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조릿대 - jeju jolisdae

제주조릿대는 한라산을 빠른 속도로 점령해 생물 다양성을 해치는 식물로 인식되고 있지만, 알고보면 토사유출 방지와 탄소저감 효과 등으로 상당한 경제적 가치를 지녔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토사유출방지·탄소저감 효과 ‘4844억원’

제주도 세계유산본부 한라산연구부가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실시한 연구조사 결과를 수록한 <한라산의 제주조릿대>를 보면, 2018년 기준 제주조릿대의 연간 경제적 가치는 4844억원에 달했다.

한라산연구부는 2018년 완성된 제주조릿대의 분포도에 기초해 경제적 가치 환산과 탄소저장량을 추정했다. 그 결과 한라산 토사유출 방지 효과만 3773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산출됐다. 연구팀은 “제주조릿대의 대표적인 순기능은 촘촘한 땅속 줄기로 토양 유실을 잡아 주는 것을 꼽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제주 조릿대 - jeju jolisdae

한라산을 점령한 제주조릿대. 제주도 제공

많은 양의 가축 사료를 수입하는 상황에서 제주조릿대를 가축 사료로 이용했을 때의 가치는 923억원으로 추산됐다. 제주조릿대가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이산화탄소를 연간 42만3839t 흡수해 148억원 상당의 탄소 배출 저감 효과를 거두는 것으로도 조사됐다.

이번 경제적 가치 추산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지역의 특화자원인 제주조릿대를 산업에 활용하는 시도도 계속되고 있다. 조릿대 지역연고산업육성 사업단이 꾸려지면서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조릿대를 이용한 차와 소금, 막걸리, 쿠키, 소시지, 로션, 비누 등 다양한 25개 제품이 개발되기도 했다. 다만 판로 개척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현재 시판되는 것은 일부에 불과하다.

■한라산 빠르게 ‘장악’ 생물 다양성 훼손 ‘어쩌나’

제주조릿대는 제주에서만 자생하는 식물이다. 육지부의 조릿대와 비슷해 보이지만 가지가 갈라지지 않고 키가 작으며 절의 형태도 다르다. 5월에 새잎이 나오며 여름에는 녹색으로 자라다가 10월이면 성장이 멈추면서 잎 가장자리가 하얗게 변하는 것이 특성이다.

현재 제주조릿대는 한라산국립공원의 전체 면적(153㎢) 중 95.3%(146㎢)에 걸쳐 분포하고 있다. 특히 한라산 해발 1400m 이상의 아고산 지역(22㎢) 중 88.3%(19㎢)를 제주조리대가 덮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제주 조릿대 - jeju jolisdae

제주도가 한라산을 빠르게 장악한 제주조릿대 제거를 위해 말을 방목하는 실험을 했다. 제주도 제공

30여년 전만 해도 해발 600~1400m에서는 드물게 확인됐지만 최근에는 고지대로 범위를 넓혀가고 있는 것이다. 돌로 이뤄진 계곡, 백록담 화구벽, 습지 일부, 사람이 다니는 탐방로 등을 제외한 한라산 모든 지역을 광범위하게 제주조릿대가 장악하고 있다. 급속하게 고사하고 있는 구상나무가 쇠퇴한 자리를 제주조릿대가 차지하기도 하고, 한라산 정상 부근인 해발 1900m까지 위협하면서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제주조릿대가 빠르게 확산한 배경으로는 1980년대 한라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이후 말과 소 방목이 금지된 데다 기후변화로 급격한 환경변화가 일어났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제주조릿대는 왕성한 번식력과 강한 생명력을 지닌다. 특히 뿌리로 땅을 고정해 서식지를 넓혀가고 높은 밀도로 군락을 이루는 특성상 다른 식물이 자랄 틈을 주지 않는다. 기존에 있던 한라산 특산희귀식물의 생존을 위협하고 생물 다양성을 훼손시킨다는 우려가 나오면서 제주의 골칫거리 식물이 됐다.

제주도는 한라산 제주조릿대가 문제로 떠오르자 지난 5년간 한라산에 다시 말을 방목하는 방법과 손으로 직접 벌채하는 방법 등을 동원해 제주조릿대 제거실험을 했다. 실제 벌채와 말 방목을 통해 어느정도 제주조릿대가 제거된 지역에서는 식물다양성이 회복되는 결과를 도출했다.

제주도 한라산연구부 관계자는 “실험결과 한라산 입지와 환경에 따라 제주조릿대 제어목표를 설정하고 말 방목·벌채 실시기간과 휴지기간 등 세부방식을 결정해야 한다”며 “제주조릿대의 순기능인 토양유실 방지 기능은 최대한 살리면서 생물 다양성과 생태 경관을 회복하는 효율적인 제주조릿대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장차 한라산이 ‘조릿대 공원’이 돼 국립공원에서 제외되는 상황이 올 수 있다.”

2016년 환경부는 제주도 한라산국립공원관리사무소에 공문을 보내며 “제주도가 제주조릿대 문제에 대해 아주 심각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며 적극적인 대처를 촉구했다.

