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ior Director 직급 - Senior Director jiggeub

Skip to content

벌써 오래전 일이다. 미국 대기업에 다니던 때였는데 나는 미국 본사 소속으로 한국일은 관여하지 않던 시절이였다. 여름에 가족과 한국에 방문한 틈을 타서 한국 지사에서 근무하시는 어떤분을 찾아 뵙기로 했다. 이전에 미국에서 한번 뵙고 인사한적이 있는 분으로, 그 분과 직접 같이 하는 일은 없었지만, 큰 범위에서 같은 조직이고 한국 분이시고 하니 그저 한국에 간김에 찾아뵙고 점심을 같이 하게 되었다.  나보다 연배는 아마 적어도 6-7년 정도는 더 높은 분이고, 영문 타이틀은 Senior Director 였다. 한국 대기업에선 부장쯤 된다고 보면 된다. 시간에 맞춰 그분 오피스를 갔는데, 현관에서 나를 맞아준 직원이 그분한데 가서 “전무님, 손님 오셨는데요” 그러는거다. 겉으로 내색은 안했지만, 나는 순간 속으로는 ‘전무? 이 아저씨가?’ 하는 생각이 강하게 스쳤다. 나는 대기업 전무라는 타이틀은 중견급 간부라고 생각하고 있었고, 그 분이 정확히 어떤 레벨에 있는 분인지 아주 잘 알고 있던 터라 좀 황당했던 기억이 생생하다.

미국 본사에서는 한국 지사에서 한국말 직함을 뭐라고 부르던 거의 신경을 안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어차피 직함이라는게 딱 맞게 번역하기도 어렵기도 해서 그런지 보통 현지 직원들이 알아서 하게 놔두는 것 같다. 그리고 대부분의 경우 한국 지사는 미국에서 보기에 작은 조직이므로, 본사에서 현지 언어의 직급/직함까지 꼼꼼하게 챙기기 어려운 면도 있다. 그런데 안타깝께도 이런 틈을 타서 위와 같은 직급 뻥튀기가 너무 비일비재 한 것 또한 현실이다. 미국 본사 기준으로 ‘Senior Manager’ 급이, 한국 명함으론 ‘상무’로 둔갑하는 경우도 허다하니, 양쪽 문화를 알고 있는 내가 보기엔 좀 어이가 없다.

먼저 미국 회사 직급 체계를 한번 살펴보자. 물론 회사마다 다르므로 일반화의 오류가 많겠지만, 내가 경험하고 본 것을 토대로 보면 아래와 같다.

  • CEO – 대표이사 혹은 사장
  • Executive Vice President 혹은 Senior Vice President – CEO에 바로 리포트 하는 자리로 보통 회사의 큰 조직 하나씩 맡고 있다. 부사장 혹은 전무쯤으로 생각하면 된다. CFO 같이 C로 시작하는 자리도 보통 이급에 속한다. 본인의 실력도 실력이지만, 이정도 레벨이면 리더쉽, 소프트스킬, 인맥, 정치적 능력이 다 수준급인 사람이 대부분이다.
  • Vice President – 보통 EVP나 SVP에 리포트 하며 보통 중규모 조직을 관할한다. 상무쯤으로 이해해도 되고, 이레벨 부터 임원 (executive)이라고 불러도 큰 무리는 없다. 특정 프로덕트 라인에 P&L 책임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General Manager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세일즈로 보면 아태지역 총괄하는 사람 정도가 될 수 있다. 내부적인 웬만한 결정은 할 수 있지만, 외부와 맺는 협약같은 결정은 역시 위로 올려야 하는 경우가 많다.
  • Senior Director 혹은 Director – 보통 VP에게 리포트 하며 ‘팀’이라 불릴수 있는 소규모 조직을 맡거나 경우에 따라 조직 없이 혼자인 경우도 있다. 이사나 부장쯤이라고 보면 대충 맞다. 중간레벨 관리자로서 아래 사람도 챙겨야 하고, 밖에 나가서 뛰기도 해야하며, 승진을 바란다면 윗선도 챙겨야 한다. 보통 큰 정치적 능력 없어도 이정도 레벨까지는 꾸준한 노력이면 가능하다.
  • Senior Manager 혹은 Manager – 한국에서 차장, 과장쯤이 이에 해당하지 않나 싶다. 예외적으로 VP레벨에 리포트할수도 있지만, 보통 Director가 관할하는 팀에 소속된다. 팀 내에서는 실무에 대한 경험이 많은 편이므로 신입 사원이나 경력이 몇년 안된 직원들 업무를 교육하거나 도와주는 ‘사수’가 되어 주기도 하지만, 인사적인 책임은 보통 없다. 즉 people manager가 아닌 individual contributor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 Staff, Engineer, 혹은 Analyst 등 – 대학 갓 졸업한 신입 사원이나, 경력이 몇년 안된 사원으로 junior 레벨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지만 위에서 나열한 계층은 회사의 규모나 문화에 따라 많이 다르다. 대기업의 경우 CEO에서 맨 아래까지 7레벨은 쉽게 된다고 봐도 좋다. 스타트업은 당연히 레벨 수가 적다 (보통 3레벨 정도).

