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유래 - sachon-i ttang-eul samyeon baega apeuda yulae

'사촌이 땅사면 배아프다'란 속담은 우리나라 국민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속담이라고 봅니다.
옆집 순이가 피아노 학원을 다니면 우리집 말자도 피아노 학원 보내야하고
앞집 철이가 레고 해적선 사면 우리집 영호도 해적선 사줘야하고
뒷집 명민이가 서울대가면 우리집 돌쇠도 삼수를 시켜서라도 연고대 보내야하고
...
언제부터 이렇게 되었는지 모르겠지만
속담이 있는 걸 보면 꽤 오래된듯합니다.

이렇게 글을 남기고 네이버 검색을 해보니

이런 내용이 있어서 추가해봅니다.


속담의 유래를 찾아보니 반대의 뜻이 있네요.
예전엔 어지간한 부자가 아니면 땅을 소유하기 힘들었던 시대였기에
그런 시대에 사촌이 땅을 샀으면 기쁜일이기에 뭐라고 선물을 줘야할텐데
가난하기에 줄것이 없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농사잘되라고 인분(떵)을 선물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원 속담은 '사촌이 땅을 사면 배라도 아파야 할텐데...'였는데

일제시대와서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로 와전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주변과 상부상조의 뜻에서 질시와 반목을 의미하는 속담으로 변질이...
일제의 국민성개조(민족성 말살정책)에 의해 안 좋은 쪽으로 변질되었다고 합니다.
무섭게 느껴지는 것은 이런 속담하나를 나쁜뜻으로 인식하고 사용하면서
무의식적으로 순응하게되면서 나도 모르게 주변과 반목하며 질시하게되고
나아가 사회적으로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니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속담 한마디 한마디도 조심해야겠다는 생각이...

 

우리가 무심코 사용하는 말이 이렇게 큰 파장을 불러온다는 것에 놀랐습니다.

속담하나로 국민성을 개조할 수 있다는 사실에도 놀라고...

 

한편으로 신빙성이 있는 사실인지 좀 더 찾아봐야겠습니다.

 

추가 검색해보니

이런 의미도 있네요.

 

예로부터 우리민족은 더불어 살아가는 생활을 해왔습니다.
우리나라가 농업이 중심이된 경제체제였기 때문입니다.
향약, 계, 두레, 품앗이 등의 미풍양속으로 부터 그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각자 농사를 짓는 것 보다 함께 마을의 논을 하나씩 하나씩 메가는게 훨씬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이제 속담의 속뜻을 풀어보겠습니다.
옛날에는 실제로 한 마을에 사촌이 사는 경우도 있었지만 이 속담에서 사촌은 이웃사촌도 포함합니다.
사촌이 땅을 사면 그 만큼 도와줘야 할 일이 많이 생기겠죠?
그 일이 하기 싫어서 아프다고 꾀병을 부리는 것입니다.
그래서 생겨난 속담이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입니다.
우리의 민족성으로 볼 때 셈난다 라고 해석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Ϲ������� ��ȭ�ҷ��̶�� �ϴ� ���� �Ļ縦 �ϰ� ���� ���� �����ϰ� ���η��ϸ�, ������ ���� �޽����ų� ���ݸ� �Ծ ���� �������� �� ���� ����, �� �Ļ��� ���谡 ������ ������ ��� ���þ� ����Ѵ�.

��ȭ�ҷ� ������ ����ų �� �ִ� ������ ũ�� �������� �ִ�.
ù ��°�δ� ������ ����Ų ������ ������ �ִ� ����̴�. ���� ���, ��, �������� �˾�, ������ �ĵ���, ������, ���� ����, ��㵵 ��ȯ���� ��ȭ�ҷ����� ����ų �� �ִ�. �̷� ��ȯ�� �����ǿ� ����� �ǰ˻�, ���ð�, ������, ��ǻ�� �Կ����� �˻縦 ���ؼ� ������ ���� �� �ִ�. �� ��°�δ� ���ð� �Ǵ� ������ ���� �Ϲ��� �˻�δ� ������ ã�Ƴ� �� ������ ������ ���߽�Ų ���»����� ���̰��� �Ұ��� �ִ� ����̴�. ���� ���, �︮�ڹ��� ����, ������μ�, ���������� ��̻� ���� �̷� ��쿡 ���Ѵ�. �� ��°�δ� ������ ����ų ���� ������ ���� ����̴�.

