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조작 기술 찬성 근거 - yujeonja jojag gisul chanseong geungeo

인간 배아를 이용한 유전자 조작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지난해 11월 중국 과학자들이 세계 최초로 유전자 조작 아기가 탄생했다고 발표한 지 8개월 만에 세계보건기구(WHO)는 ‘인간 생식세포의 게놈 편집’에 공식적으로 반대 입장을 밝혔다.

2018년 11월 홍콩에서 열린 ‘제2차 인간 게놈 편집에 관한 국제회의(The Second International Summit on Human Genome Editing)’에서 허젠쿠이(Jiankui He) 남방과기대 교수는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술로 HIV 감염 내성을 지닌 쌍둥이 여아 출산에 성공했다”라고 밝혀 세상을 놀라게 했다. 이 발표로 학계에서 윤리적, 과학적 비판이 거세지자 남방과기대는 허젠쿠이 교수를 해임했고, 위법 여부에 대한 중국 경찰의 조사가 진행되었다.

논란이 커지자 지난 3월 세계보건기구(WHO)는 ‘인간 게놈 편집’에 관한 전문가 자문위원회를 개최했다. 당시 회의에서 “인간 생식세포 게놈 편집의 임상적 적용을 진행하는 것은 현재로서는 무책임한 일”이라며 “모든 국가의 규제 당국은 이 분야에 대해 더 이상의 연구를 허용해서는 안 된다”라는 중간 권고안을 채택한 바 있다. 이에 지난달 26일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Tedros Adhanom Ghebreyesus) WHO 사무총장은 자문위원회의 권고안을 수락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번 WHO 성명서는 인간 배아의 유전자 조작 실험에 관한 국제 가이드라인이 될 전망이다. 지금까지 각국의 유전자 조작 실험 규제는 제각각이었다. 미국은 인간 생식세포 계열의 유전자 조작을 실질적으로 금지해왔지만, 러시아에서는 유전성 난청을 방지하기 위해 체외 수정(IVF) 방식의 유전자 조작 연구를 추진 중이다.

WHO는 오는 26일 제네바에서 전문가 자문회의를 다시 개최하여 게놈 편집 배아의 무분별한 연구를 저지하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CRISPR-Cas9 유전자가위 © Soleil Nordic/Shutterstock

유전공학의 혁신,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유전공학에 혁신을 가져온 ‘크리스퍼(CRISPR)’ 유전자가위는 크리스퍼RNA(crRNA)와 절단효소(단백질)를 붙여서 제작한다. 길잡이 역할을 하는 RNA가 DNA 염기서열 중 목표한 위치에 달라붙으면 단백질이 DNA를 잘라낸다.

현재 과학계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유전자가위는 ‘CRISPR-Cas9’으로 Cas9이라는 절단 효소를 사용한다. 최근에는 더욱 정확하게 표적 유전자를 잘라낼 수 있는 Cpf1을 이용한 ‘CRISPR-Cpf1’ 유전자가위 기술이 개발 중이다.

유전자 조작 기술이 계속 발전하면서 ‘맞춤아기(Designer baby)’의 탄생 가능성도 열렸다. 인위적으로 IQ를 높인다던가, 머리색과 눈동자 색을 바꾸는 일도 가능하다. 지금까지 유전자 조작 실험은 주로 유전적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방향으로 진행됐지만, 최근 체외 수정을 통한 연구가 일부 기업에서 추진되고 있다.

© Tadeusz Wejkszo/Shutterstock

WHO의 가이드라인 제시

지난해 12월 WHO는 18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위원회를 설치했다. 자문위원회는 이번 성명 발표를 끌어낸 것뿐만 아니라, 인간 유전자 조작 분야에서 모든 실험과 연구를 파악할 수 있도록 글로벌 등록 제도의 구축을 제안했다.

지금 전 세계에서 인간 체세포의 게놈 편집을 수반하는 임상 연구가 20건 이상 진행 중이다. 난자와 정자 등의 생식세포와는 달리, 골수와 백혈구에 포함된 체세포에는 유전 정보를 다음 세대에 전하는 기능이 없어서 윤리적으로 문제의 소지가 적다

WHO 자문위원회 공동 의장을 맡은 마가렛 햄버그(Margaret Hamburg) 박사는 사이언스 매거진과의 인터뷰에서 “인간 게놈 편집 분야의 연구 등록 시스템은 생식세포 이외에도 미래에는 신체 세포의 임상 연구까지 대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라고 밝히면서 “WHO는 단순히 생식세포 유전자 조작 실험을 방지하는 것이 아니라, ‘광범위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언급했다.

