠을 자는 동안은 인간이 자각행동읋 하지 못한다는 판단에서 비롯된 것일 것이다. 프로이트에게 꿈이란 인간의 무의식적 행동과 사고를 잘 나태내어줄 좋은 예였던 것이다.

프로이트는 정신분석학, 정신역동이론을 주장했던 신경병리학자이다. 그는 정신병환자들의 방어기제를 자유연상기법과 같이 무의식의 영역으로 치료할 수 있다 믿었다.그러던 와중 히스테리 환자들이 자유연상 과정에서 꿈에서 있었던 이야기에 대해 집착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꿈 속에 환자들의 심리학적 병인을 찾을 수 있었다. 환자들을 이해할 수 있는 심리 통로로 꿈이 작용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는 것이다. 프로이트는 꿈을 분석하기 위해 그 꿈의 구체적인 이야기, 연상, 말이 포함된 "꿈-내용"과 그에 대한 해석인 "꿈-사고"를 구별한다. 외현적인 꿈의 내용을 가지고 꿈을 해석하는 과정은 "꿈-작업"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꿈 작업은 각성된 정상적인 사고와는 다르다. 그렇기에 인간 심리를 여지 없이 보여준다고 해도 과언이아니다. 마음속에 잠재하고 있던 고민/소망과 같은 것들이 꿈에 무의식적으로 나오는 것이다.(꿈에서 사고하는 것이 무의식이냐 할 순 있지만 정상적 자각과는 사뭇다르기에 무의식이라고 하자.)  프로이트는 꿈이 우리가 그동안 무의식을 억압하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주장한다. 꿈에서는 우리가 갈망했던 세계, 억압된 욕망의 세계, 돌아가고자하는 것을 표상하는 세계와 같이 우리가 잊고 혹은 무시하고 살았던 소망과 관련된 세계들이 떠오르기 때문이다.

꿈에 대한 프로이트의 대략적인 생각을 파악했다면 프로이트의 생각이 어떤 사화학적 의미를 가질까? 프로이트는 인간의 정신병인을 어디서 찾을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하는 학자였고 인간의 심리적 병인을 찾기위해서는 무의식만한 것이 없다고 생각했다. 실제로 최면법이나 자유연상기법과 같은 경우는 현재까지도 불면증환자나 트라우마를 겪는 심리병 환자들에겐 효과적이라고 한다. 하지만 프로이트의 주장은 많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가령 꿈 해석의 객관성을 어떻게 증명하고 믿을 수 있을것인가라는 의문을 낳기도 한다. 꿈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주관성이 개입하지 않을 여지는 없다. 또한 객관적이라면 유사한 병인을 앓던 사람들은 같은 요법으로 치료하면 똑같은 치료효과를 보여야하는데 그렇지 않은 사례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물론 꿈-내용 자체도 꿈을 꾼 사람의 매우 주관적인 내용들로 꽉 찼다. 프로이트가 과학이라 주장하는 꿈에 대한 연구는 실제로 과학보다는 해몽학에 더 가까울지 모른다. 그리고 정신분석학이란 본디 목적이 신경질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인데, 이를 보편화하여 현대인의 무의식을 분석할 수 있을지가 의문이다. 신경질환자의 꿈에 대한 집착과 그 꿈에 대한 해석방식이 과연 현대인의 무의식을 분석할 수 있을까? 꿈에 대한 집착의 정도가 다를 뿐만아니라 꿈의 내용과 꿈 해석에서 확연한 차이가 보여질 것이다. 꿈이 신경질환자보다 훨씬 더 의식적인 방향일 수도 있을 것이다.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이라는 책을 읽으면서 든 생각은 프로이트의 심리병에 대한 과학적 접근과 무의식에서 병인을 찾고자한 노력은 현대사회의 심리치료법과 정신병에 대한 연구에 상당한 진전을 가져다 주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프로이트의 이론은 그 자체로 많은 의문을 제기하고 있으며 또 보편인류의 행동과 심리에 대해서는 적용하기 힘든 점이 많다는 것을 한계로 가지고 있다.  

프로이트 무의식 꿈 - peuloiteu muuisig kkum

꿈의 해석》(독일어: Die Traumdeutung)은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쓰고 1899년 11월, 라이프치히와 빈에서 동시에 출간(출간일은 1900년)한 정신분석학 저서이다.[1]

                                                                       채채린       == 작품 소개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대변하는 가장 대표적인 책이다. 꿈은 우리들이 정상적인 일상생활에서 충족시키지 못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일어나는 것이다. 프로이트는 다양한 꿈의 사례들을 명징한 언어로 분석함으로써 어두운 수면 아래에 잠겨 있던 무의식의 세계를 수면 위로 끌어올리는 혁명적인 역할을 했다.

