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 마스크 교정 - peiseu maseukeu gyojeong

서울성모병원 국윤아-김윤지 교수
구개부 장치 활용 치료법 발표

페이스 마스크 교정 - peiseu maseukeu gyojeong

서울성모병원 치과병원 교정과 국윤아(사진), 김윤지 교수팀이 구개부 장치를 이용한 성장기 주걱턱 환자 치아 교정법이 기존 치료 방식보다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를 미국교정학회지에 발표했다.

국윤아 교수(교신저자)·이유선(제1저자) 치과 전문의 연구팀이 40명의 환자를 구개부 장치를 이용한 ‘페이스 마스크(구강 외 교정장치)’로 치료한 8∼13세 환자 그룹 20명과 기존의 치아 지지형 장치를 이용한 페이스 마스크 치료 환자 그룹 20명으로 나눠 상악골(위턱뼈)이 성장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끌어당기는 전방 견인 치료를 진행했다.

구개부 장치는 환자의 입천장에 교정용 나사를 이용해 주걱턱 교정 플레이트를 식립한 후 플레이트에 고무줄을 걸어서 기존의 페이스 마스크 치료를 치아 지지형 장치가 아닌 골 지지형 장치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 장치이다.

구개부 장치를 이용한 그룹에서는 상악골이 평균 2.3mm 전방 견인됐지만 치아 지지형 장치를 이용한 그룹에서는 평균 0.9mm의 상악골 전방 견인이 관찰됐다. 또한 구개부 장치를 이용한 환자 그룹에서는 불필요한 치아의 이동도 관찰되지 않아 보다 효과적으로 상악골 전방 견인 치료가 되었음을 확인했다.

주걱턱은 아래턱이 위턱보다 크거나 길고 앞으로 튀어나온 것으로 심미적인 문제는 물론 치아의 부정교합을 유발한다. 주걱턱은 정도에 따라 치료방법이 다르며 단계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다. 성장기 어린이는 페이스 마스크를 통해 위턱의 성장을 촉진하고 아래턱의 성장을 제한하는 방법인 1단계 교정치료를 시작한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턱의 성장 조절로 개선할 수 있는 골격이 제한되므로 빨리 치료하는 것이 좋다.

국 교수는 “기존의 치아 지지형 장치를 이용한 페이스 마스크에서는 치료 중 치아가 고무줄의 힘에 의해서 원하지 않은 움직임을 보이기도 했지만 이번에 개발한 구개부 장치를 이용한 페이스 마스크 치료는 기존 방식보다 상악골이 더 많이 전방으로 견인될 뿐만 아니라 원치 않은 치아의 움직임도 적고 성장기 환자의 안모 개선 효과도 상당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주걱턱은 골격의 문제로 어릴 때 발견해 턱 성장을 조절하며 치료해야 하므로 만 6∼7세에 치과 검진으로 주걱턱을 조기에 발견하고 성장이 끝날 때까지 약 10년 동안 의사와 환자가 충분히 소통을 하며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교정학회지 정식 게재에 앞서 온라인에 게재됐고 10월호 이달의 영상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박윤정 기자

  • 좋아요 이미지좋아요
  • 슬퍼요 이미지슬퍼요
  • 화나요 이미지화나요
  • 후속기사 원해요 이미지후속기사 원해요

Copyright ⓒ 동아일보 & donga.com

전 포스팅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상악골 열성장을 가진 클래스 III 아동-청소년의 이른 시기에 첫번째 고려할 치료 옵션은 페이스마스크입니다. 페이스마스크를 유치열기(보통 만 6세) 또는 이른 유치열혼합기(만 6-9세)에 사용할 경우 상당한 골격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Point A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악골 성장을 유도할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 point A의 전방이동 뿐 아니라 하악골의 반시계방향 회전으로 ANB의 감소를 보입니다.

한편 대략 만 11세경의 비교적 늦은 나이에 페이스마스크 치료는 시도할 수는 있지만 골격적 효과는 이른 나이보다 떨어집니다. 전치부 반대교합의 개선은 가능하더라도 골격적 효과는 더 작고 치성 효과가 더 많아집니다. 즉 상악 제 1대구치의 근심이동량이 커지고, 상악 전치의 전방경사이동량이 증가합니다.

이 때문에 약 11세의 늦은 나이에서도 치성 효과가 아닌 골격적 효과를 유도하기 위한 여러 노력들이 시도되어 왔습니다.

이 시도들은 주로 골성 골고정원(TADs, orthodontic mini-implants, mini-screws)을 이용한 견인 and/or circummaxillary suture(상악골 주위 봉합) 을 이개 시키려는 노력들입니다.

이 노력들은 최신 치과교정 치료에서 미니스크류 등 골성 고정원의 꾸준한 사용증가 경향을 반영합니다.