WHO에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것은 의의가 크다.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와 의학 아카데미가 조사한 게놈 편집 관련 보고서에는 “안전성과 효과가 입증되지 않은 유전자 편집은 ‘무책임’한 행동이다”라는 정도로 두리뭉실하게 표현되었다. 유전자 조작 연구의 효용 가치를 어떻게 판단하고, 통제할지는 언급을 회피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연구자들은 의학이 무엇을 요구하고 있는지 마음대로 해석하게 될 여지가 있다.

CRISPR 개발자 중 한 명인 제니퍼 다우도나(Jennifer Doudna) UC 버클리 교수는 그동안 과학계가 너무 안이하게 대처했다고 지적하면서 “이번 WHO 성명서는 현 단계에서 인간 생식세포 계열의 게놈 편집과 임상 연구를 하면 안 된다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앞으로는 윤리적 측면에 대해 몰랐다거나, 기존의 지침에 따라 연구했다고 주장하긴 어려울 것이다”라고 밝혔다.

WHO의 성명서는 아무런 강제 조항이 없는 권고안에 불과하다. 그러나 윤리적으로 민감한 인간 유전자 조작 분야에서 각국 정부와 기업들이 WHO의 권고를 무시하긴 어렵다. 다우도나 교수는 일률적인 금지가 최선이 아니라면서 “미래를 생각하면 논의를 계속하는 것이 중요하다. 금지해도 인간 배아 세포의 게놈 편집에 대한 관심이 식을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최근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 이슈들이 국가적인 중요한 주제로 등장하면서 과학 교육에서는 윤리적이고 도덕적 측면이 포함된 과학기술 쟁점을 과학과 관련된 사회·윤리적 문제(socio-scientific issues; SSI)라 이름붙이고, 이와 같은 SSI의 교육의 도입에 주목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SSI 문제와 관련된 의사결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학...

최근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 이슈들이 국가적인 중요한 주제로 등장하면서 과학 교육에서는 윤리적이고 도덕적 측면이 포함된 과학기술 쟁점을 과학과 관련된 사회·윤리적 문제(socio-scientific issues; SSI)라 이름붙이고, 이와 같은 SSI의 교육의 도입에 주목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SSI 문제와 관련된 의사결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학생들이 SSI 문제에 대해 적절하게 이해하고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것을 과학교육의 주요 목표로 제시하도록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상반된 관점을 논변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상호찬반 토론 모형을 통해 인간의 유전자 조작 기술의 허용과 관련된 논쟁에 대한 입장을 결정할 때 나타나는 중학생들의 의사결정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호찬반 토론을 통해 확인되는 중학생들의 의사결정 근거와 의사결정 변화유형 및 의사결정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그리고 대립적 입장에서의 논증 경험이 갖는 교육적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소재의 남녀 공학 중학교 3학년 3개 학급의 학생 9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업은 4주에 걸쳐 4차시가 투입되어 총 180분에 걸쳐 진행되었다. 인간에 대한 유전자 조작을 허용할 것인가를 주제로 한 SSI 상호찬반 토론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학생들에게 자신의 기존 입장과 대립적인 입장에서 논증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학생들의 내적 인지갈등을 유발하였다. 자료는 수업 중 학생들이 기록한 활동지와 수업 후 진행된 학생들과의 개별 면담을 통해 수집되었다. 활동지에는 토론 전·후의 인간의 유전자 조작 허용에 대한 학생들의 입장의 결정과 자신의 입장을 정당화하는 근거들이 기록되었고, 개별 면담을 통해 학생들의 최종 의사결정의 이유 및 의사결정에 영향을 준 요인 등이 심층적으로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 인간의 유전자 조작 허용을 찬성하는 입장의 근거는 총 6개로 분류되었으며, “장애와 기형아 예방 및 유전병 치료”와 같은 의학적 측면과 “부모가 원하는 아이의 형질 선택권”, “부모의 자식에 대한 걱정”과 같은 부모의 입장, “우수한 유전자 획득” 및 “인재양성으로 사회와 국가발전”, “과학기술의 발전”과 같은 개인적·사회적 이익을 고려한 근거들이 제시되었다. 인간의 유전자 조작 허용을 반대하는 입장의 근거는 총 9개로 찬성 입장의 근거보다 풍부하였으며, 그 종류로는 “인간 존재 그대로의 소중함과 존엄성 훼손”과 “인간의 기계화 및 개인의 몰개성화”, “사람(생명)을 대상으로 하는 기술의 비윤리성”과 같은 인간의 가치 측면을 고려한 근거들과 “유전자 조작 기술 적용에 따른 차별”과 “빈부격차로 인한 유전자 조작 기술의 특권화”와 같은 사회적 문제점 측면, 그리고 “유전자 조작기술의 불안정성 및 부작용”과 “기술의 오용 및 남용”과 같은 유전자 조작 기술의 부정적인 측면, “부모가 자식의 미래를 미리 결정하는 것의 부당성”과 “아이의 의사 및 선택권의 중요성”과 같은 아이의 인생 결정권과 관련된 측면들, 그 외에도 인생의 가치를 고려한 “노력과 성장의 중요성”과 개인적 신념이 반영된 “종교적 신념” 등의 근거가 제시되었다. 상호찬반 토론 후의 의사결정 변화 유형은 입장이 변화한 학생이 25명(33%)로 가장 많았고, 기존 입장을 변함없이 유지한 학생이 24명(32%), 기존 입장이 강화된 학생이 18명(24%)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존 입장이 다소 약화된 학생이 8명(10.7%)로 가장 작았다. 이와 같은 학생들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준 요인은 총 5개로 이는 크게 근거적 측면과 근거외적 측면으로 분류되었으며, 근거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에 영향을 준 요인은 근거의 타당성과 근거의 다양한 관점인식 경험이었다. 근거외적 측면에서 의사결정에 영향을 준 요인은 문제상황에 대한 학생들의 감정이입과 이와 관련한 개인적 경험, 그리고 수려한 언어를 구사한 동료나 집단 내 다수에 동조하는 등의 토론 과정에서의 동료로부터 받은 영향이 있었다. 이 중 학생들은 근거의 타당성에 가장 많이 영향을 받았으며(45개, 58%), 그 다음으로 근거의 다양한 관점인식(15개, 19%), 동료의 영향(11개, 14%) 순이었다. 상호찬반 토론을 통해 대립적 입장을 옹호하는 경험을 한 학생들에게서 나타난 교육적 효과는 크게 4가지로 제시되었으며, 자신의 입장에 대한 논지가 강화되거나, 기존 주장의 약점을 인식하여 보완하기도 하고, 자신의 입장에 대립된 주장에 대한 반박논리가 발달하거나, 대립적 입장에 대해서 공감하고 이해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간의 유전자 조작기술과 관련된 쟁점에 대한 수업을 진행할 때, 학생들이 찬반 입장의 대안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지 못하는 어려움을 돕기 위해 교사는 학생들에게 기존 입장뿐만 아니라 대립적 입장에서 문제를 살펴보고 논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함을 시사한다.