우선 꿈은 의식되지 않은 것(또는 심층 의식)의 욕구 충족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꿈의 작용 방식은 의식되지 않는 것이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체계적 암시를 보여준다. 프로이트에 의하면 인간의 정신 과정(영혼 과정)은 의식되지 않은 것, 의식되기 이전의 것, 의식된 것 등 세 가지 동적 요소들에 의해서 구성된다. 정신 과정을 엄청나게 큰 빙하 덩어리에 비교할 경우, 물속에 잠긴 가장 큰 부분은 의식되지 않은 것에, 물 위로 나올 듯 말 듯한 중간 부분은 의식되기 이전의 것에, 그리고 물 위에 나와 있는 극히 작은 부분은 의식된 것에 해당한다.

이 책에 등장하는 중요한 주제들은 대강 다음과 같다. 꿈의 욕구 충족 성격, 꿈의 몽환적 성격, 몽환과 꿈에서 마음(정신)의 퇴행 기능, 수면과 운동마비, 꿈에서 전위의 메커니즘, 꿈의 메커니즘과 신경증의 메커니즘 사이의 유사성. 프로이트는 자신의 정신분석학을 확립하기 위해서 이 책과 ≪정신분석학 입문 강의≫ 등에서 정신 과정, 충동적 힘, 에너지 등의 개념을 사용하고, 게다가 쾌락 원리, 현실 원리 등의 개념을 사용하기 때문에 우리들은 그의 정신분석학이 관념론적 색채를 띤다고 착각하기 쉽다. 그러나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어디까지나 신경생리학과 신경해부학을 기본으로 삼고 있는 유물론적 자연과학이다.

꿈의 해석 결과 포로는 두 종류의 섹스(성관계)을 제시한다. 하나는 의식적 영혼이고 이것은 의식적인 모든 생각과 기억을 포함한다. 또 하나는 무의식적 영혼으로서 성적이고 파괴적이며 충동과 욕구를 함께 가지고 있다. 정상인은 두 정신을 조화시키는 인간이지만, 신경증 환자는 두 정신 간의ㅣㅣ 조화를 상실하고 정신이 병든 인간이다. 꿈을 해석함으로써 프로이트는 성적이며 무의식적인 쾌락의 원리와 의식적인 현실의 원리를 제시한다. 이들 두 원리는 앞의 두 가지 정신에 대응한다. 프로이트는 이 책에서 꿈의 왜곡, 꿈의 재료와 원천, 꿈 작업(농축 작업, 전위 작업, 표현 작업 등), 꿈과 정서, 꿈의 망각, 꿈의 각성, 꿈과 욕구 충족 등을 밝힘으로써 꿈과 실수와 신경증의 유사성을 밝히려고 하고, 특히 꿈과 신경증의 유사성을 밝힘으로써 정신분석학에 의해서 신경증 및 정신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길을 찾으려고 했다.

프로이트가 이 책을 자신의 가장 중요한 성과로 꼽은 것은 올바른 평가다. 인간 본성에 관한 프로이트 이론의 네 구성요소, 즉 무의식, 억압, 유아성욕, 정신삼분법이 『꿈의 해석』에서 처음 통합적인 모습을 드러냈기 때문이다.[2]

서지 정보[편집]

  • 강영계 역, 2009년, 지식을만드는지식 ISBN 978-89-6228-319-8

각주[편집]

  1. 피터 왓슨, 《생각의 역사2》(들녘, 2009) 28쪽 ISBN 978-89-7527-835-8"문제의 책은 전해(1899년) 11월 라이프치히와 토트넘 빈에서 동시에 출간됐다. 그러나 초판 발행일이 1900년으로 되어 있고... "
  2. 피터 왓슨, 《생각의 역사2》(들녘, 2009) 31쪽 ISBN 978-89-7527-835-8"프로이트가 『꿈의 해석』을 자신의 가장 중요한 성과로 꼽은 것은 올바른 평가다. 인간 본성에 관한 프로이트 이론의 네 구성요소, 즉 무의식, 억압, 유아성욕, 정신삼분법(정신은 자아의식에 해당하는 에고ego, 포괄적 의미의 의식에 해당하는 초자아superego, 무의식의 생물학적 표현인 이드id의 세 가지로 구성돼 있다고 본다.)이 『꿈의 해석』에서 처음 통합적인 모습을 드러냈기 때문이다. "

프로이트 무의식 꿈 - peuloiteu muuisig kkum

정신분석학 이론은 지동설, 진화론과 함께 ‘인간의 자존심에 상처를 준 이론’으로 불린다.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이 만물의 영장인 인간을 우주의 중심에서 끌어내렸다면, 찰스 다윈의 진화론은 인간을 신이 창조한 신성한 피조물에서 ‘그저 그런 동물’로 추락시켰다는 것이다.

“본능에 좌우되기 쉬운 무의식이 인간 행동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지그문트 프로이트(1856~1939)의 정신분석학 핵심 이론은 ‘인간 정신은 이성의 산물’이라는 18~19세기 서구 철학의 가설을 무너뜨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성적인 존재로 믿어져 왔던 인간이 ‘수많은 욕망과 본능에 흔들리는 존재’로 전락한 것이다.