제주조릿대가 한라산을 빠른 속도로 장악하면서 다른 희귀·특산식물의 서식을 위협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주도는 결국 제주조릿대 벌채를 추진하기로 했다.

제주도는 (주)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에 의뢰해 2016년부터 진행한 ‘한라산 제주조릿대 관리방안 연구’ 용역을 올해 마무리한다.

제주도는 10월 ‘제주조릿대 관리방안’ 심포지엄을 열어 의견수렴을 하고 12월 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에서 실행방안을 발표한다. 제주도는 앞선 4년간의 연구에서 제주조릿대를 제거했을때 식물 개체수가 다양해지고 특산·희귀식물이 다시 출현하는 효과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릿대 제거 방안은 말 방목과 벌채 등 두 가지 실험이 추진됐으나 벌채를 하는 방안으로 모아지고 있다.

제주 조릿대 - jeju jolisdae

한라산에 빠른 속도로 제주조릿대가 확산되고 있다. 제주도 제공

■한라산의 95% ‘장악’

제주조릿대는 한라산과 주변 지역에 자라는 벼과 식물이다. 크기는 10~80㎝ 정도로 긴 타원형의 푸른 잎을 가졌다. 가지가 갈라지지 않고 마디가 공처럼 둥글어 육지부의 조릿대와 다르다.

제주도는 한라산 내 제주조릿대가 국립공원 면적의 95.3%(146㎢)에 달한다고 밝혔다. 해발 400m 이상 지역(442㎢)에서는 78.5%(347㎢)를 점하고 있다. 30여년 전만 해도 주로 저지대에 분포해 해발 600~1400m에서는 드물게 확인됐지만 최근에는 고지대로 범위를 넓혀가고 있는 것이다.

실제 이번 연구 과정에서 제주조릿대는 한라산 해발 1400m 이상 지역(22㎢)의 88.3%(19㎢)를 덮고 있었고, 한라산 정상 부근인 해발 1900m까지 범위를 확장한 것으로 확인됐다. 급속하게 고사하고 있는 구상나무가 쇠퇴한 자리를 제주조릿대가 차지하기도 했다. 돌로 이뤄진 계곡, 백록담 화구벽, 습지 일부를 제외한 한라산 모든 지역을 광범위하게 제주조릿대가 장악하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제주조릿대가 한라산에 확산된 것은 1980년대부터로 추정된다. 제주조릿대는 추위와 눈에 강한 생명력과 왕성한 번식력을 갖고 있다. 기후 온난화 등과 같은 환경변화, 한라산 내 말 방목 금지 등도 확산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제주조릿대는 뿌리로 땅을 고정해 서식지를 넓혀가고 높은 밀도로 군락을 이루기 때문에 다른 식물이 자랄 틈을 주지 않는다. 이는 기존에 있던 한라산 고유식물의 생존을 위협하고, 생물 다양성을 훼손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제주도는 밝혔다.

제주 조릿대 - jeju jolisdae

조릿대 제거를 위해 한라산에 다시 말이 방목됐다. 제주도 제공

■30년 만에 한라산 다시 오른 말

연구진은 지난 5년간 제주조릿대를 제거했을 때 생태계가 실제 변화하는지 여부를 연구했다. 이를 위해 한라산 내 말 방목과 직접 벌채라는 두가지 방법으로 제주조릿대 제거 실험을 했다.

2016년부터 말 방목과 벌채를 실시한 결과 제주조릿대 감소에 따라 식물 개체수가 다양해지고 희귀식물이 다시 출현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연구진은 매년 일정 기간에 해발 1600m인 만세동산 일대 1㏊에 말 4~8마리를 풀어놓고 제주조릿대를 먹도록 했다. 장구목(1.8㏊), 선작지왓(0.5㏊), 진달래밭(0.1㏊)에서는 사람이 직접 제주조릿대를 벌채했다.

실험 결과 말 방목이 이뤄진 지역에서는 제주조릿대 생물량이 70% 이상 감소했고 식물종수가 2016년 37종에서 올해 52종으로 늘었다. 벌채를 한 지역에서는 식물종 수가 2016년 37종에서 2019년 67종, 올해 65종으로 늘었다. 또 산철쭉과 털진달래와 같은 관목류의 생육도 회복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제주도는 말 방목과 벌채 모두 제주조릿대 제거와 식물종 다양성을 회복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으나 말의 경우 다른 식물을 먹는 부작용과 관리의 문제점이 있어 장기과제로 검토하고 우선적으로는 벌채를 추진하기로 했다.

제주도는 내년 8월부터 한라산 선작지왓과 남벽분기점 등 2곳 등 고지대에 있는 제주조릿대를 우선 베어내는 안을 검토 중이다. 고지대 이외 지역은 사업효과를 분석해 단계적으로 제거한다.

제주도 관계자는 “말 방목을 통한 제주조릿대 제거는 보다 시간적 여유를 두고 장기적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며 “의견수렴 과정을 통해 12월쯤 최종 결과가 나올 예정이고, 유력한 제거방안인 벌채 역시 문화재청과의 협의 등 절차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조릿대에는 유용한 성분이 다량 함유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추출물을 이용한 음료, 화장품, 차 등 다양한 상품의 원료로 활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