���� ��ɼ� ��ȭ�ҷ��� �̶��ϸ� �ǰ˻�, ���ð�, ������, ��ǻ�� �Կ� �� �Ϲ� �˻縦 ���ؼ� ������ ���� �� �� ���� �� ��°�� �� ��°�� ��츦 ����Ѵ�. ���� �Ϲ��ε��� �����ϱ� ���� �Ű漺 ���庴�̶�� �θ��⵵ �Ѵ�. �� ���� �� �� �Ǵ� ���� �� ���ӵǸ鼭 ������ �������� �������ٸ� ��Ǯ���ϸ鼭 �Ű澲�� ���̳� ��Ʈ������ ������ �������µ�, Ư�� ������ �����̸� ���� �� �ִ�.

�츮���� �������� ���� ��� �谡 �����١��� ���� �ִµ� �̴� �Ű��� ���� �谡 �������ٴ� ���̰� �Ƹ��� �� ���� ��ɼ� ��ȭ�ҷ��� ���� �� ǥ���ϴ� ���̶�� �����ȴ�. �̿� ������ ������ ���μ� ���忰�� �ִµ�  ��ɼ� ��ȭ�ҷ����� �ַ� ���谡 ������ �����ε� ���� ���μ� ���忰�� �Ʒ��谡 ������ ������ ���ְ� �Ǹ� ���� �Ǵ� ���� ���� ���ݵ� �� �ִ�.

�� ���� ������ Ȯ��ġ ������, ���� ���� ������ ���յǾ ���� ������ ��������. �Ϻ� ȯ�ڿ����� �� ���빰�� ������������ ����Ǵ� �ð��� �����Ǿ� �ֱ⵵ �ϸ�, �Ϻ� ȯ�ڿ����� �Ű��� �����ϰų�, ������� �ְų�, �Ű��� ���� ��ȭ�Ǵ� ������ �־ ������� ������ ���� ������� �� �����ϰ� ������ �Ǵ� ���� ������ ���� �ִ�. ���� ���� �� ���� ��ȭ��Ű�� ���� �и��ϹǷ� ��ɼ� ��ȭ�ҷ��� ȯ�ڴ� ���� ���� ���ؾ� �Ѵ�.

���� Ŀ�� �� ź�갡���� ���Ե� ������� ������ ���ϴ� ���� ����. ��Ģ���� ��Ȱ�� ������ ��� ���� �������Գ� ����Ǵ� �Ϲ����� �ǰ� ����� �� ��Ű�� ���� ����. � ȯ�ڵ��� �а���� ���� ����, ����, ������ ������ ���� �����ϴٰ� �ϴ� ���� ���� ���İ��� ���谡 ���� ������ ���δ�. ���̿���� ��Ģ�� ��� ������ ���� ��� ������ �ذ� �ȴٴ� �ĺ��ٴ� ȯ�� �����θ��� �ڱ� ���� �� �´� ���İ� �����ϸ� ���������� ������ �����Ƿ� ������ �Ǵ��ؼ� �ڱ⿡�� �´� ������ �԰�, ���� �ʴ� ������ ���ϴ� ���� ����.

�ʰ� �ڱؼ��� ���� ������ �Ϲ������� ���� �������� �����ǰ�, ������ ���� ������ �������� ������ �ϰų� ������ ����ų �� �����Ƿ� ���Ǹ� �ؼ� �����ϴ� ���� ����. �����̳� ��ȣ��ǰ�� ������ ���� ��쿡�� ���ϸ� �Ǹ�, ����ġ�� ��� ������ �Ծ�� �ȵȴٴ� �������� ������ ������ ������ ��ȭ��ų �� �����Ƿ� ������ ���ϰ� �������� �Ѵ�.