현재까지 여러 문헌들을 통해 이러한 노력들이 페이스마스크의 골격적 효과를 증가시킨다는 근거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과거 치과교정학 교과서에서 서술되어 왔던 나이보다는 더 높은 연령에서도 이러한 장치를 써서 골격적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장치들은 페이스마스크로 골격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나이를 몇살까지 연장시켰을까요?

이번에 소개해드릴 논문은 이 질문에 부분적으로 답하고 있습니다.

G. Maino et al., Skeletal and dentoalveolar effects of hybrid rapid palatal expansion and facemask treatment in growing skeletal Class III patient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18;153:262-8)

하이브리드-고정원을 가진 확장장치와 뒤이은 4개월간의 페이스마스크 치료는 연령이 높은 환자 (평균연령 11세 4개월 ± 2.5년)에서 골격성 III급 관계를 개선하며 최소한의 치성 효과를 보였다.

The use of a hybrid-anchorage expander followed by 4 months of facemask treatment improves the skeletal Class III relationship with minimal dental effects, even in older patients (mean age, 11 years 4 months, ± 2.5 years).

주) 본문에는 연령 표준편차가 2.5개월로, 초록에는 2.5년으로 표기되어 둘 중 하나는 오기입니다. 전체 문맥상 2.5개월이 맞는 것 같습니다.

Point A는 평균 3.4 mm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point B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었고 pogonion은 0.22mm 전방이동되었다. 또한 SNA는 2.5도 증가, 시상관계가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ANB, +3.41º; Wits, +4.92 mm).

수직계측치 중 SNGoGn은 1.64도 증가했고 SN-PP는 1.11도 감소했다. 상악 전치 neck point (Pr)는 3.62 mm 전방이동됐고 2.26도 설측이동되었다(110에서 107.9). 상악 제 1대구치는 0.42 mm 정출되었고 0.87 mm만큼 약간 전방이동되었다.

As the values show, after RPE according to the protocol of Liou and 4 months of facemask protraction, point A advanced by a mean 3.4 mm with respect to VertT in our sample, with a significant variation, while the position of point B remained relatively stable and pogonion advanced by 0.22 mm. Furthermore, the SNA angle increased by 2.5, and the sagittal relationship significantly improved (ANB, 13.41; Wits, 14.92 mm).

For the vertical measurements, the facial angle (SNGoGn) increased by 1.64 during treatment, and the SN-PP angle was reduced by 1.11. In terms of dental measurements, the maxillary incisor neck point (Pr) moved forward by 3.62 mm with respect to VertT, and the maxillary incisor underwent retroclination of 2.26 with respect to the palatal plane, with the mean inclination reduced from 110 to 107.9. The maxillary first molar was extruded by 0.42 mm with respect to the palatal plane and advanced slightly by 0.87 mm with respect to VertT.

페이스마스크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상악골 주위 봉합을 함께 열수 있도록 확장장치를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과거부터 있어 왔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컨셉의 치료는 아직 완전히 효과가 평가되지 않았습니다. Foersch 등의 2015년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에서는 이러한 컨셉의 치료에 대한 증거수준이 높은 추가적 연구(RCT)가 더 필요하다고 언급하면서도 긍적적인 잠재력이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나 비슷한 시기(2014년)에 나온 다른 메타분석에서는 이러한 컨셉의 치료가 페이스마스크 치료에 명백하게 긍정적인 효과는 없는 것으로 평가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배경지식에서 본다면 단순히 페이스마스크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상악 확장 장치를 사용하는 개념의 치료는 아직은 논쟁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 논문의 연구 결과는 페이스마스크에 상악골 급속확장 (RPE)이 미치는 효과가 아닌, 더 높은 연령에서 가지는 효과에 촛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연구의 목적이 다른만큼 평가 또한 다른 관점에서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침습성면에서도 구개측의 2개의 미니스크류는 감내할 가치가 있지 않나 생각되나, 적용 여부는 현재 단계에서는 임상의의 판단에 맡길 사안인 것 같습니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들을 통해 더 많은 증거들이 상악확장과 페이스마스크 하이브리드 장치의 유효성이 있음을 입증한다면 임상에서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한편 이러한 결과가 페이스마스크 치료를 몇살까지 늦춰도 되는지에 대한 대답은 아님은 분명합니다. 페이스마스크 치료를 만 6세-9세가 아닌 몇살까지 늦춰도 됩니까? 만 11세까지 늦춰도 됩니까? 하는 질문은 본 연구나 포스팅과는 전혀 관련없는 이야기입니다. 이른 나이에 상악골 열성장 골격성 III급이 발견되었다면 조기치료만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입니다.

치과교정학은 빠르고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학문입니다. 현재에도 전세계에서 더 높은 증거수준을 확보하기 위한 세련된 연구 디자인으로 다양한 임상적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당연하게도 교정과 의사는 수련과정에서 배운 지식에 만족하지 말고, 끊임없이 새로운 경향에 발맞추려는 노력을 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