Abstract

Recently, social and ethical issues related to science have appeared in significant national themes and the importance of decision-making associated with socioscientific issues(SSI) has been highlighted. By this, it is required to help student to have a proper understanding about the science issues including ethical, moral aspect and be able to deal with the problem wise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decision-making process through a mutual pro-con discussion model providing an opportunity to argue conflicting viewpoints when students determine their position about genetic manipulation of human. For this reason, it was confirmed student’s evidence through pro-con discussion, patterns and factors of students decision-making process and educational effect on the experience of argument for a confrontational position. 98 students(male:59, female:39) of three classes of junior high school third grade participated in 4 sessions for a total of 180 minutes for 4 weeks. In the class, I induced student’s internal conflict by introducing SSI mutual pro-con discussion program in question whether to allow genetic manipulation of human beings, and I provided the opportunity to argue an oppositive position to the previous decision. Data source was collected through student’s paper recorded during class and individual interviews(20 minutes) taken place after class time. Students recorded their opinions and its evidences about genetic manipulation of human on their paper. Also student’s reasons and factors of decision-making were closely examin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vidence of a position to favor allowing for genetic manipulation of human are divided into a total of six groups. It includes medical aspects, consideration of parents position and personal or social benefits. Basis of position against allowing for genetic manipulation of human, totaled nine. So, the evidence of the contrary was larger than the evidence of the approving position. In this type, there are some considerations of the value of human beings, which are the side effects of genetic engineering, social problems associated with genetic manipulation of human and decision right of the child’s life. In addition to this, considering the value of life and basis of religious belief has been shown. Patterns of Student’s decision-making were shown that students who changed their position were most 25 patients(33%), students who maintained the original position were 24 people(32%) and 18 students(24%) reinforced their existing position after mutual pros and cons debate. And, students who weakened their traditional position were the smallest eight patients(10.7%). Educational effect shown from students who have the experience to defend the confrontational position with mutual pro-con discussion was presented in four majors. Students strengthened the thesis of his position and complemented by recognizing the weakness of their claims. Furthermore they developed a rebuttal of claims that were opposed to their opinion, or students were sympathetic and understanding for confrontational position.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hen the class is conducted related to helping the problem that students are not considered complex choices standing pros and cons, teachers must provide the opportunity of not only providing the pre-exisiting position, but also demonstrating to examine problems from confrontational position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