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판적 사고의 사례 - bipanjeog sagoui salye

Presentation on theme: "비판적 사고 20100150 정소망 20110164 주혜나 20110181 홍혜인."— Presentation transcript:

1 비판적 사고 정소망 주혜나 홍혜인

2 0. 목차 1. 비판적 사고의 개념 2. 비판적 사고의 유형과 사례 3. 비판적 사고의 교육적 시사 4. Q & A

3 비판적 사고 1. 비판적 사고의 개념 분석·평가·분류하는 사고과정 권위에 맹종하지 않고 합리적이고 논리적으로
[ critical thinking , 批判的思考 ] 어떤 사태에 처했을 때 감정 또는 편견에 사로잡히거나 권위에 맹종하지 않고 합리적이고 논리적으로 분석·평가·분류하는 사고과정 (출처 :교육학용어사전)

4 2. 비판적 사고의 유형과 사례 정형화의 오류 병존 즉 인과의 오류 근거의 타당성, 적합성, 충분성 인신 공격의 오류
사실과 의견 구분하기 증거의 생략을 통한 왜곡 타당하고 충분한 근거를 들어 의견을 주장, 평가하기 정형화의 오류 병존 즉 인과의 오류 근거의 타당성, 적합성, 충분성 인과의 상호작용 간과의 오류 비형식적 오류를 범하지 않기 인신 공격의 오류 신뢰할 수 있는 정보원 선택하기 권위에의 호소 다수에의 호소 문제를 다양한 관점으로 조망하기 연민에의 호소 편견 탐지하기 무지에의 호소 무지적 편견 논점 변경의 오류 의도적 편견 선결 문제 요구의 오류 숨겨진 의미와 가정 확인하기 흑백 논리의 오류 적합한 평가 준거 확인하기

5 2-1. 근거의 타당성을 어긴 사례 [Fan Death]

6 2-1. 근거의 타당성을 어긴 사례 [선풍기 괴담(Fan Death)] 근거가 없다” 연관관계가 없어 보인다.”
“선풍기 때문에 호흡장애나 저체온증이 발생해 사망사고로 이어진다는 것은 전혀 근거가 없다” “선풍기를 켜놓은 것과 돌연사와는 직접적으로 연관관계가 없어 보인다.”

7 2-2. 인신공격의 오류

8 2-3. 권위에의 호소 유재석 “하하는 나를 무조건 따라할 것이다.” 하하

9 2-4. 다수에의 호소 1인의 답 vs 2인의 답 100인의 답

10 2-5. 무지에의 호소 “아닌 것을 증명해보라”

11 2-6. 정형화의 오류 “남자들이 뽑는 여자 이상형” 키 : 163-166cm 헤어스타일 : 검정색 긴생머리 어깨 : 좁아야함
“남자들이 뽑는 여자 이상형” 키 : cm 헤어스타일 : 검정색 긴생머리 어깨 : 좁아야함 얼굴형 : 계란형 피부 : 하얀 피부 옷스타일 : 단정하고 깔끔하게 화장레벨 : 노멀함 안경착용 : 절대 안됨 몸매 : 날씬하면서 약간 통통

12 2-7. 논점 변경의 오류 [국정원게이트 청문회]

13 2-7. 논점 변경의 오류 [국정원게이트 청문회] “광주의 경찰입니까, 대한민국의 경찰입니까?” 국정원 댓글 의혹을
[국정원게이트 청문회] “광주의 경찰입니까, 대한민국의 경찰입니까?” 국정원 댓글 의혹을 밝히는 청문회의 논점과 관계없는 질문

14 2-8. 병존 즉 인과의 오류

15 2-9. 신뢰할 만한 정보원 선택 [너목들 1분 동영상]

16 2-9. 신뢰할 만한 정보원 선택 Q. 사건의 생존자 박수하군(만 8세, 초등학교 2학년)의 진술이 신뢰할 만 한가?
“과연 이 어리고 머리를 다친 꼬마 아이의 진술이 사건의 유무죄를 결정할 만큼 무겁고 확실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뇌에는 아무 이상이 없다는 의사의 소견이 있었습니다.”

17 2-10. 한 문제를 다양한 관점으로 조망하기 “수능 국사선택 비율 감소” “수능에서 국사를 선택한 학생이 한 명도
없는 학교, 전국의 10.4%” Q. 문제점은?

18 2-10. 한 문제를 다양한 관점으로 조망하기 Q. 수능 국사 필수 = 학생들의 역사적 인식 강화?
다른 시각1 : “오히려 수능 필수과목이 되는 순간 한국사는 역사적 사실을 단순 암기하는 과목으로 전락할 것” 다른 시각2: “입시 경쟁 체제 속에서 한국사 과목이 수능 필수과목으로 지정될 경우 한국사 수업이 역사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이 아닌 암기 위주의 주입식 교육으로 변질될 것”

19 2-11. 편견 탐지하기 - ①의도적 편견 “ 아무도 내 옆에 앉으려고 하지 않기 때문에 언제나 내 양쪽의 두 좌석은 비었다. 그래서 그 미안함 때문에 자리가 나도 차라리 앉지 않는 것을 선택한다”

20 2-11. 편견 탐지하기 - ②무지적 편견 Q.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서양적/서구적” “동양적” 고급의 합리적인
세련된 합리적 이성적 과학적 진보적 논리적 활동적 비합리적 비이성적 비과학적 정체적 신비적 미신적 명상적 고리타분한

21 2-12. 어떤 진술에 숨겨진 의미와 가정 확인하기 암묵적 조선인 차별/친일 세력 양성 의도
민족적 단결 이후, 1920년대 정책의 변화 “문화 정치” “일본인과 같은 대우를 해주겠다.” “조선인 인재를 등용하겠다.” 암묵적 조선인 차별/친일 세력 양성 의도

22 2-13. 문제의 본질에 적합한 평가의 준거 사용하기 [영어 연설에 대한 평가] vs “발음이 촌스럽다”
“TV에까지 나올 정도는 아니며, 점수로는 60점.” vs “문장 구조도 훌륭했으며, 의사를 명확하게 전달하고 있다.” “90점을 줄 수 있다.”