�� ���� �� ���� Ȯ���� �� �ִ� ����� ������ ���� ���� �˻縦 �غ��Ƽ� ���������� ���� ���� ������ ��ɼ� ��ȭ�ҷ����� ������ ���� �� �� �ִ�. ��ɼ� ��ȭ�ҷ����� �ǽɵǴ� ȯ�ڰ� �ܷ��� ���� ��� �˻縦 �� ���ΰ��� �����ϴ� ���� �߿��ѵ� �ֱ� 1-2�⳻ �˻縦 �޾ƺ��� ���� ����̶�� ����� ���ð��� �ֿ켱���� �����Ͽ��� �ϸ�, ���� ������, �� ����� ������ ���װ˻絵 �޴� ���� ����. �̿ܿ��� ���� �Ұ߰� ��ȭ�ҷ��� �� �ٸ� ����, ������, ���� ���� �����Ͽ� �ٸ� �˻縦 �߰��� ������ �� �� �ִ�.

�ǻ簡 ȯ�ڿ��� ���˻翡�� �̻��� ���ٴ� �͡��� �˸��� �ɰ��� ��ȯ�� ���ٰ� �Ƚɽ�Ű�� �� ��ü�� �߿��� ġ�ᰡ �� �� �ִ�. �������ٵ� �� ���� ����� ���� �����ϸ鼭 ��� ���̸� ���忰�� ���� �����ϸ� ��ġ�Ǵ� ���� �ƴ϶�� ���� ���ؽ��Ѽ� ȯ�ڿ��� ���� ������ ã�ƴٴϸ� ���� ���ʿ��� �˻縦 �ݺ����� �ʰ� �ϴ� ���� �߿��ϸ��� �����ȴ�. 

​속담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를 잘못 쓰고 있었다는 주장이 있다.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유래 - sachon-i ttang-eul samyeon baega apeuda yulae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는 남의 잘 됨을 시기할 때 쓰는 말이다
속담은 옛 선조들의 삶의 지혜가 담겨있는 짧은 문장이다. 속담은 오랜 시간이 지난 현대에도 계속 쓰이고 있으며 학생들의 국어 시험이나 국어 관련 과목의 시험에 자주 등장하는 단골손님이기도 하다. 

그런데 속담 중에서도 유명한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라는 속담이 잘못 쓰이고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다. 일반적으로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라는 속담은 남의 잘 됨을 매우 시기할 때 쓰는데 잘못 쓰이고 있는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그들의 주장에 따르면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라는 속담은 좋은 뜻으로 만들어진 속담이었다.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라는 속담은 거름과 관련된 속담으로 사촌이 땅을 샀으니 축하의 의미로 무언가 도움을 주고 싶어지고 그래서 거름이 될 인분을 만들기 위해 배가 아파진다는 것.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유래 - sachon-i ttang-eul samyeon baega apeuda yulae

땅을 산 사촌에게 똥을 싸서 거름을 주기 위해 배가 아프다?
그렇다면 '변'으로라도 축하해주고 싶어하는 좋은 뜻의 속담이 왜 지금은 질투하는 마음이 담긴 나쁜 뜻의 속담이 된 것일까?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라는 속담이 잘못쓰이고 있다고 주장하는 한 전문가는 일제 강점기를 그 이유로 들고 있다. 전문가는 일제 강점기에 우리 민족의 자긍심과 애국심을 말살하려는 일제의 술책으로 인해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가 우리민족을 비하하는 식의 나쁜 뜻을 가진 속담이 된 것이라고 설명한다.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유래 - sachon-i ttang-eul samyeon baega apeuda yulae

일제는 조선인들의 민족성을 말살시키는 정책을 펼쳤다
이러한 주장은 어느정도 일리가 있어 많은 사람들의 호응을 얻고 있지만 공식적으로 인정되지는 않았다. 속담이라는 것이 원래 유래가 불분명하기 때문에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임진왜란이나 IMF 등의 국가위기를 힘을 합쳐 극복해낸 우리 민족이라면 사촌이 땅을 샀을 때 질투하는 것이 아니라 거름으로라도 돕고 싶어 배가 아플수도 있지 않을까?