미국 회사에서 온 누군가의 명함만을 보고 어떤 레벨인지 가늠하기 힘들다면 위의 리스트를 참고해도 괜찮을 것이다. 그래도 애매하다면 당사자에게 ‘당신은 누구에게 리포트 하십니까?’ 라고 물어보는 것도 그렇게 큰 실례는 아니다. 그 사람 보스의 타이틀을 보고 대충 상대방이 어떤 직급인지 쉽게 가늠할 수 있다. (단, CEO에게 ‘당신은 누구에게 리포트 하냐?’고 물어보면 이상한 눈으로 바라볼 수 있으니 조심하시길 ^^)

혹자는 이런 주장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한국 오피스의 우두머리가 본사에서는 Director 레벨이라고 할때, 지사의 우두머리는 ‘사장’이라 부르니 그 밑의 매니저 급은 ‘전무’ 혹은 ‘상무’가 되는게 당연한것 아니냐고. 뭐 일리가 있는 말이긴 한데, 경우에 따라서 좀 다르다고 생각한다. 야후 재팬을 예로 들어보자. 내 기억에 야후 재팬은 아마 야후와 일본의 소프트뱅크가 합작으로 만든 것이고, 거의 독립적으로 운영된다고 들었다. 이런 경우 “야후 재팬”이라는 조직내에서 사장, 전무, 상무로 쭉 직급이 나가는건 별 문제 없는 것 같다. 야후 본사가 아닌 야후 재팬이니 말이다. 그런데 한국에 진출한 대부분의 미국 회사는 그냥 한국에 세일즈/마케팅 오피스가 있는 것이다. 물론 법/세금 문제등으로 한국 법인은 만들었겠지만, 그렇다고 이게 독립적인 개체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많다. 직원 10명을 둔 세일즈 오피스가 있는 것과, 진정한 의미의 “지사”가 있는 것이랑은 좀 차이가 있지 않나 싶다. 10명짜리 세일즈 오피스만 관리하고 있으면 ‘사장’이고 그 아래서 일하는 평직원에 가까운 이들이 ‘전무’ 혹은 ‘상무’ 타이틀을 달고 다니는걸 보게 되면 실소가 나오기도 한다. 물론 본인 의지와 상관없이 그런 관습을 따르게 된 사람도 많겠지만, 보통 있어보이는 타이틀을 마다하는 사람은 없으니 이런 웃지 못할 일이 계속 이어지게 되는것 같다.

Founding Partner at Big Basin Capital View all posts by Phil Yoon

Post navigation

영문직급 정리

  • 19,432
  • 1
  • 4

Senior Director 직급 - Senior Director jiggeub

명함 만들 때 흠.. 이게 뭐더라? 싶을 때가 있으시죠?

뭐 내거야 알고 있지만 남들것까지 신경쓰지는 않으니까요!!

아래 내용 한번 청리해보고 넘어갑니다~

직위   영문직급
실장 General Manager, Section Chief
부장 Department Manager, Director, General Manager
차장 Deputy General Manager, Assistant Director
과장 Manager
대리 Assistant Manager
계장 Chief, Senior Staff
주임 Assistant Manager
사원 Staff
비서 Secretary

가장 많이 쓰이는 일반 직급들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아래는 그럼 임원들의 직급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직위  영문직급
회장 Chairman
부회장 Vice Chairman
사장 President
지사장 Branch Office President
부사장 Executive Vice President
전무 Senior Managing Director, Executive Director
상무 Managing Director
이사 Director

이정도는 업무할 때 체크해두면 편하겠쬬?

`18.04.30(updated. `19.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