"욕망과 성(性)충동이 인간 행동 동기"

정신분석학의 본격적인 태동을 알린 것은 오스트리아 정신신경과 의사 프로이트가 1899년 11월 출간한 《꿈의 해석》이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인간 정신은 이드(id), 에고(ego), 슈퍼에고(superego)로 구성돼 있다.

프로이트 무의식 꿈 - peuloiteu muuisig kkum

‘원자아(原自我)’라고도 불리는 이드는 충동과 본능의 근원이다. 생명과 삶을 자극하는 성(性) 에너지 리비도(libido)의 저장고 역할도 한다. 에고(자아)는 ‘현실의 대변자’다. 인간이 충동과 본능에 빠져 곤경에 처하지 않도록 이드를 조절한다. 슈퍼에고(초자아)는 이드와 에고를 통제하는 ‘도덕의 감시자’다.

“에고는 내부적으로 이드와 슈퍼에고, 그리고 외부적으로 주변 사람들의 반응이라는 세 명의 까다로운 주인을 섬기는 집사와 같다. 이 변덕스런 주인들은 너무나도 자주 충돌한다. 우리가 인생살이를 어렵다고 생각하는 것도 이런 이유다.”

프로이트는 이드, 에고, 슈퍼에고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인간 정신을 다시 세 단계로 나눴다. 의식(意識)과 전의식(前意識), 무의식(無意識)이다. 현재 자각하고 생각하는 것이 의식이다. 전의식은 의식과 무의식을 연결하는 것으로, 흔히 ‘기억’으로 설명된다. 무의식은 인간 내면에 깊게 잠재된 세계다.

“빙산을 떠올리면 쉽게 이해된다. 의식은 물 위에 떠 있는 부분이어서 그냥 보인다. 전의식은 들여다보면 보이는 물에 얇게 잠긴 부분이다. 무의식은 너무 깊게 잠겨 있어 그냥 들여다보면 절대 보이지 않는다. 빙산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무의식을 볼 수 있어야 빙산의 참모습을 파악할 수 있다.”

프로이트는 꿈이야말로 ‘무의식의 보고(寶庫)’라고 강조했다. 꿈을 제대로 분석하면 인간 행동이 어떤 이유로 일어났는지 알 수 있다고 주장했다. “모든 행동에는 반드시 그것에 합당한 원인과 이유가 있다. 무의식의 발현체인 꿈에는 인간 행동의 단서들이 숨어 있다.”

프로이트는 “무의식은 설사 꿈이라는 형식 속에서도 자신을 무차별적으로 드러내는 것을 꺼린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런 현상을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검열 작용”이라며 이를 ‘방어기제(防禦機制)’라고 정의했다.

“인간에게는 누구에게도 말하고 싶지 않는 욕망들이 있다. 수면 중에는 검열의 간섭이 저하(低下)돼 금지된 욕망들이 꿈틀거린다. 하지만 윤리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온당치 않은 욕망들은 어떤 식으로든 무의식의 검열을 받는다. 그래서 극단적인 반(反)사회적 욕망은 검열을 통과할 수 있는 수준으로 누그러뜨려진다. 이렇게 변형(왜곡)돼 나타나는 게 꿈이다. 꿈뿐만 아니라 현실에서도 이솝우화의 ‘여우와 신포도’ 이야기처럼 자기합리화 등의 방어기제들이 발동된다. 꿈은 억압된 욕망의 위장된 성취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프로이트가 《꿈의 해석》에서 처음 사용한 용어다. 어린 아들이 아버지를 시기하고, 어머니에게 성적인 감정을 갖는 것을 말한다. 그는 모든 인간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같은 성적인 정념(情念: 강하게 집착해 생겨난 생각)의 지배를 받는다고 주장했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긍정적으로 보면 역사 발전의 원동력이다. ‘아들(인류의 미래)’이 ‘아버지(인류의 현재)’를 넘어서지 못하면 인류 발전은 정체하거나 퇴보한다.”

"꿈의 왜곡은 무의식의 검열 때문"

프로이트는 꿈의 예지력을 부정했다. 꿈은 이전의 생각과 경험, 행동이 응축된 ‘과거의 거울’일 뿐이라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꿈과 관련된 여러 가지 얘기가 전해오고 있지만, 특정인을 미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경우가 대부분이다.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었던 일이 믿기 때문에 실제 일어나는 ‘자기실현적 예언’에 불과한 경우도 많다. ‘큰 인물이 된다’는 태몽을 전해 들은 사람은 주변의 각별한 관심과 지원, 본인의 자기 암시 덕분에 다른 사람들보다 성공할 가능성이 높을 뿐이다.”

프로이트는 인간을 성욕과 과거의 경험에 지배되는 수동적인 존재로 파악했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비판을 받았다. 그가 제시했던 꿈 분석 사례들이 자기 경험에서 비롯된 것이어서 자의적이라는 지적도 있다. 하지만 그가 처음으로 무의식이라는 정신세계를 개념화한 것은 ‘무의식의 발견’이라고 비유될 정도로 ‘역사적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그가 개척한 정신분석학이 심리학, 사회학, 문학 등 현대 사상과 학문 발전에 큰 자극제가 됐기 때문이다.

김태철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