23 3. 비판적 사고의 교육적 시사

24 4. Q & A 감사합니다.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란 무엇인가요?

  우리는 살아가면서 자연스럽게 비판적 사고를 배우고 자연스럽게 비판적 사고를 하면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비판적 사고가 무엇이기에 우리가 자연스럽게 사용하고 있는 걸까요? 비판적 사고란, 어떤 사안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꼼꼼히 따져보는 행위를 말합니다. 세상을 살아가다보면 수많은 판단과 결정의 기로에 있을 때가 많이 있습니다. 이때 우리는 비판적 사고를 배우지 않았지만 무의적으로 비판적 사고를 하며 판단과 결정을 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컴퓨터를 구입하려고 할 때 아무런 생각 없이 구입하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미리 인터넷을 통해 어떤 제품이 마음에 드는지 알아보거나 매장에서 판매원의 설명을 듣고 취득한 정보가 믿을 만 하다는 전제하에 구매 결정을 하게 됩니다. 최근 들어 흉악범죄가 증가하고 있어 친구와 함께 사형제도의 존폐와 관련하여 논쟁을 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친구는 사형제도의 존치를 주장하며 주장을 뒷받침하는 이유와 근거를 제시합니다. 친구의 주장에 동의 한다면 이유와 근거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겠지만 친구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고 자신은 사형제도의 폐지를 주장한다면 폐지해야하는 적절한 이유와 근거를 제시해야 하고 또한 친구의 이유와 근거에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비판적 사고인 것입니다.

  우리나라사람들은 “비판적(critical)” 이라는 말을 부정적인 의미로 받아들입니다. 그러나 비판적이란 사전적 정의에 의하면 “사물의 옳고 그름을 가리어 판단하거나 밝히는 것” 이라고 정의되어 있습니다. 이는 우리가 알고 있는 부정적인 의미의 단어인 “비난”의 사전적 정의인 “남의 잘못이나 결점을 책잡아서 나쁘게 말함.”과 엄격하게 구분이 됩니다. 우리가 글쓰기를 하거나 독서를 하면서 또는 토론을 할 때 주장하는 내용에 대해서 꼼꼼하게 따져보고 어느 부분이 잘못되고 어느 부분이 잘 되었는지를 가려내는 행동들이 비판적 사고의 시작인 것이다. 결국 비판적 사고를 한다는 것은 주장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주장을 올바르게 평가하는 일입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우리는 어떤 주장은 받아들여야 하고 어떤 주장은 받아들이지 말아야 한다는 결정을 하게 됩니다.

  영국이나 미국 등 교육 선진국에서는 어릴 때부터 비판적 사고 교육을 정규 교육과목으로 채택하여 실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입시교육 위주의 교육과 빠듯한 수업일정으로 비판적 사고 교육은 관심 밖에 있는 실정입니다. 2004년도부터 불어 닥친 입시 논술 광풍이 많이 식었지만 최근의 대학 입시에서도 논술시험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면서 일부 학생들이 짧은 기간 동안 논술 학습으로 비판적 사고의 곁다리 긁기만 한 정도입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2000년대 초반부터 대학에서 딱딱하고 재미없는 국어 과목을 폐지하고 실용적인 ‘사고와 표현’, ‘사고의 기초’, ‘글쓰기와 토론’ ‘ 비판적 사고와 논리’ 등 비판적 사고에 대한 교육을 시작하여 현재는 대부분의 대학들이 비판적 사고 교육이 교양과목으로 정착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로스쿨 입학을 위한 LEET(법학적성시험)와 의학대학원 입학의 필수시험인 MDEET(의⋅치의학교육입문검사)와 행정고시나 외무고시를 패스하기 위한 PSAT(공직적격성평가) 등에서 추리논증능력 시험을 통해 비판적 사고 능력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2009년도부터 초중고생과 일반인을 위한 비판적 사고 인증시험인 톡트(TOCT) http://www.toct.org 가 시행되어 많은 사람들이 비판적 사고 능력 평가 시험에 응시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비판적 사고는 교육의 핵심으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비판적 사고는 훈련을 통해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비판적 사고는 어떤 훈련으로 키울 수 있을까요? 가장 쉬운 방법이면서 가장 오랜 기간 동안 사용되어진 글 읽기와 글쓰기입니다. 비판적 사고는 우리가 올바른 생각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즉 말하기와 쓰기를 통해 구현되고 상대방의 주장을 올바르게 판단하기 위해서 즉 읽기와 듣기를 통하여 사고하게 됩니다. 이러한 사고 과정에 논리학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 중에서 비형식 논리 즉 실용논리학 에 해당하는 영역을 학습에 포함한다면 비판적 사고 능력은 향상될 것입니다. 이 부분의 핵심 내용이 논증이며, 논증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것이 비판적 사고의 중심 학습 내용입니다. 앞으로 비판적 사고의 핵심인 논증을 이해하고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 글을 올릴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